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좇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할 수 있다. 하지만 돈에 눈이 멀어 불공정한 상황을 공정하다고 착각하며 살아가는 것은 다른 문제다.
저자는 자산축적에만 온 힘을 쏟고 있는 현시대의 한국의 ‘숫자 사회’를 조망한다. 거의 모든 세대가 벼락부자는 둘째치고 ‘벼락 거지’를 피하고자 죽기 살기로 자본 사회에 뛰어든다.
결국 강박적 숫자사회가 인류를 더욱 절망으로 몰아넣는다는 것.
책은 사회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돈 앞에 무릎 꿇어버린 한국 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남들을 따라잡기 위해, 그리고 뒤처지지 않기 위해 ‘영끌’을 해 부동산을 사고, 부동산이 어려우면 주식과 코인을 하고, 자칫 투자에 실패해 극단적 선택에 이르기도 하는 모습은 숫자가 전부가 돼버린 한국 사회의 현주소다.
2장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뒤처지는 것을 염려하는 한국 사람들의 심리를 분석한다.
대한민국 다수의 사람들은 평범한 삶을 원한다. 한국인이 생각하는 평범이란 평균을 의미하고 이는 곧 중산층의 삶이다. 대체로 한국인에게 중산층이란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보유, 월 500만 원 이상 등 자산에 대한 기준으로 구별된다. 하지만 프랑스의 경우 중산층의 기준은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거나 다룰 줄 아는 악기가 한 가지 이상 있을 것, 남들과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가 하나 있을 것 등 삶의 태도나 가치관에서 중산층의 기준이 결정된다.
삶의 태도와 가치관이 아닌 경제적 수준이나 자산 가치에 함몰된 ‘평균’에 대한 인식은 실제 평균 수준보다 항상 높게 측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허상의 평균은 자신이 남들보다 뒤처졌다는 생각에 매몰되게 만든다.
이어 3장에서는 가치관에 변화에 따른 성공의 개념을 설명하며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 사회가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목표를 제시한다.
저자는 숫자사회의 욕망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가치 실현이 필요하다고 부연한다.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것은 돈도, 자산도 아닌 행복이다. 숫자는 결코 인간의 행복의 지표가 될 수 없다.
한국 사회는 숫자 너머의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 공동체·다양성·신뢰회복 등 숫자 너머에서 외면당한 가치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책은 상대적 박탈감, 불신의 문제가 발생하는 한국의 물질 만능주의 사회의 문제를 짚으며 한국 사회가 이를 풀어나가기 위한 다양한 생각들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