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신 장군 동상]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4-02-12 09:24:48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김유신 장군 동상은 두 군데에 있다. 한 곳은 서울 남산공원 백범광장이고, 다른 한 곳은 경주 황성공원에 있다. 두 곳 모두 크기가 비슷한 청동상인데 원래의 색깔을 찾기는 어렵다.

     

    우리나라 애국선열들의 상()1960년대 초엽 국가 단위 공공예술 프로젝트로 세우게 되었다. 프로젝트에 미술대학생들이 참가해 1964년에 애국선열들의 석고상 37기를 제작했다. 설치 장소는 서울 광화문과 남대문 사이 도로 옆이었다. 이 석고상들은 비바람에 때 묻고 훼손되었다. 훼손된 석고상을 보수하기 위해 이한상(李漢相)1966년 제1516 민족상 산업 부분 장려상 수상자로 받은 상금 50만 원을 서울신문사에 맡겼다. 마침 도시계획에 따라 석고상이 철수되자 그가 서울신문사에 낸 기탁금이 위인들의 동상(銅像) 건립에 기폭제가 되었다. 서울신문사에서는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를 발족하고 당시 김종필(金鍾泌) 공화당 총재가 위원회의 총재를 맡았다. 위원회에서 모금 활동을 벌여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서울, 수원, 대전 등지에 15기의 동상 건립이 추진되었다. 김유신 장군 동상은 6번째로 세워졌다.

     

    서울 남산공원은 남산(270.8m)을 중심으로 꾸며진 공간이다. 처음은 1897년에 문을 연 왜성대공원(倭城臺公園)이었다. 남산공원에는 위인들의 동상이 여러 기가 있다. 김유신 장군 동상은 남산공원 북서쪽 백범광장의 조금 한적한 곳에 있다. 백범광장에 있는 김유신 장군 동상은 당시 국회의원 김성곤(金成坤)의 헌납으로 19699월 시청광장 앞에 건립한 동상이다. 백범광장으로 옮기게 된 연유는 서울 지하철 1호선 굴착공사 때문이다. 백범광장으로 가는 길은 여러 군데에서 갈 수 있다. 지하철 회현역에서는 4번 출구로 나와 남산공원으로 약 300m 걸어 가면 김유신 장군 동상이 나타난다. 백범광장은 남산의 관문으로 성곽이 복원되어 오솔길이 나 있어 고즈넉하다. 5월인데 주위는 싱그러운 나무들이 산소를 뿜어내는지 상쾌하다. 오솔길 곳곳에 있는 벤치가 운치를 더해 준다. 넓은 잔디밭은 넉넉한 마음을 가지게 한다.

     

    김유신 장군 동상은 시멘트 포장 지면 위에 화강암으로 사각형 기단을 만들고 다시 화강암으로 높이 쌓은 좌대 위에 세웠다. 장군 동상은 북쪽을 향해 힘찬 모습을 취하고 있다. 동상의 전체 높이는 기단과 좌대를 합쳐 11.3m이다. 조각은 개성 출신 김경승(金景承)이 했다. 김유신 장군이 타고 있는 말의 두 뒷다리를 좌대 위에 고정했고 두 앞발을 위로 쳐들어 힘찬 자세를 취하고 있다. 말의 꼬리는 달려갈 때의 모습처럼 수평으로 물결 형태로 표현했다. 김유신 장군은 투구와 갑옷 차림에 왼손에는 타고 있는 말의 고삐를 힘차게 잡고 오른손에는 허리에 찬 칼을 내뽑아 들고 호령하는 모습이다. 칼은 어떠한 적군도 무찌를 기세이다. 이제는 지하철 1호선 공사가 끝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 많은 시민이 볼 수 있는 자리로 이전하여 김유신 장군의 호국 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경주 황성공원은 경주시민의 휴식처이자 힐링 공간인 근린공원과 문화공원으로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심공원이다. 경주시립도서관 등 각종 문화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주차장 바로 옆에는 625 참전과 월남전 참전 명예 선양비가 우뚝하다. 공원에는 나무들이 우거져 산책하기에 좋은 곳이다. 산책길 옆으로는 맥문동의 고향처럼 군락지를 조성했다. 김유신 장군 동상은 공원의 남동쪽 나지막한 봉우리에 있고 계단을 올라가야 만날 수 있다. 이곳의 김유신 장군 동상도 새로 제작했다. 1970년 여름에 태풍 빌리가 불어닥쳐 동상의 칼에 금이 갔다. 경상북도에서는 보완 계획을 세웠고 때마침 1973년 발굴된 천마총과 황남대총의 말다래와 말안장 가리개 등의 말갖춤을 보고 고증해 제작했다고 한다.

     

    1975년 경주에 간 박정희 대통령이 동쪽을 향하고 있는 김유신 장군 동상을 보고는 당시 김수학 경북도지사에게 방향을 바꿔 세우도록 하여 북쪽을 향하게 1977년에 준공했다. 북쪽에는 북한이 있다. 북한과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이 담긴 것 같아 공감이 간다. 이 동상의 좌대 옆면에 게시한 건립문을 보면 박정희 대통령 각하께서 (중략) 삼국통일의 주역이신 김유신 장군의 위훈(偉勳)을 오늘에 되새기며 온 겨레의 호국 정신을 일깨우고 조국의 평화통일 과업을 이룩해 나가는 (생략)’이라는 글귀가 있다. 아직도 우리는 남북이 분단되어 평화통일을 못 이루고 있다.

     

    황성공원의 김유신 장군 동상도 백범광장 김유신 장군 동상과 대동소이하게 경주 출신 조각가 김만술(金萬述)이 제작했다. 황성공원에 세워진 김유신 장군 동상의 높이는 기단과 좌대를 합해 9.7m이다. 동상의 말은 뒷다리 두 개와 앞다리 왼쪽을 좌대 위에 고정했다. 앞 다리 오른쪽은 기역자로 들어 올리고 있다. 말의 꼬리는 달려갈 때의 모습처럼 수평으로 물결 형태로 표현했다. 신라인의 힘찬 기상을 대표하는 김유신 장군은 투구와 갑옷 차림에 왼손에는 타고 있는 말의 고삐를 힘차게 잡고 오른손에는 칼을 빼 들고 호령하는 모습이 백범광장과 같다. 칼은 화랑들의 늠름한 기백을 묘사한 느낌이다. 황성공원은 경주에 있다. 경주는 김유신이 진천에서 태어나 15세에 와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나라 위해 생활한 곳이다. 그의 동상을 보면서 그의 정신을 기릴 수 있다.

     

    위인들의 동상은 동양의 문화가 아니다. 서양의 제국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영웅을 칭송하기 위해 만들어 세운 문화이다. 서양인들이 세운 동상은 주로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는 광장이다. 광장은 서양인들의 토론 문화의 장소이기도 하므로 자연히 그들이 세운 동상을 잘 볼 수가 있다. 우리도 이왕에 동상을 세우려면 여러 사람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세우면 좋겠다. 서울 백범광장에 있는 김유신 장군 동상을 여러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로 옮겨지기를 바란다. 현재까지도 김유신 장군의 호국 정신은 우리들의 가슴 속에서 피어나고 있다. 김유신의 향기가 여러 사람에게 전해지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