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는 경기도지정문화재인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승격 지정(2023년 4월 28일)됐다고 밝혔다.
김보라 시장은 지난달 27일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청룡사에 지정서를 전달했다.
김보라 시장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문화재 지정서를 전달하게 되어 기쁘다. 청룡사와 함께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위해 힘써 나가는 동반자로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의 높이는 94cm, 폭은 52cm이다. 관음상은 그동안 조선 전기에 조성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분석 결과 고려 후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화문을 화려하게 장식한 높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불신(佛身)은 어깨와 무릎이 좁은 편이고 약간 앞으로 숙인 자세를 하고 있다.
양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가슴과 무릎 위에 올려 하품중생인의 수인을 결하고 있다.
얼굴은 비교적 갸름한 편이지만 치켜뜬 눈매와 작은 코·턱·양 뺨에는 양감이 느껴진다.
가슴에는 원형의 화문 장식을 중심으로 세 줄의 수식을 늘어뜨린 세밀한 영락 장식을 표현했고, 균형 잡힌 신체와 영락 장식 등 정교한 조각 기법 등 전반적으로 우수한 고려 후기 보살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가장 큰 특징은 소위 변형통견식 착의법이다.
착의법을 보면 오른쪽 팔에 편삼을 걸치고 그 위에 편단우견의 대의를 양어깨를 감싸듯 입은 모습인데 오른쪽 대의 자락은 어깨에서 반달형으로 걸치고 그 한 자락이 겨드랑이로 돌아 다시 왼쪽 어깨 위로 걸쳐지는 형식이다.
즉 이러한 착의법은 오른쪽 어깨 위의 대의가 반달을 이루며 왼쪽 어깨로 돌아가는데 왼쪽 팔꿈치에서 깊은 홈의 오메가형 주름을 만들면서 어깨 뒤로 길게 흘러내린 것이 특징이다.
노출된 가슴의 아랫부분에는 수평으로 가로지른 형상의 승각기와 군의를 묶은 띠매듭이 보인다.
이러한 착의법은 현존하는 고려 후기 보살상 가운데 가장 많은 작품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유형이다.
안성시는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승격 지정하고자 2020년 연구조사 용역을 실시했다.
그 과정에서 고려 후기의 양식을 계승해 조선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봤던 기존 인식과 달리 세부적인 표현과 양식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14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했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이 보물로 지정되면서 안성시 소재 국가지정문화재는 국보 1건, 보물 16건, 사적 1건, 국가등록문화재 2건, 국가무형문화재 1건으로 총 21건이 늘어났다.
그중 청룡사는 6건의 보물을 보유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