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는 사이언스(Science)다]

    {시는 과학?}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3-07-25 19:21:59

     

    [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시인]

    시는 과학이라고도 하며 마음을 꺼내서 쓰는 창작성을 구축하는 상상의 나래라고들 한다.

    그렇기에 마음의 언어의 도구로 그리는 행위이기에 언어로 포착된 1편의 시에는 삶과 배경, 혹은 미래로 향하는 시적 의도가 선명히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냉철한 이상과 따스한 감성이 복합적으로 결합할 때 비로소 시의 성()을 구축할 수 있다는 논리이고 미학의 감수성이나 차가운 이성을 가질 때만이 시의 이름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문학의 장르라는 것은 운문(韻文)에서 의 특성은 가장 치밀하고 가장 근엄하고 또 고독한 상황을 이해할 줄 아는 詩心을 가진 자만이 의 중심에 이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아니면 시의 성주는 결코 문을 열지 않는 옹고집을 갖고 있기에 때로 상량한 표정을 알고 그런 뜻을 이해하고 가진 자에 허락을 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시는 정의로 서가를 장식하는 이름은 아니다. 그렇지 않다면 장식으로 책장의 구석을 채우는 단지 이름에 불과 하다는 미명에 만족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여기서 시의 한가지 명확한 특성은 시는 Science 결합이라는 것이다.

    나는 수학을 가진 진실의 숫자라 칭할 때 그렇게 정치(精致)함을 요구한다는 뜻을 설명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언어와 언어의 단순한 결합이 아니라 피돌기의 구조를 갖고 화학적 반응으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詩語로 환생하는 절차가 수행될 때 비로소 1개의 이미지가 구성을 위해 보폭을 옮기는 설득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도 이미지와 이미지의 결합은 현실적인 모습이 아니라 결합의 결과가 화학적인 제3의 의미로 이어질 때 이미지의 숲을 구성하는 무성함이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이다.

    나는 과학, 수학을 하지 못해 숲을 이루는 글을 쓰지 못하여 구속에 매달려 있다고 보지만 위와 같은 일들을 구성의 원리로 포함 시킬 수 있다면 경우에 따라 냉냉하고 입장이 전환 화면서 따스함을 간직하는 신선한 시의 가치가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필자가 2009년도 이천 문사원에서 황금찬시인의 의 구성을 수업 받을 때 느낌을 전달한다고 할까. 필요한 한가지가 바로 창작자의 '마음, 이 주요 모티브를 형성하는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작고하신 문사원 채수영 박사에게 수없이 들어 왔기에 시는 사랑을 암시 하거나 노래하는 몫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시인의 마음이 어떤 함량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둑 시인 프랑소아, 뷔용은 감옥에서 시를 썼지만 출옥하면서는 시를 버린 행적처럼 - 그의 [유언시집]은 전반부에는 감옥과 간수에 대한 증오, 저주받은 청춘과 배반 받은 연애에 대한 회한 등이 생의 허무와 무상을 노래했고 후반부에는 은인, 어머니, 여자, 친구들에게 보낸 유언에 야유, 조소, 해학을 섞어 그 속에 자기의 모든 감정을 담았던 진실의 언어가 감옥 안에서 나왔다는 사실-

    어둠의 감옥 속에서 시의 빛을 발견한 것이라면 감옥 밖에서는 아예 감수성을 잃어버리는 눈이 보이지 않는 마음을 읽게 된다.

    의식의 두 세계 중에 특이하게도 어둠의 그의 시는 결국 프랑스에서 서정시의 개척을 이룬 공로가 있다지만 불행히 어디에서 죽었는지 그림자조차 발견하지 못한 신비의 시인이었다고 하지만 필자도 지나가듯이 본 경험과 간접적으로 수업을 들은 바에 의해 옮겨보는 것이다.



    시는 포괄적 언어라고 배웠기에 시인의 창작에는 저마다의 습관과 맥락이 있다고 한다.

    불빛이 환한 세상에서 시를 만나는 시인이 있는가 하면 어둠 속에서 아니 아픔과 그리움 속에서 오히려 빛을 찾아 나서는 시의 창작 습관은 서로 다르지만 물론 나는 후자의 속 하지만 이는 중요한 이유는 없다고 본다. 어디에서 집중의 근거를 찾아 거기에 온 정신으로 투시의 빛을 모을 수 있는 프리즘의 기능과 창작자와 마음이 일치할 때 비로소 결과물에 도달한다고 한다.
    어떤 시인은 소음이 있는 시장에서도 시 쓰기가 가능하고 또 음악을 들으며 거기에 빠져드는 정서의 이끌림을 가질 수 있을 때, 각기 다른 환경에서도 시를 두드리는 행동을 보인다. 시는 장소의 문제나 상황의 문제가 아니라 의 꼬리를 어떻게, 어떤 상황에서 시를 대면하는 가의 여부는 전적으로 시인의 성품에서 저마다 다른 태도로 대면하는 것이기에 이는 체험을 용해하거나 가상 창작으로 이미지로 결합하는 일은 각자 시인의 두뇌에 치밀성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사실 시는 이미지와 이미지의 결합이 논리와 이성 그리고 결합이 무결점으로 완성될 때 시와 사이언스(Science)의 유사성이 일치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흔히 오랜 경륜의 시인 작품과 신인의 시의 차이는 이런 경험에 용해하고 많은 지적능력, 지식 즉 수많은 책을 소화한 것을 언어로 표현하는 결합의 무결점이 없을 때 원로의 작품에서는 흠결이 없지만 신진 시인의 작품에서는 과도한 수사와 꾸밈이 나열될 뿐 결합의 무결점이 아닌 절뚝거리는 언어의 튀기만 보일 뿐이라는 것이다.

    시적 풍모가 안정감과 의미에 무결점을 보일 때 독자의 마음을 잡을 수 있다고 한다.

    신인의 작품에는 꾸밈이 과도하면서도 안정감을 이탈한 털털거림이 장애 요인으로 나타난단다.

     

    단지 얼마나 치밀한 경험과 사물을 결합할 수 있는 가의 여부가 시의 안정성과 메시지 전달에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느냐의 달려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는 치밀한 정신의 요소를 적재적소에 배합하는 기술과도 다름이 없을 때 시인의 역활은 때론 장인 정신의 임무를 부여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오랜 습작과 열망의 결합이 집중될 때 날마다 시를 대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비평가들은 역설하고 주장들을 많이 하는 것을 보았다.
    다시 말해 시는 배움의 척도 보다는 시야를 넓게 보는 안목과 치밀성, 논조 수사, 등을 알고 있어야만 한다는 것인데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오랜 습작, 열망의 결합, 집중의 난이도라 할 수 있겠다. 라고 비평가들은 말들을 한다.


    필자는 솔직히 말해 어두운 터널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우울증세, 정신사고, 어리숙한 생각, 등을 겪으면서 정신적인 책을 많이도 보았다고 자부한다.

    미치지 않고서는 시인이 될 수 없다 했듯이 미치지 않고는 시적 감각이 떨어진다고 보는 초로이기에 정신적, 물리적, 스승인 황금찬 스승과 이천 문사원 채수영 박사에게 감사를 드린다.

     

    좋아서 하는 일에는 신명이 나는 법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일에 대한 호볼호의 상관이 능력으로 귀결되는 이유도 가미될 것이다.

    누구나 능력이란 결과 앞에서 운위하는 설득일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일이라도 동일한 시간에 감동과 감탄을 보낼 수 있을 만큼 커다란 업적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그 업적의 성과에 대한 평판조차 훌륭할 수 있다면 이는 좋아서라는 피상적인 말이 핵심을 벗어나는 경우는 아닐 것이다.

    사실 시라는 존재는 창작, 과학, 등 무한대(無限大)의 미학의 선율이라는 데에는 모두 공감을 할 것이다.

    그리고 시의 밭을 일구는 일은 성실과 노력 운명에 밭을 헤쳐나가는 슬픔에서도 웃음기가 있고 밝은 표정으로 다가오는-

    쓸쓸함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언제나 노랫가락의 길을 따라 숲으로 가면 되는 것이다, 라고 하면서 [의 사이언스(Science)]{시는 과학이다.}라는 말로 결말을 내면서 에필로그 한다.

     

    2023. 07.

     

    [대중문화 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시인]

     

    [삼라만상]

     

    [이승섭시평집 [시의 숲에 빠지다.] 베스트셀러가 되다]

     

    [자연 과학의 신비]

     

    [자연의 생명 사상]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