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전남도, 지방국토관리청 관할 영산강 유역, 그리고 전장포 등 도내 곳곳에 현재 활동하고 있는 향토시인들의 시들로 새겨놓아 우려를 낳고 있다. 이들 시비들이 하나같이 시적인 완성도가 미흡하거나 관광명소와 부합되지 않는 시들어서 우리 고장의 품격은 물론 향토문인들의 위상을 떨어뜨리고 있다.
특히 예부터 영산강은 정자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최지몽, 정가신, 전주정, 윤보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송순, 정철, 양산보, 신숙주. 기대승, 김인후, 임제, 나위소, 초의선사. 등 기라성 같은 선비들이 장지문학을 꽃피워 왔다. 그 결과, 호남이 선비의 고장이며. 예향으로 널리 일려졌다. 그런데 이런 선비들의 시가 적재적소의 관광명소에 새겨져야 마땅함에도 현재 활동하는 시인들의 조잡한 시들로 채워져 예향 호남의 전통을 되살릴 수 있도록 시비의 교체가 시급한 실정이다.
영산강 석관정의 경우, 석관귀범의 뒷면에 일제 감점기 시대의 목화 재배 문화와 영산강 범람을 피가 흐른다고 부정적으로 왜곡하고 있는 등 영산강 1경, 죽산보, 승천보 등에 졸속한 현역 향토시인의 시비를 새겨놓아 빈축을 사고 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새우가 가장 많이 잡히는 고장인 임자도 전장포의 경우, 새우잡이의 명소의 이미지에 걸맞는 시가 시비로 새워져야 함에도 새우조각상 아래 “전장포 아리랑”이라는 시비는 새우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엉뚱하게도 전장포 앞바다의 섬 지명과 이 섬을 앉은뱅이로 비하하고, 덕장을 멸치만 잡히는 것으로 잘못 진술했는가 하면. “신마이 그물”이라는 일본어까지 시어로 사용하는 등 주민들의 생활모습을 부정적인 이미지로 부각시켜놓고 있는 등 도내 곳곳의 시비의 전면적인 교체로 예향 호남의 이미지를 되살려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