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경남도는 정부의 ‘필수의료 혁신전략’ 일환으로 내놓은 의대 정원 확대 계획과 관련, 창원특례시 의과대학을 신설하고 경상국립대 의대 정원을 늘릴 것을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또 “330만 도민의 염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며 비수도권 의료서비스 지역격차 해소를 위해 의대 정원 확대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고 지지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경남도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서비스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 의대 중심 정원 확대·지역인재 선발 강화·지역 내 남을 수 있는 ‘지역의사제’와 같은 제도 등 일련의 과정이 완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구 100만 도시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창원특례시에 정원 100명 규모의 의대를 신설하고 경상국립대 의대 정원을 76명에서 150명으로 늘릴 것을 정부에 강력 촉구했다.
경남도는 지난해 11월 의사인력 확충을 위한 ‘의료분야 대학설치 전담팀’을 구성, 창원특례시 의과대학 신설과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정원 증원 등 의사인력 확충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정부·국회 등을 방문해 건의해왔다.
박완수 도지사는 “의대 정원 확대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 확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 도의 입장이 정부의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나아갈 것”이라며 330만 도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박 지사는 또 “의대 정원이 확대되고 의사가 양성 배출 될 때까지 최소 1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며 “그동안 의사 수 부족에 따른 의료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24시간 응급의료기관 운영, 소아진료 전담의 지원, 수련병원 전공의 정원 확대 등 도민에게 적정 수준의 필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사인력 확충 방안’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남도의 인구 10만명당 의사 수는 174.2명으로 이는 전국 평균 218.4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국 12위 경상남도 활동 의사 수는 5,716명으로 전국 평균인 7,000여명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특히 소아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과목에 대한 기피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의과대학 정원 또한 1개소 76명이며 인구 10만명당 2.3명으로 전국 평균 5.9명의 39% 수준에 불과하다.
전국 13위 현재 의대 수와 정원이 적은 경남도는 강원, 전북 등 타 시도 인구 대비 정원에 크게 못 미치고 도 단위 의대 정원 평균 126명에 대비해도 많이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