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 김장을 할 때 내 고향 전라도에서는 거의 멸치젓갈로 김치를 담았었다. 그런데 서울 올라와 수 십년을 살면서 서울 사람 입맛으로 바뀌었다. 주위 사람들이 새우젓갈로 김치를 담는 바람에 김치의 입맛이 새우젓으로 변한 것이다.
고향을 떠나온 후로 일년에 한두 번씩 꼬박꼬박 고향을 찾았으나 나이가 들어갈수록 고향 생각은 더 많이 나는데 가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었다. 그나마 코로나바이러스로 외출을 자제하다보니 고향 생각이 더 했다. 2020년 코로나 19가 심하게 번질 무렵 지도와 임자도 간에 연륙교가 개통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필자는 한때 고향 사랑하는 단체와 ‘서남해안포럼’ 에 참여하면서 그 누구보다도 서남권 특별법에 관심을 갖고 지켜봤기 때문이다.
고향 갈 때마다 비교가 되었다. 타 도는 순간순간 바뀌는데 고향은 언제나 낙후된 그대로였다. 그래서 서남권 특별법에 매달리기 기도했다.
배를 타고 임자도를 가보았던 때가 까마득했다. 언제 고향에 들리면 임자도 연륙교를 가보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그게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때마침 2022년 11월 전남도청 행사에 참석차 목포에 내려갔다가 회장직을 맡은 후배 채모 기자가 “모처럼 고향에 내려왔으니 임자도 인근 관광이나 하고 쉬었다 가자고 제의했다.” 한걸음에 임자도 연륙교를 건너 대광해수욕장을 찾았다. 옛날과는 딴 판으로 매끄럽게 관광지 전경이 바뀌어 있어 반가웠다.
채기자는 이왕에 임자도에 왔으니 전장포에 들려 새우젓이나 사가자고 했다. 가는 길목마다 대파밭이 즐비했다.
대파밭을 따라 전장포를 처음으로 가보았다. 드럼통에 비닐을 씌운 크고 작은 새우젓갈통이 즐비했다. 선착장을 들러보니 새우조각상이 눈에 띄었다. 사진이 전문인 후배가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새우 조각상 옆에 서보라고 해서 모처럼 포즈를 취하고 아래를 내려다보니 조각상 바닥에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전장포 아리랑” 이라는 시였다.
가만히 읽어보니 이곳 앞바다에서 보이는 조그만 섬들이 있었는데 그 시에 “각이도 송이도 지나 안마도” 라는 말이 나와 아마 이 섬들의 이름을 말하고 있구나 생각했다. 이 섬들을 모두 “앉은뱅이”라고 하고 있었다. 섬 모양이 바닷물에 잠긴 모습이 앉은뱅이 같아서 그랬을 거라고. 그런데 왜 하필이면 장애를 갖은 부정적인 말로 표현했을까 의문이 생겼고, “산마이 그물” 이라는 일본어 시구를 발견하고 무언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일본어와 전장포 아리랑, 아무래도 부자연스럽다는 생각이다. 나는 시에 대해 잘 모르지만 새우 이야기는 없고 전장포 앞바다에 보이는 섬들을 앉은뱅이라고 하는 시, 전장포 새우젓갈이 맛이 있다고 알려졌지만 이 글을 읽고 새우젓갈의 명성에 타격을 입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후배가 어거지로 사서준 새우젓갈로 작년 감장을 해서 맛있게 먹고 있다. 새우젓갈 판매점의 명함도 일부러 챙겨왔다. 올 김장철에도 전장포 새우젓을 주문하여 김장을 담을 생각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로 꺼림칙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고향 사람들의 경제생활이 다소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전장포 새우젓으로 김장 할 작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