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기초적인 인지 자료라 한다면 알고리즘이라 할 것이고 메카니즘은 작동하는 원리라고 할 것이다. 그렇기에 기초와 유기반응은 어떤 경우에든 반응과 인지를 할 것이다.
왜 그런가 하면 인간은 살아야 존재 가치를 알며 적응을 위한 함수가 즉 자기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가 몸에 병이 생겨 병원에 Admission(입원) 해서 수술 같은 것을 받게 되면 Dr가 하는 일은 먼저 환자의 반응을 알아본다. 1차 진행은 바로 반응이며 다음 순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이렇게 세상만사가 순서가 있듯이 모두가 이런 적용의 원리로서 작동될 때, 우리는 복잡한 인지기능에 따라 대응을 하며 모든 일을 시작을 하는 것이다.
행동심리학 연구는 못했지만 정신과 병원에서 오랫동안 근무를 한바 어깨너머로 짐작을 할 수 있기에 반응의 통계를 알 수가 있으며 깊은 고찰은 아니나 인간사의 일은 이런 일이관지(一以貫之)의 사례가 작동하고 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동하지 않고 침묵하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상대가 알 수가 없는 것이다.
비록 잘못하였을지라도 그에 대한 반성을 못하고 반복의 행동이 온다면 결국에는 부딪침과 잘못의 과오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즉 잘못을 인지하고 고지(告知)의 일이 있을 때 즉각 반응하는 일은 다음 순서를 생각하게 되고 알고리즘의 인지를 생각하는 동물의 유기적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필자는 시골 산속으로 들어와 호사를 누리며 살고 있으나 가끔 시골에서만은 아니지만 인간과 인간의 갈등이 발생하는 일들과 자주 마주하곤 한다.
논에 물을 대기 위해 다른 논에 물을 막고 자기의 논에 물을 받으면 심각하게 서로 다툼이 생기고는 한다. 이런 자기 아집과 이기주의가 시골에서는 심심찮게 보고 산다.
물론 한발 양보하면 되지만 1년 농사를 풍년 농사를 거두기 위하여 시기가 지나면 수확이 적게 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경우가 자주 일어나 앞집 옆집에서 서로 대화도 하지 않는 것을 보면서 사회적 동물이라 어쩔 수 없다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많이도 보았다.
이런 이상 기류를 보면서 내가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도시나 시골이나 모두가 같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일이 심각하게 발생 되었을 때 아무런 반응이 없이 지나가는 경우와 반응하는 경우는 다음에도 같은 일들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필자 바로 옆 밭이 하나 있는데 5월 지금쯤 농번기라 쇠똥을 잔뜩 받아놓고 몇 날 지나니 그야말로 냄새가 진동하여 문을 열 수 없는 지경의 극심한 공해가 있음에도 상대방은 그러한 것을 인지를 못한다 필자가 정중하게 그분을 만나 사정 이야기를 하였다. 사실 시골의 풍경이라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만나서 이야기 하지 않았다면 상대방은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하여 그분을 만나 사정을 하고 나니 그제 서야 밭을 갈아서 냄새를 줄이는 것이다. 그러니까 행위의 반복을 그냥 넘기게 되면 모든 사람이 피해가 갈 것을 알면서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 도시에서 그런 일이 일어났다면 아마 소송이 걸리지 않았을까?
의문도 들지만 서로가 풀 수있는 합리적 사고를 메카니즘으로 풀 수 있었기에 아무일도 없는 듯 지나간 것이다. 서로가 합리적으로 풀 수 있는 것을 알고리즘과 메카니즘의 반응에서 인지하지 못하고 나오는 경우이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다. 하여 존재 가치는 존재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상대방이 반응할 기회가 제공되며 반복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자는 합리로 생각하는 것이다.
미리 인지를 주무로서 미리 피해를 막을 수 있고 예방의 조치가 수반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내 존재를 너무 드러낸다면 반감을 가질 수 있으나 또 존재를 너무 감추다 보면 무시 당하는 경우에 이른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둘의 사이에서 오고 가는 고민을 소화 시키는 일로 일상을 지난다. 물론 살아간다는 일에 있어 당연히 피할 길 없는 수순의 방법이고 행동이라는 점에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현실이지만 그것이 삶의 방법의 척도라 보기 때문이다.
사는 것에는 정답이 없다고들 하지만 그 누구도 이것이 정확한 답안이라는 제시는 없기 때문이다. 하물며 신들의 말조차도 해석의 여지가 많은 말로 포장되기 때문에 서로 다툼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자기의 위치와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말의 꼬리로 지루한 설전이 나타난다. 예로 어느 경전이 수학적인 답안으로 이루어진다면 존립의 근거가 모호할 것이라는 점이다.
왜 그런가 하면 말이라는 것은 여지가 많은 개입의 자리가 있는 것이 인간의 언어이기 때문이 아닐까? 종국에는 신 또한 인간의 언어로 전달하는 모순이기 때문에 끝없는 분쟁과 싸움의 빌미를 제공한 신의 실수라고 해야겠다. 침묵이 금이라면 결국은 인간의 모순에 대한 변명이고 이 변명은 결국 핑계의 갈래로 말의 포장을 일삼고 있다는 점에서 신은 지속적 실수를 하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신은 인간의 곁을 떠나면 이미 존재가 없다는 것도 인간 양심이 야비하고 교활한 행동 양식이다. 신을 만든 인간의 지혜가 신의 발목에 잡혀 함정에 빠지는 영악한 우둔(愚鈍)도 물론이지만 -
언제나 인간이란 인간관계에서 고독할 수밖에 없는 존재라 체념의 문을 열어 놓고 살아야겠다. 오는 사람은 반기며 가는 사람은 원망하지 않는 일로 정리되고 내 모습 그대로 하루하루 희망을 섞어 역사 아닌 삶을 그리면서 지내야겠다.
사실 젊은 날의 몰랐던 일들이 나이가 익어갈수록 알게 되는 상대의 차이가 왜 그렇게 크게 보이는지를 생각하면 사는 일에 해답이 없는 모호한 숲이 고독하게 보이는지도 알 것 같다. 있어야 할 것은 점차 없어지는 것으로 변하는 것도 필연으로 느끼고 사는 것이 불편한 일이 있을지라도 또 새로운 것이 등장하는 이치가 당연지사라면 편린(片鱗)을
이제사 삶의 방식을 터득했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삶에는 죽는 날까지 절차탁마(切磋琢磨)해야 한다는 사실일 것이다.
2023. 05. 06.
대중문화평론가/금요저널 주필/칼럼리스트/이승섭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