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명맥이 끊겼던 청소년 문학잡지를 최근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이 창간했다. 이 잡지가 '유튜브' 등에 밀려 침체한 청소년 문학 활성화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하고, 그 흐름을 주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근대문학관은 최근 청소년 문학잡지 '빈칸(BLANK)' 창간호를 발행하고, 인천지역 모든 중·고등학교 도서관과 문학담당 교사, 전국 교육청 산하 도서관 등지에 총 2천부를 배포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근대문학관은 '빈칸' 창간호를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온라인에도 올릴 예정이다. 발행 간격은 일단 매년 1회씩이다.
계간 '청소년문학'이 2011년 겨울호를 끝으로 폐간하면서 청소년을 위한 문학잡지는 사라졌다. 출판 시장에선 아동문학보다 훨씬 수요가 적다고 보는 분야가 청소년 문학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문학보다 문제집에 더 얽매여 있다는 건 누구나 안다. '빈칸' 창간은 청소년 문학 작가들의 글을 전담하는 지면이 생겼다는 의미도 있다.
잡지 '빈칸' 창간호(사진)는 아동·청소년 소설 작가와 평론가, 학교 교사, 디자이너 등이 편집위원으로 참여해 만들었다. 이름 '빈칸'은 청소년 문학의 부재, 정서적 결손, 꿈 등을 채울 열린 공간이란 의미를 담았다. '빈칸' 창간호는 인공지능(AI와 챗GPT) 시대의 글쓰기를 다룬 특집 2편, 청소년 눈높이의 시, 소설, 희곡 등 작품 14편과 문학·만화·TV 프로그램 등을 다룬 리뷰 17편을 실었다. 특히 리뷰의 일부는 만화로 제작돼 눈길을 끈다. 중·고교생의 글도 2편 담았다.
현재 '청소년기본법'상 청소년은 만 9세 이상 24세 이하다. 이 법은 '청소년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정당한 대우와 권익을 보장받음과 아울러 스스로 생각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청소년이란 단어 자체가 규제와 보호 대상만으로 의미가 축소된 지 오래다.
100년 전인 1923년 5월1일 소파 방정환(1899~1931)이 주창한 '어린이 해방 선언' 이후로 청소년은 사회 주요 구성원으로 활약했다. 1960년 4·19 혁명의 시발점이자 주축도 청소년이었다. 1970년대는 청소년 잡지 전성기였다.
지금 온라인 포털 사이트 뉴스에서 청소년을 검색하면 청소년 연루 각종 사건 기사가 주로 보인다. 최근 더 부각되는 건 '청소년'이 아닌 각종 사건 당사자나 K-팝 등 대중문화 산업 소비자로서 '10대'란 단어다. 청소년이 사라진 시대 문학을 읽는 주체로 청소년을 다시 호명한 '빈칸'의 시도가 대담해 보이기도 한다.
아동·청소년 문학 평론가인 송수연 '빈칸' 편집위원은 창간호 권두언에서 "청소년 문학이 문학의 하위 장르로 든든하게 자리를 잡았지만 어쩐지 독자인 청소년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현실"이라며 "청소년과 청소년 문학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하고, 청소년들을 문학 장(場) 안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이끌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