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디지털 신원 지갑, 철통 인증 등 차세대 정보보호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우리나라 제안 신규 표준화 항목 9건, 국제표준 3건 등 총 14건 승인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5-04-23 16:5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요저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 8일부터 17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정보보호연구반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디지털 신원 지갑, 철통 인증 보안 등 신규 표준화 항목 9건이 승인됐고 분산원장기술 보안통제 국제표준 1건이 사전채택, 도심형항공이동수단 보안 등 국제표준 3건 및 디지털 지갑 동향 기술보고서 1건이 최종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회의에는 전 세계 56개 회원국 376여명의 전문가가 참석했고 우리나라는 다양한 산학연 관계자들로 구성된 53명의 국제 보안 표준 전문가가 참석해 우리나라가 제안한 총 62건의 국내 정보보호 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기 위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에서 △국가 간, 산업체 간에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는 탈중앙 방식의 디지털 신원 지갑, △철통 인증 기반 5세대 이동통신/IMT-2020 구현 방법, △이메일 보안 해법의 보안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기준, △영상, 음성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비정형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가명처리 절차 및 보안 요구사항 등 9건의 신규 표준화 항목을 승인받았다.

    또한, 우리나라가 다년간 주도적으로 개발해 온 분산원장기술 환경에서 구현된 체계들을 평가하거나 감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 보안통제 기술 1건이 국제표준으로 사전채택됐다.

    아울러 △도심형 항공 이동수단 서비스 환경에서의 수직이착륙기체 보안 지침 및 요구사항, △분산원장기술 기반 원타임 인증키 생성 틀, △사물인터넷 기기 보안 위험 분석 틀 등 국제표준 3건과 △디지털 지갑 현황 분석 및 보안 기능 기술보고서 1건이 최종승인됐다.

    한편 우리나라는 새로운 연구회기에 의장단 16석을 확보하는 쾌거를 이루면서 우리나라가 지속해서 정보보호 분야 국제표준 개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디지털 신원 지갑은 국민의 신원 정보, 자격 증명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차세대 디지털 온라인 체제 기반 기술로서 국가 간 상호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보보호 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계속해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힘을 합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