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지구의 생명이 나를 둘러싼 채 소용돌이치고 있다. 그들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며, 융성하고, 싸우고, 사랑하면서 살아간다.’(‘들어가는 말’ 중에서)
스웨덴의 시인이자 에세이스트 니나 버튼이 문학, 철학, 과학, 역사, 언어 등을 아우르며 자연에서 발견하고 깨달은 것들을 기록한 책 ‘살아 있는 모든 것에 안부를 묻다’를 펴냈다.
평생 글을 쓰는 삶을 살아 온 작가는 어느 날 한적한 시골에 있는 별장을 개조해 집필 작업 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오랜 시간 비어 있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그곳에는 무수한 생명이 활기차게 지내고 있었다.
자연스레 새에서부터 벌, 개미, 다람쥐, 여우, 물고기, 나무, 꽃, 풀에 이르기까지 주변의 동물과 식물을 살펴보며 수많은 영감을 얻었고, 커다란 세상을 이루는 작은 존재들과 소통하고 공생하기 위해 자연과 생명을 탐구하는 여정을 책으로 써내려갔다.
그는 ‘지구가 특별한 하나의 종, 그러니까 인간에게 특별한 혜택을 베풀기 위해 나머지 800만 종의 생물에게 살 곳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모든 생명은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자유롭고 독립된 개체이며, 이 세상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충실히 해내는 구성원이기에 모두가 다른 모두에게 의지해서 삶을 영위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지금 이 순간에도 분명 자연은 감동을 선사하는 장면을 끝없이 만들어 내고 있음을 강조하며 다양한 사례들을 들려준다.
인류는 1만 년 전쯤 땅을 경작했지만 개미는 이미 5000만 년 전부터 농사를 짓고 있으며, 철새의 뇌에는 마치 나침반과 날씨 위성이 장착돼 있는 듯하다. 여우는 지렁이가 풀 사이를 기어가며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고, 돌고래는 반향 위치를 측정하는 능력으로 100미터나 떨어진 곳에 있는 물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수컷 모기는 몇 킬로미터 밖에 있는 암컷 모기의 냄새를 맡을 수가 있으며, 나무는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를 형성해 다른 나무들의 안위를 묻고 마음을 쓴다.
이렇듯 우리는 눈치 채지 못하고 있지만 그 곁에서 평화롭고 분주하게 생활하고 있는 존재들의 대화에 귀를 기울인다.
작가 특유의 다채로운 관점으로 그려 낸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이야기는 대자연의 경이로운 일상을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고독과 유대, 자유와 단합을 넘나드는 동물, 식물, 인간과 그 관계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게 한다.
인간의 모든 지식과 기술, 감각을 동원하더라도 그들의 이야기를 전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책은 우리가 그들의 존재를 존중하고, 서로 간의 연대와 협력을 이해하고 지켜 줘야 한다는 사실만은 분명하게 전한다. 살아 있는 모든 것에 안부를 묻는 일은 곧 우리 스스로에게 따뜻한 행복을 선사하는 일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