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면서 한 번쯤은 자신의 존엄을 침범하는 규범과 맞닥뜨린다. 누군가의 딸로서, 아들로서, 혹은 여성으로서, 남성으로서…. 사회가 만들어놓은 성별 역할에 저마다 분노가 차오를 때쯤 부당한 규범에 대항하는 손쉬운 방법, '손절'이 등장했다. 내 가치관에 배치되는 모든 관계를 단절시키는 것. '못마땅하면 안 보면 되고, 비위에 거슬리면 엮이지 말자'.
은유 작가의 신작 '해방의 밤'은 일방통행, '손절'이 시대정신인 사회를 역행하는 에세이다. 책은 부당한 사회 규범을 공고히 하는 위험지대, 내 가치관을 훼손하지 않는 든든한 안전지대 모두를 가리지 않고 이곳저곳 오간다. 미셸 바렛 '반사회적 가족(2019)', 캐럴라인 냅 '욕구들(2021)' 등 사유의 과정을 얻어온 다른 책을 글 위에 함께 싣기도 했다.
첫 번째 글에서는 누군가의 딸로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해야만 하는 저자의 고민과 리베카 솔릿의 에세이 '세상에 없는 나의 기억들(2022)'이 맞물린다. 명절마다 돌림 노래하듯 가부장제의 굴레는 반복된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빈자리를 채워 착실하게 살림을 꾸리는 건 딸의 역할이었다. 저자는 부당한 시스템에 연루된 이들과 연을 끊기보다는 제법 독특한 방식으로 맞선다.
"가부장제의 마지막 요새는 뜻밖에도 친정입니다. … 간소한 반찬 몇가지를 출장 뷔페처럼 이고 지고 갑니다." 그러면서 솔릿의 에세이를 읽고서 얻은 다짐을 전한다. "내가 바라는 건 명절의 철폐도 아버지와 밥 먹지 않기도 아닙니다. 집을 밥의 즐거움을 되찾는 장소로 만드는 것입니다. … 끊어내지 않고 연결하는 싸움을 포기하지 않고 싶습니다."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실천적 관점에서 깊이 읽기"를 지향한다는 선언 때문일까. 책은 누군가를 손쉽게 적으로 지목하거나, 부당한 규범을 상투적으로 비판하지 않는다. 대신 고뇌와 이해의 과정을 쏟아낸다. 그러고선 나와 타인, 우리를 통제하던 고정된 생각이 한 꺼풀 한 꺼풀 벗겨질 때 비로소 해방을 맞이한다는 성찰에 이른다. '손절'이 미덕이 된 사회에서 저자의 고백은 묵묵히 연결, 그리고 연대를 가리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