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 나라가 처한 상황이 우리 운명을 결정한 것이오. 내가, 나 스스로 나의 운명을 결정하고 싶었는데, 거꾸로 된 거요. 나의 결정권을 시대에 넘겨줬다고나 할까, 그걸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은 나도 같소." (본문 중에서)
독립군 사령관의 이야기를 담은 특별한 소설이 출간됐다.
‘소설 쓰는 사회학자’로 잘 알려진 송호근 한림대학교 석좌교수는 자신의 세 번째 장편소설 ‘연해주’를 통해 독립운동가 김경천의 시대적 고민과 삶의 궤적, 그를 둘러싼 역사의 격랑을 드라마틱하게 되살려 냈다.
송 교수는 지난 2017년 첫 장편소설 ‘강화도’로 이병주국제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이듬해 ‘다시, 빛 속으로’으로 펴낸 이후 약 6년 만에 새 소설 ‘연해주’를 출간했다.
소설 ‘연해주’ 의 주인공 김경천(金擎天, 1888~1942) 장군은 대한제국의 군인 집안에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나온 뒤 장교로 복무했다. 그러나 대한제국이 무너지던 당시 김경천은 ‘시민의 자유’에 눈떴고, 3·1만세운동을 현장에서 목격한 뒤 연해주로 망명해 항일 무장투쟁에 헌신한 인물이다.
당시 그의 활약상은 ‘백마 탄 김장군’이라는 전설로 러시아와 중국에 회자되며 조선에까지 전해졌지만 그는 국내 진군을 앞두고 소련 정부의 정치적 희생양이 돼 수용소군도에 수감, 그곳에서 생을 마감한다.
책은 시베리아의 칼바람 속에서도 열정적인 삶을 살았던 위인 김경천의 생애를 좇으며 당대의 현실과 부딪혀 좌절하는 한 인간의 운명을 박진감 있게 그려 낸다.
김경천 장군 뿐만 아니라 소설 속에는 지청천, 최재형, 이상재, 정재관 등 당시 실존했던 인물들이 등장해 국가에 대한 견해와 이념을 들려주며, 독자에게 시대와 개인의 관계, 즉 운명에 대해 숙고하도록 한다.
이야기 속에 묘사되는 세태와 풍경은 ‘관원과 백성’에서 ‘시민과 국민’으로 진보하고자 했던 모든 개인의 투쟁을 대변한다.
소설 ‘연해주’는 김경천과 그의 시대를 경유해 현재의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우리들, 바로 시민과 국민에 탄생에 관해 이야기한다.
또한 ‘제국’에서 ‘민국’으로 변화하던 세기, 그 요동치는 시대를 산 모든 이가 역사의 강을 온몸으로 건넜음을 도도하고 담담하게 그려내며 학문이 미처 밝히지 못한 진실의 영역을 비춘다.
이 책은 ‘인간은 무엇으로 살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끊임없이 답해 온 송호근이 내놓은 가장 성실한 대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