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당산성]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4-04-22 17:38:04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충북 진천군에는 신라가 적군을 방어한 최전방 산성인 도당산성(都堂山城)이 있다. 이 산성은 충북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의 도당산과 행정리에 걸쳐 있다. 도당산성으로 오르기 위해 진천읍에 있는 길상사(吉祥祠)로 갔다. 길상사에는 김유신(흥무대왕)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한 사당인 흥무전(興武殿)이 있다. 흥무전 남쪽 담장 밖으로 나가면 바로 도당산성으로 연결된다.

     

    현재 진천군인 만노군 태수 김서현은 김유신(흥무대왕)의 아버지이다. 만노군 서쪽은 백제군이, 동북쪽은 고구려군이 마주하고 있었다. 적군을 막아 내기 위해 김서현 태수는 길상사 뒤쪽 해발 약 190m의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7~9부 능선을 따라 테뫼식 석축 산성을 축조했다. 이 산성은 진천읍 서쪽의 낮은 구릉지에 축조하여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는 진천 지역의 외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전설에 의하면 도당산성은 김유신이 하루아침에 축성했다고 하고, 당나라의 소정방과 함께 고구려 방어를 위해 이 성에 주둔했다고 전한다. 하루아침에 축성할 수는 없으나 아버지인 김서현 태수를 도와 빨리 축성해서 적군의 침략을 막았다는 뜻으로 전설이 된 것 같다. 김유신은 진천에서 태어나 15세에 서라벌로 이사했다.

     

    어떤 이는 도당산성을 만노군의 치소(治所)였을 것으로 추정하나 김서현 태수의 치소는 김유신의 탄생지인 진천읍 상계리로 고증한다. 산성의 축조 시기가 나타나는 문헌은 보이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 「진천현조에서 도당산성은 현의 서쪽 3(1.2km)에 있고 돌로 축조했다고 한다. 그 둘레는 1,836(570m)이고 성안에 우물이 2개소가 있었으며 성은 이미 폐허가 되었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실존한 산성이다.

     

    현지를 직접 가서 보니 산성의 전체적인 형태는 평면 방형에 가까우나 동벽, 남벽, 서벽은 성 안쪽으로 휘어들어 왔다. 북벽은 성 밖으로 약간 둥글게 내밀었다. 또한 서남, 남동, 동북 모서리의 3곳은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곳보다 많은 석재로 높게 축성하여 곡성(曲城)을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서남쪽 모서리는 특히 밖으로 많이 돌출했고, 4m 높이로 비교적 높게 쌓았다.디지털진천문화대전에서 산성의 둘레는 실측 결과 823.5m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산성의 동서 방향과 남북 방향의 중간 폭은 각각 약 180m라 한다. 지금은 지상의 성벽이 거의 붕괴되고 성벽 안쪽을 따라 산행로가 있어 진천 주민의 체력 향상에도 한몫한다. 성벽은 지하에 매몰된 부분도 많이 있어 발굴하면 성벽의 원형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것으로 추측된다. 성벽 축조에 사용된 석재는 채석 과정에서 대충 다듬은 판석을 포개어 외벽만을 가지런히 하여 쌓아 올렸다. 남쪽 성벽의 밖에는 해자(垓子)의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성벽의 기단에서 5m 정도 떨어진 곳에 성벽을 따라 폭 5m 정도의 구덩이를 파냈다. 해자 밖으로 토석재의 무더기가 있어 마치 이중의 성벽처럼 보인다. 산성의 입구에 해당되는 동벽은 남북의 상당 부분이 무너져 내렸다. 중앙부는 1927년에 김유신의 위패를 봉안한 길상사를 지으면서 크게 훼손되었다. 길상사 내의 흥무전 삼문 밖의 축대는 길상사 건축 때 쌓은 것이나 위치상으로는 산성의 동벽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지(門址)와 수구문지(水口門址)는 현재 길상사로 인하여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길상사의 삼문(三門)이 세워진 곳에 문지가 있었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우물이 2개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는 어느 위치에 있었는지 찾을 수가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현재 길상사 바로 남쪽에 돌로 잘 조성한 우물이 있다. 오늘도 물이 흘러나오고 있어서 그 당시 물 걱정은 없었을 것 같다. 이곳이 옛 우물터의 하나로 추정된다. 도당산성의 성벽은 대부분 붕괴했으나, 성안에는 평탄한 대지가 곳곳에 있다. 평평한 대지에서 기와 조각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건물지로 추정한다. 출토 유물은 토기와 기와 조각이 대부분인데, 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진천 역사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라 생각한다.

     

    김서현 태수와 그의 아들 김유신 장군의 호국정신이 있었기에 우리가 존재하고 있다. 도당산성은 지금도 그들의 정신을 말해 주고 있다. 흥무전 앞쪽에 있는 커다란 겹벚나무 한 그루가 흰색 꽃을 활짝 피우고 있다. 김유신 장군의 기상을 보는 듯하다.

    [도담산성과 길상사]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