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만들어 내는 힘은 어디에서 비롯할까.
「정조시대의 힘, 정조의 사람들」을 펴낸 김훈동 씨는 "정조가 성공한 임금이라는데, 왜 성공한 임금인가에 방점을 두고 책을 썼다"며 "결과적으로 참모 기용을 잘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조시대의 힘, 정조의 사람들」은 정조시대 정조와 함께한 참모들을 문신, 무신, 예술인, 장인, 중인 5가지로 분류해 317명 인물사를 다룬다.
그는 "나는 수원 토박이로, 남은 인생 동안 수원에 기여할 일이 무엇인가 생각했고, 역사학자도 전공자도 아니지만 4년간 정조와 관련한 역사서적 200여 권을 찾아내 독파했다"고 전했다.
정조시대 수원화성이라는 세계문화유산과 문예부흥기를 이룬 바탕에는 온갖 탄압과 죽음의 두려움을 이겨 내는 데 함께한 인물들이 있었음을 강조한다.
그는 정조가 서북지역 출신 이응거를 한성판윤으로 등용하고 서자 출신 박제가를 규장각 검서관으로 삼는 등 출신 성분을 따지지 않는 선발 방식을 두고, 당파를 고르게 기용하는 영조의 완론탕평에서 나아가 정치 이념과 개혁 이론에 맞는 인물을 고루 기용하는 의리탕평을 폈다고 평했다.
특히 책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들도 대거 포함했다.
김훈동 씨는 "조선 정조시대 수원지역에 거주했던 우하영은 벼슬길에 나가지 않은 재야 농학자로, 그는 당시 농업기술과 관개기술, 화성을 쌓을 때 외성을 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조는 이름 없는 재야 학자의 상소문을 읽고 직접 회신을 보냈다"며 "이를 받아들인 정조의 리더십, 나는 그가 대단하다고 본다"고 했다.
또 자비대령화원 김응환, 명동성당 터를 예배 장소로 제공한 김범우, 음악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던 정조에 의해 아악도서를 편찬한 서명응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을 포함, 그들의 역할과 정조가 인재 경영 전성기를 이뤘던 이유에 주목한다.
아울러 권력 다툼과 어지러운 정세 속 49세 나이로 승하한 정조의 취미와 정조 사후 신하들이 그의 일생에 대한 행적을 적은 글인 행장기도 함께 살펴본다.
그는 "역사는 살아 있는 현대사로, 항상 엄중한 교훈을 준다"며 "아무리 뛰어난 리더라도 혼자서는 모든 일을 해내지 못한다. 유능한 참모 한 사람을 얻는 것은 곧 나라의 조직과 사업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일이라는 점은 여전히 깊은 깨달음을 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