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국(가락국) 마지막 왕의 3왕자는 신라로 들어갔다. 가야국은 서기 42년에 경상도 6개 지역에 각각 가야로 건국했다. 김해지역 가야국은 세력이 약해져 서기 532년 신라에 멸망했다. 신라는 그곳을 금관군으로 바꾸고 마지막 양왕의 3왕자를 진골의 신분을 주어 나라를 지키게 했다. 3왕자가 신라 진출 후 활약한 모습을 보자.
첫째 왕자는 세종(世宗)이다. 『삼국유사』에는 세종이나 『삼국사기』에는 노종(奴宗)으로 기록했다. 그것은 동일한 사람의 이름을 한자의 뜻을 빌려 우리말로 표현한 훈차(訓借)는 세종이요, 의미와 관계없이 한자의 발음을 빌려 표기한 음차(音借)는 노종이었던 까닭이다. 『김해김씨족보』에는 무종(武宗)이다.
세종 장군은 서기 511년에 태자로 태어나 왕위를 잇지 못하고 532년(22세) 신라에 들어갔다. 551년(41세)에는 파진찬(4관등)이 되어 신라 8명의 장군과 함께 백제와 고구려를 침공하여 10개 군을 점령하는 데 공헌했다. 554년(44세)에는 백제가 신라 관산성을 침공할 때 동생 무력 장군과 함께 참전하여 승리하는 데 이바지했다. 568년(58세) 함경남도에 세운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에 이간(2관등)으로 왕의 어가를 수행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진흥왕의 최측근이 됐다.
577년(67세)에는 백제가 신라의 서쪽 변경의 주와 군을 침공하니, 신라 진지왕이 세종(世宗) 장군에게 명해 군사를 내보내 현재 경북 선산군의 북쪽에서 무찔렀다. 579년(69세)에는 신라 최고 벼슬인 상대등(上大等)이 되었고, 588년(78세)에 사망했다고 『삼국사기』는 기록하고 있다. 관등은 신라의 최고 관등인 각간이 되었다.
세종 장군의 사망은 분명하지 않다. 『김해김씨족보』에는 554년 또는 577년에 전사(戰死)한 것으로, 『삼국사기』에는 588년에 사망한 것으로 나온다. 세종 장군의 묘는 울산 태화성 아래에 있다고 기록한 『김해김씨족보』가 있다. 그러나 묘를 찾지 못했고, 비석은 어디 있는지조차 알 수가 없다. 세종 장군의 부인은 박씨이고, 장남은 솔우(率友)이며 솔우 부인은 계림김씨다. 후손이 있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안타깝다.
둘째 왕자는 무력(武力)이다. 『삼국유사』에는 둘째 아들 무도(茂刀)로, 『삼국사기』에는 셋째 아들 무력(武力)으로 기록했다. 『김해김씨족보』에는 모두 둘째 아들 무력(武力)이다.
무력 장군은 서기 518년 태어나, 532년(15세) 신라에 들어갔다. 549년(32세)에 아간지(6관등)가 되었다. 551년 신라는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 땅인 한강 유역을 차지한다. 그러자 신라는 나제 동맹을 깨고, 553년 진흥왕이 백제의 동북쪽 변경을 점령하여 한성(漢城)을 중심으로 신주(新州)를 설치하는데 무력 장군이 큰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신라의 신주(新州) 책임자인 군주(軍主)가 되었다.
554년(37세) 가을 7월에 백제의 성왕이 대가야, 왜와 손잡고 신라의 관산성을 침공하자, 마침 신주에 있던 무력 장군은 급거 출전했다. 비장(裨將)인 삼년산군(三年山郡)의 도도(都刀)가 빠르게 공격하여 생포한 성왕을 참수하자 백제군은 물러났다.
신라가 관산성 전투에서 패배했다면 백제가 삼국을 통일했을지 모를 일이다. 이 전투의 성과로 김해지역 가야국의 후예들은 신라에서 그 위상이 더 높아졌다. 무력 장군은 진흥왕과 사도왕후의 딸인 아양공주와 혼인하여, 47세 때 서현 장군을 낳았고, 서현 장군은 흥무대왕(김유신)을 낳았다. 진흥왕은 사위인 무력 장군과 협력하여 신라의 영토 확장에 큰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서기 554년 관산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무력 장군은 군사들을 이끌고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양등리 배내고개 부근으로 추정하는 태화관(太和關)으로 귀향한다. 그 후 신라를 튼튼히 하기 위해 교산윤산성(轎山輪山城)을 쌓는다. 이 산성은 양산 통도사 뒤편 영취산 정상에서 신불산 쪽의 능선에 있는 단조산성(丹鳥山城)으로 추정한다. 이 산성을 쌓은 후 골포(骨浦, 창원지역), 칠포(漆浦, 함안칠원지역), 감문(甘文, 김천개령지역), 초팔혜(草八兮, 합천초계지역), 사벌(沙伐, 상주지역) 등의 나라를 항복 받았다.
무력 장군은 579년(62세) 2월, 백제가 웅현성, 송술성을 쌓아서 신라의 서북 지역에 있는 산산성, 마지현성, 내리서성 등을 공격할 때 신출귀몰한 전략으로 반공 격파했다. 그해 10월 다른 전투에서 전사했으나, 장소는 기록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전사 후 신라 왕실과 백성들은 비탄과 통분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신라 제26대 진평왕은 무력 장군의 공적을 숭모하여 사패장(賜牌葬)으로 정하여 경상남도 영축산 일대를 사패지로 하사하고, 석물을 갖추어 안장하게 했다. 관등은 신라의 최고 관등인 각간이 되었다.
셋째 왕자는 무덕(武德)이다. 『삼국사기』에는 둘째 아들 무덕(武德)으로, 『삼국유사』와 대부분의 『김해김씨족보』에는 셋째 아들 무득(武得)으로 기록하고 있다. 생몰 연도는 전해지지 않고 후손도 기록이 없어 알 수가 없다.
『김해김씨족보』에 보면, 무덕의 호는 의경(義卿)이고 현재 강원도 춘천 지역인 수약주(首若州), 현재 경기도 광주 지역인 한산주(漢山州)를 정벌했다고 하니, 무덕 장군도 신라를 위해 공헌했다. 옛날에는 제향을 관정동(觀晶洞) 백중사(伯仲祠)에서 한다고 했다. 현재 관정동은 어디인지 알 수가 없고, 제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부인은 이찬(2관등) 개물(改物)의 딸 김씨라 기록하고 있다. 무덕 장군도 관등은 신라의 최고 관등인 각간이 되었다.
역사는 현재의 거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생활과 행동의 교훈이 되기도 한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한 강점기를 비추어 본다면, 신라는 가야국을 점령하여 왕족과 백성들을 받아들이고, 왕족을 진골의 신분으로 부여했다는 것은 참으로 통 큰 정치다. 3왕자는 신라에 들어가 사심 없이 몸을 바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