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구조에 따라 정책사업 4646억원 행정운영경비 1402억원 재무활동 69억원으로 구분된다.
정책사업은 사회복지 2593억원 환경 502억원 도시기반시설 관리 276억원 일반공공행정 475억원 교육·문화 및 관광 203억원 보건 134억원 예비비 219억원 등으로 편성했다.
구는 전년 대비 노후 복지시설 및 주민편의시설 개보수, 어린이보호구역 및 보행환경 일제정비, 통학로 개선 등 주민 일상과 연관된 안전 관련 예산을 편성하는 한편 노후 하수관로 개량 등 사회기반시설 정비에도 집중 투자했다.
또한 재난안전관리요원 채용과 용산통합관제센터 직영전환을 위한 인건비 등도 반영했다.
복지예산은 전년 대비 11.09% 상승한 43.65%를 편성했다.
주요 정책은 생계·주거급여 등 국민기초생활보장, 기초연금 확대, 장애인 및 아동·청소년 지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등이다.
정책사업 주요 예산을 살펴보면, 사회복지 분야는 기초연금,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청소년수련관 운영 등 노인·청소년 부문 928억원 생계·주거급여 등 기초생활보장 557억원 영유아 보육료 지원, 아동수당, 가정양육수당 등 보육·가족 및 여성 부문 762억원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장애인연금 급여, 종합사회복지관 운영 등 취약계층 지원 295억원 등이 있다.
환경 및 도시기반시설 관리 예산은 생활폐기물 처리 등 폐기물 부문 352억원 노후 하수관로 정비 등 상하수도·수질부문 148억원 도로시설물 유지관리 등 도로부문 150억원 주거정비, 어린이·소공원 유지관리 등 지역 및 도시부문 105억원 등이다.
일반공공행정 분야는 구·동 청사 유지관리, 통반장 활동지원 등 일반행정부문 442억원 의정활동 지원 등 입법 및 선거관리 부문 17억원 효율적인 재산관리 등을 위한 지방행정·재정지원 부문 15억원으로 세분할 수 있다.
교육·문화관광 분야는 학교 교육프로그램 및 환경개선 지원, 친환경 급식 등 유아 및 초중등 교육부문 81억원 용산역사박물관 및 구립도서관 운영 등 문화예술부문 49억원 문화체육센터 운영 등 체육부문 63억원 등을 집행한다.
보건 분야에는 급성감염병 관리, 국가예방접종 실시, 치매안심센터 운영 등 보건의료 부문 128억원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등 식품의약안전부문 5억원을 배정했다.
구는 지난 8월 ‘2023년도 예산편성계획’을 수립하고 세입·세출예산요구서 작성, 예산 심의·조정, 예산안 구의회 심의 등의 절차를 이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