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대전시립박물관은 2023년 첫 번째‘박물관 속 작은 전시’로 소장 중인 ‘쥐틀, 쥐덫’을 선정해 전시한다.
‘박물관 속 작은 전시’는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 내부에 있는 전시로 주요 기념일 행사와 관련된 유물 혹은 새롭게 기증·기탁받은 신수유물을 소개하는 전시이다.
쥐는‘다산·부지런함’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강한 번식력과 인간의 곡식을 빼앗아 먹는 습성으로 인해 인간에게 해로운 동물로 인식됐다.
우리 선조들은 매년 1월 상자일이 되면 쥐불놀이, 논 태우기 등을 하며 쥐를 쫓았고 또 바느질, 가위질 등 하지 않기, 자정에 방아 찧기, 목화씨 태우기 등을 하며 쥐가 나타나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을 빌었다.
간절한 소망은 1970년대 들어서 ‘전국 쥐잡기 운동’이라는 명목하에 전국적인 쥐 소탕 운동으로 발전했다.
1월 26일 시작된‘전국 쥐잡기 운동’당시 쥐가 1년에 먹어 치우는 식량은 무려 25만명의 1년 치 소비량에 달할 정도였다.
국가에서는 쥐꼬리를 학교나 관공서로 가져오면 연필을 주거나 복권을 주기도 했다.
큰 성공을 거둔 쥐잡기 운동은 1970년대를 넘어 1980년대에도 계속됐으며 정부 주도가 아니더라도 지역 단위로 꾸준히 시행됐다.
현재에는 개, 고양이보다 쥐를 보기 힘든 시대가 됐고 새해에 쥐가 나타나지 않길 소망하는 사람을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는 도시화, 기술력의 발달도 큰 역할을 하였지만, 전국적 운동을 통해 쥐를 잡으려 했던 시대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대전시립박물관에서 전시하는 쥐잡기와 관련된 유물은 ‘쥐틀, 쥐덫’, ‘쥐잡기 관련 기록물’ 등이다.
‘쥐틀, 쥐덫’은 누름판이나 철망으로 쥐를 덮쳐 잡는 방식의 쥐잡기 도구들로 전통적인 쥐잡기 도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쥐잡기 관련 기록물’은 1986년 충청남도 쥐잡기 사업의 개요와 이전 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기록한 ‘쥐잡기 사업업무 개선방안 보고’, 교도국에서 쥐잡기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발행한 리플렛 시리즈 71호 ‘집쥐를 없애는 법’이다.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실제 사용된 쥐잡기 도구와 출판물을 통해 과거 우리 선조들이 쥐를 쫓기 위해 시도한 다양한 방법과 노력을 알 기회가 될 것이다”고 했다.
이번 전시는 3월 28일까지로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진진행되며 자료에 대한 기증·기탁, 수집 제보는 상시 가능하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