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신 장군의 수련(修鍊)

    김성문(사)가야연구원장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3-06-23 07:59:09

    우리는 어떠한 목적이 있을 때 심신을 수련하면서 성과를 바랄 때가 있다. 김유신 장군은 충청북도 진천에서 태어나 말을 타고 활쏘기 연습을 하면서 무예를 닦았다. 신라의 변방에 있으면서 나라를 지켜야 하겠다는 염원이다. 김유신 장군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심신을 수련한 곳에 가 보았다. 진천의 김유신 장군이 탄생한 곳에는 치마대(馳馬臺)로 불리는 곳이 있다. 치마대는 장수나 병사들이 말을 타고 활쏘기, 칼 쓰기, 창 쓰기 등으로 수련하는 곳이다. 치마대는 지역 곳곳에 있다. 김유신 장군도 유년 시절 진천 탄생지 근방에서 활쏘기로 수련하였기에 그 장소를 치마대로 부르고 있다. 탄생지에서 남서쪽으로 직선거리 약 500m 지점에 있는 투구바위에서도 무술을 연마했다고 전한다.

     

    진천 탄생지에서 열심히 무술을 단련한 김유신 장군은 15세 이전 어느 시점에 서라벌로 와서 생활하게 되었다. 김유신 장군의 외조모인 만호태후는 신라 진흥왕의 여동생이고, 딸인 만명(萬明)과 김유신 장군의 아버지인 김서현 장군과의 혼인을 반대했다. 아마도 출신 성분이 달라서 근친혼으로 혈통을 유지하는 데는 곤란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만호태후는 진천에서 생활하는 외손자를 한없이 보고싶은 마음이었다. 그런데 하늘의 해와 같은 모습으로 제왕(帝王)의 얼굴 모습이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성장 소식을 들은 만호태후는 외손자로 인정하고 서라벌로 불러들였다. 김유신 장군을 보자 기뻐하면서, “이 아이는 정말 내 손자다.” 라고 했다. 만호태후가 이렇게 하므로 마침내 가야계는 김유신 장군을 받들게 되었다고 『화랑세기』 「유신공」 조에 전한다.

     

    서라벌로 들어온 김유신 장군은 서기 609년(15세)에 화랑이 되어 용화향도(龍華香徒)라 불리던 자신의 낭도(郞徒)를 이끌고 화랑정신을 길렀다. 용화는 미래의 부처인 미륵이 후세에 인간 세계에 내려와 인연 있는 사람들에게 3회에 걸쳐 설법을 한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향도는 향(香)을 매개로 하여 군과 현 또는 촌락 단위로 조직된 불교 신앙 조직이자 지역공동체를 말한다. 김유신 장군이 거느린 낭도의 집단 명칭이 용화향도였다는 것은 화랑도가 가지는 미륵 신앙과의 관련을 암시한다고 본다. 당시의 화랑 집단은 국선화랑인 풍월주 1명에 그 아래 부제(副弟) 1명이 있고, 부제 밑에 여러 명의 화랑과 700∼800명 정도의 낭도가 나라를 지키게 됐다. 김유신 장군은 서기 612년(18세)에 풍월주가 되었다.

     

    경주시 건천읍에 있는 화랑들이 수련했던 단석산에도 가 보았다. 단석산은 통일신라 전에는 중악(中岳)으로 불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는 팔공산이 중악이다. 단석산에는 상인암이 있고, 상인암을 탱바위 또는 승상암(僧像巖)이라 한다. 서기 1969년 『한국일보』사가 주관한 신라오악조사단(新羅五岳調査團)에 의하여 상인암은 김유신 장군이 삼국통일의 염원을 신명(神明)에게 기도하던 중악의 석굴임이 밝혀졌다. 상인암에 새겨진 명문(銘文)에 의하면, 상인암의 본래 이름은 신선사(神仙寺)였다. 단석산 7부 능선 쯤에 있는 상인암 바로 북쪽에는 6~7세기경에 잠주(岑珠) 스님이 창건한 새로운 신선사(神仙寺)가 있다. 서기 2019년 3월 1일 신선사 요사채에서 만난 용담 주지 스님은, “단석산은 신라 시대 화랑들의 수련 장소로 이용되었던 곳이다. 그들은 석굴에 불상을 새기고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어 기도했다. 이 석굴사원이 상인암이다.” 라고 했다.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김유신 장군은 서기 611년(17세)에 고구려, 백제, 말갈이 신라의 영토를 침범하는 것을 봤다. 의분이 북받쳐 적(賊)들을 평정할 뜻을 가지고 홀로 단석산 석굴에 들어갔다. 나라의 환란을 없앨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하늘에 고하면서 기도했다. 나흘 후 홀연히 한 노인이 거친 베옷을 입고 나타나 자신을 난승(難勝)이라 하며, “이곳은 독충과 맹수가 들끓어 두려운 곳인데, 귀한 소년이 무슨 연유로 왔느냐?” 라고 물었다. 난승은 신령(神靈) 또는 도사(道士)라는 생각이 든다. 김유신 장군도 노인이 범상치 않은 사람인 줄 알고, 다시 절하고 신라 사람이라 말하면서, “나라의 원수를 보니 마음이 아프고 머리가 근심으로 가득 차 있으니 방술을 일러 주십시오.” 라고 요청했다.

    [김유신 장군 단석산 수련도]

    김유신 장군이 예닐곱 번 요청하니 노인은 이윽고 비법을 주면서, “삼가 함부로 전하지 말고 의롭지 못한데 쓴다면 도리어 그 재앙을 받는다.”라고 했다. 노인은 말을 마치자마자 곧 떠나 2리쯤 멀어졌다. 김유신 장군이 쫓아가 둘러보았으나 보이지 않고 오직 산 위에 오색 빛만 찬연했다는 내용이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편에 전한다. 김유신 장군은 단석산 석굴에서 검(劍)을 앞에 두고 향을 피워 기도 후 신검(神劍)을 얻었다. 시험 삼아 그 칼로 큰 돌을 자르니, 그 잘린 돌이 쌓여 산과 같았다. 그때의 돌이 아직 남아 있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주부」 편에 전하고 있다. 단석산은 월생산(月生山)이었는데 큰 돌을 잘랐다고 단석산으로 부르게 되었다. 잘린 큰 돌 밑에 절을 짓고 단석사(斷石寺)라 불렀다.

     

    단석사는 현재 큰 돌인 송곳바위(천주암) 밑에 절터의 형체만 보인다. 큰 돌은 단석산 정상에 갈라진 바위가 아니다. 정상에서 북동쪽으로 등산로를 따라 약 1km 내려가서 오른쪽으로 50m 들어가면 큰 돌인 송곳바위가 잘리고 남은 부분이 아직도 우뚝하게 서 있다. 서기 612년(18세)에 이웃 적국들이 한층 더 신라를 핍박해 왔다. 김유신 장군은 장렬한 마음이 더욱 격동하여 홀로 신검을 차고 현재 울주군 두서면과 두동면에 있는 백운산인 열박산(咽薄山) 깊숙이 들어갔다. 가지고 간 신검에 더 큰 영험을 받기 위해 단석산 석굴에서와 같이 기도했다. 3일째 신검이 마치 움직이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김유신 장군은 수련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서기 617년(23세)부터 628년(34세) 사이 7년간 가야국 양왕인 증조부 능도 보살폈다. 능을 보살피면서 능 아래에서 활쏘기 연습을 했다는 사대비(射臺碑)가 김유신 장군을 생각하게 한다. 수련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명상이든 운동이든 마음을 집중하고 안정시키면 신체의 면역력이 강화되어 건강과수명에 도움이 된다. 수련은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한곳에 마음을 집중시키면 기(氣)가 모여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그 힘은 초능력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한다. 김유신 장군은 강한 수련으로 신비한 능력을 가졌을 것 같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