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은 안과 밖이 다르다. 예를 들어 물이 존재는 양상을 보도록 하자. 물은 생명이 근원이라고 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이 물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몸도 70%가 물의 성분으로 구성되었듯이 물은 모든 생명체를 구성하는 성분이 되기도 하고,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형태로 변신하기도 한다. 구름으로 떠돌던 물방울이 커져서 떨어지는 것이 비다. 날씨가 추우면 우박, 서리, 눈 등으로 그 모습을 바꾼다. 이것들이 지하로 들어가 흐르는 것이 지하수가 되고 밖으로 낮을 곳을 향하여 함께 모여 흐르는 시냇물이 되고 이 물을 사람들이 사용하고 버리면 하수가 된다. 물은 낮은 곳을 향하여 흐르거나 증발된다. 흐르면서 점점 규모가 커지면 강물이 되고 바다로 가면 바닷물이 된다. 신기하게도 지구의 70%가 바다이다. 우리 사람의 몸을 차지하고 있는 물의 구성 비율과 일치한다. 북극의 빙하도 사실 물의 형태를 띠고 있을 뿐이다. 사막지방은 물이 없어 식물들이 자라지 못한다.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사막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러나 물이 부족한 악조건에서 살아가는 식물들이 잎이 가시로 변한 선인장이 있다. 그 적응력은 매우 놀랍다. 생물들은 자기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몸의 형태를 바뀌며 진화하여 그 환경에 생존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뀐다. 사람들의 생활 형태를 문화라고 한다. 문화도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 다르다. 나라마다 문화가 다르다. 벼농사를 주로 짓는 나라에서는 쌀밥이 주식이고, 밀농사를 짓는 곳은 밀가루를 빻아 만든 빵이 주식이다. 초원지방은 가축을 기르며 살기 때문에 가축의 우유와 고기가 주식일 수밖에 없다. 식문화뿐만 아니라 주택의 문화도 다르기 마련이다. 가축을 기르며 살아가는 초원지방의 사람들은 가축을 기르기 위해 집을 옮기며 살아가야 하므로 몽골은 ‘게르’라는 천막집을 짓고, 북극지방 설원의 지역에서는 얼음덩어리로 이글루라는 집을 짓고 산다. 우리나라는 벼농사를 짓고 살아왔기 때문에 초가집을 짓고 살아왔다. 이처럼 의식주 문화가 지역마다 자연조건과 기후, 일조량, 식수 문제 등의 환경조건에 가장 살기 쉬운 형태로 문화가 발발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개고기를 먹지만 서양에서는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 어떤 나라에서는 원숭이를 잡아먹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원숭이 고기를 먹는 것을 이상해할 것이다. 한 대 우리나라에서도 뱀탕이 보신용으로 유행한 적이 있어 온산에 뱀 그물을 쳐놓고 뱀을 잡았으며 사탕집에서 뱀을 보신용으로 팔기도 했으나 혐오식품인 것만은 분명하다. 요즈음 자연보호법으로 규제하여 사탕집이나 무분별하게 겨울잠을 자는 개구리들을 잡아 튀겨먹던 식문화가 없어졌다. 다행이다. 요즘처럼 먹을거리가 다양하고 보신용 식품이 많은데 굳이 사탕과 개구리 튀김까지 먹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남아 여행을 하면 으레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나라에서 파는 보신용 혐오식품을 찾곤 한다는 것이다. 박쥐고기, 뱀, 녹용, 웅담 등으로 동물들이 수난을 당한다고 한다. 정말 이러한 식품들이 보신용으로 효과가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제 식문화는 각국과의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지구촌의 한 가족이 되어 식문화가 다양해졌다. 쌀을 주식하는 우리 민족이 요즈음에는 우리나라도 옛날에 비해서 인구는 늘어났으나 그 인구가 소비해야할 쌀 소비량은 줄어들고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는 밀가루 음식이나 과일, 고기 섭취가 주식인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길거리의 음식점들도 우리나라 음식점이 아니라 외국 음식을 파는 음식점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커피전문점이 인기를 끌어 도시의 길거리 한발 건너 커피집들이 많아졌다. 열대지방의 커피가 우리나라에 와서 커피믹스로 제조되어 우리 식문화의 안방을 차지하는 세상이 되었다. 우리 조상들이 먹었던 차 문화, 식혜, 수정과, 누룽지 문화 대신 커피문화가 상용화되었다. 한때 신토불이라고 우리나라에서 나는 음식이 우리 몸에 좋다고 유행가가 등장할 정도로 우리음식문화 되찾기 운동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시장에 가면 많은 양의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식품들을 팔고 있다. 가장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산 식품들이 저가상품으로 많이 팔리고 있으며 육 고기 식품은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 각국의 식품들로 가득하고, 홍어의 경우 국산 흑산도 홍어는 잡히는 양이 적어 고가로 팔리고 있으며 그 대체식품으로 칠레산, 포클랜드선, 말레이지아산 등이고, 그 밖의 생선들도 각국의 생선들이 우리 식탁을 점령하고 있다. 이제 제사상에도 각국의 음식들이 올라 세계화시대를 실감케 한다. 주류도 세계 각국의 주류가 다 등장하여 우리나라 대중적인 주류인 막걸리보다 고가로 팔리고 있다. 음식 속에는 한 지역과 한 지역의 기후와 환경이 집약된 가장 효율적인 적응의 지혜가 담겨있다. 우리의 음식문화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간장과 된장문화, 김치, 떡, 한과, 수정과 식혜, 산나물 등의 전통음식문화가 밀려나고 그 자리를 햄과 소시지, 라면, 통조림, 커피, 탄산음료 등 인스턴트 문화와 퓨전음식의 문화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우리 몸의 구성성분이야 물이겠지만 기호식품들이 달라져 여러 성분의 혼합 상태가 되는 몸의 세계화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정신도 우리 것보다 외국 것을 선호하고 우리말보다 외래어를 선호하여 정신문화까지도 세계화시대에 걸맞게 퓨전문화가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전통의 가치는 붕괴되고 퓨전의 가치에서 지배하는 시대에서 우리는 이 땅에 사는 것인가? 세계화라는 환상 속에서 아무거나 먹고 몸을 살찌우는 슈퍼 퓨전의 꿈은 무엇인가? 비싼 외국의 음식을 먹는다고 해서 몸의 구성성분이 비싸지지 않는다. 비싼 음식을 섭취하는 자기 만족감에 혼자 도취되어 있는 것이다. 그것은 내가 물질을 남보다 많이 소유하여 남들이 평생을 두고 먹을 수 없는 음식을 혼자 먹을 수 있다는 진시황증후군의 자기만족과 승리감에 도취되어 있을 뿐이다. 막걸리 먹고 취하나 양주 먹고 취하는 기분이나 취하는 기분은 마찬가지다. 막걸리나 양주나 그 본질은 똑같이 물이라는 분자로 구성되었을 뿐이고 양주를 만드는 과정은 막걸리를 만드는 과정보다 많은 인간들의 노동력이 들어갔다는 것일 것이다. 음식에도 사람들의 올바른 정신이 들어간 음식은 몸의 구성할 때 안정된 자세로 구성되지만 음식에 오직 돈을 벌겠다는 대량생산의 비인간적인 대량소비를 의식한 식품이 몸에 들어가 글로벌 정신으로 자리 잡으면 그것이 편안하게 자리 잡겠는가? 글로벌 환상의 꿈으로 인간의 생명의 근원인 물이 구름으로 변한 무지개 환상에 젖어 다 같이 맑은 소리를 내며 흐르는 시냇물의 즐거움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글로벌 꿈은 모래사막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공장 굴뚝의 매연을 뒤집어쓰고 산성비로 내리 내리고 그러한 꿈은 혼자 오염된 하수로 지구의 생태계를 교란시키며 흘러갈 것이다.
*김관식 시인은 노산문학상 수상, 백교문학상 대상 수상, 김우종문학상 수상, 황조근정 훈장 등 다수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