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적 영역 은폐됐던 폭력, 수화기 타고 세상 밖으로

    인천지역 여성인권운동 30년사, 90년대초 들어 민주화운동서 분리, 2030 주축… 94년 '인천여성의전화' 창립, 3년 후엔 가정폭력방지법 제정 씨앗 역할도, 2022년 확장된 개념의 '여성인권플러스' 새이름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4-07-10 19:20:41

     

    [■ 미래를 여는 기억┃한국여성인권플러스 기획, 박인혜 지음. 형성사 펴냄. 332쪽. 2만2천원]

    인천 지역 여성폭력 추방 운동 30년사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권위주의 국가 체제가 종식돼 가던 1990년대 초 비로소 여성운동은 민주화운동의 한 부문이 아닌 고유의 과제를 가진 독자적 영역으로 분리됐다.

    1980년대 신군부 정권이 조성한 폭압적 사회 환경 속에서도 "아내 폭력은 부부 사이에 발생하는 사적인 일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폭력이며, 가정의 민주화와 사회의 민주화는 상호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민족·민주운동 과제가 긴급한 것 못지않게 아내 구타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여성폭력 문제가 본격적인 사회 의제로 떠오른 건 민주화 이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 속에서 1994년 1월 여성폭력 근절 운동을 펼치는 여성단체 '인천여성의전화'가 창립했다. 1990년 인천민중연합이 개최한 여성교실 수강생들이 수료 후 만든 여성학 소모임 회원이던 20~30대 초반 여성들이 주축이었다.

    아내 폭력과 성폭력 같은 은폐된 폭력의 피해 사실을 세상 밖으로 끄집어낼 절실한 수단이 '전화'였다.

    인천여성의전화 창립 첫 해에만 776명이 전화를 걸어왔다. 이후 여성폭력 상담의 제도화로 인해 성폭력상담소와 가정폭력상담소 간판도 달게 됐으며, 이들 상담소는 2000년대 들어 제도 변화에 따라 상담 활동은 유지한 채 '폐소'하기도 했다. 1996년 심각한 가정 내 폭력에 견디다 못해 남편을 살해한 여성들에 대한 구명 운동을 시작하고 확산했으며, 이는 1997년 11월 가정폭력방지법 제정의 씨앗이 됐다.

    책은 인천여성의전화 창립과 가정폭력·성폭력 추방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1993~2002년'(1장), 그 활동을 성매매·이주여성 인권 운동으로 확장한 '2003~2017년'(2장), 반성착취 운동과 이주여성 인권·공동체 운동을 정착시킨 '2018~2023년'(3장)으로 나눠 구성했다.

    인천여성의전화는 인천의 대표적 성매매업소 집결지였던 일명 '옐로우 하우스'로 들어가 업주들의 위협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성매매·탈성매매 여성 지원 활동을 당사자와 함께 펼쳤으며, 이후 관련 활동은 인권단체 '인권희망 강강술래'로 독립·이관했다. 결혼 이주 여성과 연대해 이들의 공동체 형성을 도왔다.

    2010년대 후반부터 여성운동의 주체로 떠오른 2030세대 여성들, 이른바 '넷페미'와의 만남을 '신상과 고물상의 만남'으로 표현한 대목이 눈에 띈다. "오래된 부대에 새 술을 담은 것 같다"는 이들의 만남은 여성 혐오 근절, 반성착취 운동으로 기존 운동과는 다른 방식의 도전을 가져8왔다.

    한국여성의전화는 2022년 성, 인종, 국가 등의 경계를 넘어 연대하고 성평등을 이룩한다는 취지로 '한국여성인권플러스'라는 새 이름을 갖게 됐다. 그렇게 지난 30년 동안 수많은 여성운동의 싹을 틔웠다.

    이 책은 한국여성인권플러스가 기획했고, 인천여성의전화 창립부터 지금까지 함께하고 있는 박인혜 한국여성인권플러스 성평등정책연구소장이 글을 썼다. 전설적인 여성 가수 패티김이 인천여성의전화 초창기 후원 공연을 열어 운영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도왔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