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지속 가능한’이란 슬로건으로 국내외 갤러리 132곳이 참여할 예정이며, 약 4,000여 점의 작품이 미술애호가는 물론 일반 관람객에서 선보여 문화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갈증을 해소할 기회가 되고 있다.
신진작가, 청년작가, 중견작가, 원로작가 등 세대를 통합하고 교류하는 화합의 시간과 창의적 미술 감각이 지속적으로 연결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지 죽으로 마티에르를 주거나 쌓아 올리듯 이미지를 형성해 가는 독특한 방법으로 일상의 풍경, 문화재 및 출토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 어린 시절의 추억을 예술적으로 풀어 관람객과 교감하는 문홍규 작가는 Gallery Ssamziann Booth B20에서 애틋하고 사랑스런 남녀의 밝은 이야기 "Kiss" 그림을 대표작으로 BAMA 2025에 참여 한다.
작품명 "Kiss"는 한국적인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한 기법으로 한지, 풀, 분채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 작품이다. 100년 이상의 수명을 보장하는 재료들로 3배접한 한지 위에 한밤중 남녀의 밀회 장면을 그려 감상자의 마음을 미소 짓게 만들었다. 커튼으로 가려진 창문에서 은은하게 빛나는 방안의 불빛과 보안등에서 내려 쪼이는 오렌지색 불빛이 어두운 밤 주택가를 포근한 분위기로 만들었고, 온화한 빛에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사랑의 감정을 Kiss라는 극적인 이미지 표현으로 사랑을 구현해 냈다.
"한국의 종(鐘)" 작품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유일한 한국적 스타일을 한지 죽으로 입체감 있게 만든 저부조 형태의 작품으로 사실적이다. 신라시대 에밀레종을 모티브로 작품이 기획되고 제작하였으며,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생각으로 품격 있는 우리 문화재의 예술성을 강조하였다.
"먼 옛날" 작품은 고분 벽화의 느낌으로 동, 식물 그리고 현대적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신비감을 조성했다. 현재의 주변 풍경을 한지 죽 바탕으로 구성하여 전통을 고수하는 듯 보이지만 사물의 특징을 살린 현대미술의 특징적인 세련된 채색이 거부감 없이 작품에 스며들게 하였다.
BAMA 2025에 참가하는 문홍규 작가는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일차원적인 그림이 아닌 생각과 철학이 이입된 사물들을 엄선하여 작품 속에 배치하는 작업을 중요시 하고 있다. 사진, 그림, 조각 등 다양한 장르의 소재는 창작물의 완성도를 높이는 도구들로 융, 복합적인 요소들을 조화롭게 적용한 독창적 작품으로 관람객들과 만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작가는 43년째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며,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수상, 프랑스 세계 저작권자협회(ADAGP)종신회윈, 광화문 아트포럼 회원, 신작전회원으로 창작을 진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