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서울 용산구가 통합 복지 상담역량 강화를 위해 동 복지상담전문관 121명이 쉽게 읽고 활용할 수 있는 ‘복지상담 5대 슬로건’을 제작했다.
구는 동주민센터에서 초기 복지상담을 담당하는 근무자가 매일 민원 응대 시 숙지하고 활용하도록 슬로건을 소형 거치대 형태로 배포한다.
복지상담 5대 슬로건 제목은 ‘나는 용산구 마음복지 상담관이다’. 내용은 세심하게 : 얼굴표정, 시선, 목소리톤, 기분을 세심하게 관찰하기 확실하게 : 내담자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이해하기 알기쉽게 : 제도와 서비스 내용을 쉬운 말로 알기 쉽게 설명하기 가능하게 : 필요한 급여, 서비스, 복지안전망 등 가능한 자원 찾기 꼼꼼하게 : 초기상담 등 단순한 내용이라도 꼼꼼히 기록하고 관리하기 등이다.
슬로건은 이론과 실무를 결합해 개발했다.
사회복지실천론 중 관계의 7대 원칙인 개별화, 의도된 감정표현, 통제된 정서적 관여, 수용, 비심판적 태도, 자기결정, 비밀보장을 바탕으로 복지경력 2∼30년차 선배들의 상담 비법을 녹여냈다.
구 관계자는 “복지사각지대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가 잇따르며 위기가구 발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구 자체적인 선제대응이 필요하다”며 “상담역량 강화는 위기상태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복지신청주의 맹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고 전했다.
서울시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복지·건강 중심 동주민센터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2015년 시작한 찾동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편방문을 실시해왔다.
동행센터는 선별 방문, 선지원, 후검증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개편하게 된다.
김선수 용산구청장 권한대행은 “평소 복지 대상이 아닌 분들은 상담을 받아볼 생각조차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가족보다 가장 먼저 동 복지상담관을 떠올려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밖에 구는 용산우체국과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10월부터 등기우편물 체계를 활용한 위기가구 발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