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에 젖은 참새', 노작(露雀). 화성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이자 한국 근대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 홍사용 선생의 호에는 희망이 깃들어 있다. 그는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민족의 아픔을 '눈물'로 응축해 다루면서도 단순한 감상주의에 머물지 않았다. 시·소설 집필부터 연극 연출·평론·작사 등 다양한 매체를 종횡무진하며 저항의 날갯짓을 펼쳤다. 그렇게 암울한 현실에 맞선 그의 사투에 눈물은 증발해 이슬로 승화됐다.
화성시 동탄에 위치한 노작홍사용문학관 상설전에서는 한국 근대사와 맞물린 홍사용의 작품 일대기를 총망라해 살필 수 있다. 육필 원고, 문예지 창간호, 서간문 등 역사적 가치가 상당한 자료들이 전시실 1층과 2층을 아우르며 관람객을 맞이한다.
전시실 1층에 들어서면 1922년 1월 출간된 문예동인지 '백조'의 창간호가 눈에 들어온다. 노작홍사용문학관에서는 표지가 사라진 기존 판본을 복원한 백조 창간호를 살펴볼 수 있다. 창간호 장정은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을 오마주한 듯한 모습으로, 조개 껍질과 비너스를 조선백자와 여인의 형상으로 표현했다.
문예동인지 백조는 편집인이던 홍사용을 필두로 나도향·박영희·최승일·현진건·이상화 등 예술인들이 참여했으며, 한국 근대 낭만주의 문학 운동을 선도했던 잡지로 평가받는다. 백조가 창간되던 당시 10대~20대 초반이던 이들은 동인지를 만들며 문예 의식과 인문적 교양을 다져 나갔다.
손택수 노작홍사용문학관 관장은 "백조는 문인들만 참여한 게 아니라 연극인들도 함께 나서 다양한 문화적 실험들을 했다. 한국 근대문학의 요람과도 같은 잡지"라며 "장르와 장르 사이 경계를 넘나들면서, 현대로 치면 미디어로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고 역사적 가치를 설명했다.
1920년대 중반부터 그는 '토월회'라는 극단에서 활약하며 이후 '산유화회'라는 극단을 조직해 연극인으로서도 발자취를 남긴다. 전시실 2층에서는 토월회 활동 당시 사진과 신문 기사를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그는 민족 운동적 성격으로 희곡을 집필하며 일제에 저항했다.
전시실 군데군데서 느껴지는 예술과 독립을 향한 홍사용의 올곧은 정신은 관람객의 발걸음을 멈춰 세운다. 1941년에는 일제의 강요로 희곡 '김옥균전'을 쓰다 돌연 붓을 꺾어버리며 주거 제한 조치를 받기도 했다.
이렇게 꿋꿋이 예술혼을 펼쳤지만 홍사용은 사후 오랫동안 문단에서 잊힌 존재였다. 생전에 본인 작품들로만 채운 단행본을 출판하지 않은 데다, 여러 방면에서 활동한 이력은 되레 그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홍사용의 유족과 그를 기억하고 연구하던 문인들의 노력 덕분에 다시 빛을 보게 됐다. 지난 1976년 유족들이 시와 산문을 모아 '나는 왕이로소이다'를 간행했다. 1984년에는 수원문인협회에서 그의 묘 앞에 시비를 세워 지역사회에 본격적으로 홍사용을 알리기 시작했다.
전시를 관람하고 나와 노작홍사용문학관 외부에 마련된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홍사용의 묘역과 그를 세상에 널리 알린 시비를 만나볼 수 있다. 묘역으로 가는 길목 곳곳에는 홍사용의 대표작들을 벽에 새긴 시벽도 자리한다. 노작홍사용문학관은 매주 월요일 휴무이며, 상설전 관람은 예약 없이 현장 방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