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사·카드사·SNS 빅데이터 활용, 축제 효과 정밀 분석
▸ 경기침체에도 100만 명 이상 방문, SNS 긍정 언급 89.3% 차지
▸ 빅데이터 분석으로 유료 관람객 수 증가, 내년부터 외국인 방문 분석도
▸ 방문객 소비지출 323억원, 생산유발 684억원, 부가가치 유발 268억원 등 경제효과
by 노상균 대구.경북 취재본부장
2025-11-05 09:17:34
대구치맥페스티벌 결과 분석간담회 사진 (대구광역시 제공)
[금요저널] 대구광역시는 지난 7월 두류공원 일원에서 열린 ‘2025 대구치맥페스티벌’에 대한 통신사·카드사·SNS 빅데이터 분석 결과, 총 115만명이 방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SK텔레콤·현대카드·SNS 썸트렌드 빅데이터를 활용해 △축제장 △구·군 △대구 전역으로 구역을 세분화해 방문 인구, 소비·지출, SNS 축제 언급량 등을 분석한 후, 지역경제 전반에 미친 직·간접적 파급효과를 수치화한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축제장 방문 인구는 약 115만명으로 평시 대비 24.4% 증가했으며 카드 매출은 평시 대비 17.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방문 인구는 작년 123만명에서 6.5% 감소했으나,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22년 빅데이터 분석을 시작한 이후 4년 연속 10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동대구역과 신세계 백화점이 포함된 평화시장 반경 1㎞ 내 카드 매출은 9.4% 증가하며 인근 상권에도 낙수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축제 기간 동안 치맥페스티벌 관련 SNS 언급량은 1,616건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하며 축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음을 나타냈다.
감정 단어 출현 빈도는 전년 대비 118%로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그 중 ‘즐기다’, ‘신나다’등 긍정단어 비중이 89.3%에 달해 축제에 대한 관람객들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줬다.
대구시는 이번 분석 결과를 한국치맥산업협회와 공유해 향후 행사 기획 및 운영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요일별·시간대별 방문 인구 등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매년 축제를 개선한 결과, 올해 유료 관객 수는 5,564명, 판매금액은 1억 1,200만원을 기록하며 2018년 유료 좌석 판매 시작 이후 역대 최고 매출을 달성했다.
한편 대구정책연구원은 이번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축제 개최에 따른 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현장 샘플조사를 통한 축제장 1인당 치킨·맥주 구입비 14,300원을 기반으로 교통·숙박비 등을 합산해 전체 방문객의 소비지출액을 323억원으로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전국 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68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68억원, 취업유발효과 654명으로 분석됐다.
박기환 대구광역시 경제국장은 “대구치맥페스티벌은 대구 유일의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축제인 만큼,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획 및 콘텐츠 개발에 활용해 매년 축제를 업그레이드하고 있다”며 “내년부터는 외국인 방문 인구 분석도 추가해 글로벌 축제의 면모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