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석산은 신라 화랑들의 숨결이 잠들고 있다. 유적지 답사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하늘이 청명하여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단석산으로 출발! 경주시 건천 단석산에는 신라 시대 화랑들의 수련장이 있던 신선사(神仙寺)와 국선 화랑인 김유신이 신검으로 바위를 잘랐다는 단석바위(斷石岩)가 유명하다.
자동차는 어느덧 경부고속도로 건천 톨게이트이다. 단석산을 오르는 길은 여러 갈래가 있다. 우중골로 오르는 길을 택했다. 벌써 송선2리 우중골 계곡을 지나고‘오덕선원’도 지났다. 5분 정도 더 올라가니 단석산‘산불감시초소’에 간이 주차장이 있다. 신선사까지는 사륜구동 자동차만 올라가는 좁고 가파른 산길이다. 여기서부터 걸어서 가야 한다.
길옆은 이른 봄이라서 나무들이 새 옷으로 갈아입으려고 준비가 한창이다. 추운 겨울을 잘 이겨낸 회색 청설모 한 마리가 귀를 쫑긋하게 세우고 상수리나무 밑으로 재빨리 내려온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도토리를 어디에 두었지? 한참을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다가 낙엽 속에 있는 도토리 한 알을 앞발로 입에 넣고 초당 10번쯤 오물오물하는 것 같다. 인기척을 알고도 그냥 도토리를 물고 눈알을 굴리며 쳐다본다. 천진난만하고 겁이 없다.
약 1시간 정도 올라가니 노란빛이 많은 돌에 세로로 쓴 신선사라는 간판 글씨는 색다른 느낌을 준다. 간판에서 신선사까지는 조금 더 올라가야 한다. 염불 소리가 지난 가을 남아 있는 단풍잎 사이로 퍼진다. 법당과 요사채만 있는 아담한 사찰이 서향인데 햇빛을 받아서 온화한 느낌을 준다. 새소리와 녹음된 염불 소리뿐이고 산사는 조용하고 평화롭다. 법당에도 부처님만 있다. 이곳저곳 기웃거리다가 절 남쪽 가까운 거리에 큰 바위가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 발길을 유혹한다.
우와! 경주 석굴암 같은 바위굴이다. 높이가 30m인 암석이 ‘ㄷ’자형으로 생겨 석실을 만들고 있는 것을 상인암이라 부른다. 어마어마한 크기의 북쪽 바위벽에는 여래상을, 동쪽 바위벽에는 보살상을, 남쪽 바위벽에는 보살상과 명문(銘文)을 조각했다. 이 마애불상군은 국보로 지정됐고, 신라 최초 석굴 사원으로 전문가들은 인정한다. 명문은 서기 1969년『한국일보』가 주관한 신라오악조사단에 의해, 이 석굴의 본래 이름이 신선사임이 밝혀졌다.
신선사의 내력을 더 알고 싶어 주지 스님을 찾았다. 거실에 있는 주지 스님은 80세가 넘어 보인다. 따뜻하게 맞이해 준다. 정감이 간다. 주지 스님은“신라 시대 화랑들의 수련 장소로 이용했던 곳으로 그들이 석실을 만들고 불상을 새기고,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든 것”이라 한다. 이 석굴이 신선사라는 것을 스님께 들어 더 깊이 알게 됐다.
화랑들이 부처님께 기도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한창 혈기 왕성한 화랑들의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한 숨결이 들린다. 김유신은 17세 때, 고구려, 백제, 말갈이 신라를 침범하는 것을 보고 의분이 북받쳐 적도들을 평정할 뜻을 가지고 홀로 이곳 석실로 들어와 하늘에 고하고 맹세하니, 나흘 후 홀연히 한 노인이 거친 베옷을 입고 나타나,
“나는 신령이다. 이곳은 독충과 맹수가 들끓어 두려운 곳인데 귀한 소년이 무슨 연유로 왔느냐?”
“나라의 원수를 보니 마음이 아프고 머리가 근심으로 가득 찼습니다. 방술을 일러 주십시오.”라고 유신은 요청한다. 계속 요청하니, 신령은 이윽고 비법을 주면서,
“삼가 함부로 전하지 말고 의롭지 못한데 쓴다면 도리어 그 재앙을 받는다.”
라고 하면서 곧 떠나 버린다. 유신이 따라가니 신선은 보이지 않고, 오직 산 위에 오색 빛만 찬연했다. 석굴에서 유신은 가지고 간 검(劍)에 신(神)의 힘을 얻었고, 시험 삼아 그 칼로 큰 바위를 자르니, 그 잘린 돌이 쌓여 산과 같았다. 그때의 돌이 아직 남아 있다. 그 아래에 절을 짓고 단석사(斷石寺)라 했다는 기록이 1669년 민주면 등이 집필한『동경잡기』에 전하고 있다. 단석사는 지금 터만 남아 있다. 칼로 자른 바위인 단석암이 어디에 있는지 궁금했다. 스님의 이야기는 계속된다.
“내가 젊을 때는 등산객과 함께 단석이 있는 곳에 가서 설명도 하고 위치를 알려 주었다. 그런데 지금은 거동이 불편하여 직접 같이 가지는 못하고 위치를 묻는 등산객에게는 설명해 주고 있다.”
라고 한다. 설명을 듣고 자른 바위를 보기 위해 단석산 정상을 지나 동쪽으로 내려가기로 했다. 길은 꼬불꼬불하고 가파르다. 올라갈수록 시야가 넓어지면서 진달래 군락지가 있고 정상이 코앞에 와 닿는다. 드디어 해발 827.2m인 단석산 정상이다. 정상석 표지석 옆에 갈라진 바위가 있다. 이것은 김유신이 시험 삼아 자른 바위가 아니다. 자른 바위는 단석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비좁은 등산로를 따라 약 1km쯤 내려가면 오른쪽 가파른 곳에 강원도 추암 촛대바위처럼‘송곳바위’로 알려진 바위가 우뚝하게 솟아 있다. 이 바위가 잘생긴 단석바위이다.
단석바위에서 내려다보이는 광경은 이른 봄이라 나뭇잎이 없어 가시거리가 꽤 멀다. 바위 밑은 낭떠러지다. 설화로 전해오는 단석사는 터만 보인다. 단석사의 옛 모습을 생각하면서 다시 정상으로 올라왔다. 저 멀리 건천읍 시가지와 금척리 고분군이 눈앞에 있다. 정상에는 몇몇 등산객이 갈라진 바위에서 기념사진 촬영에 여념이 없다. 그들은 이 바위를 단석바위로 잘못 알고 있다. 장황한 내 설명을 들은 후에야 단석바위가 동쪽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그곳으로 향한다.
단석산 정상 표지석 옆에 있는 한시(漢詩) 한 구절인,‘화랑이 남긴 흔적 계곡 중에 가득하고’를 음미하면서 산 중허리에 있는 신선사 법당에 다시 들렀다. 부처님은 그 당시 화랑들의 수련 모습을 아는 듯 밝은 미소를 보낸다. 미소 속에 화랑들의 숨결도 함께 느껴본다. 청년, 청소년 화랑들이 나라를 구하기 위해 수련했던 역사의 현장에서 1,500여 년 전 그들이 남긴 자취에 취했다. 김성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