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시를 쓰면서 구조와 논리에 방점을 깊이 생각하며 순서의 의해 합리적 판단으로 쓰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이다. 물론 때에 따라 중 논으로 가는 수도 있지만 시의 종착에 맞추어 쓴다는 것이 옳은 말이 아닐까 한다.
예술이 미감(美感)을 자극하는 것은 무엇일까? 늘 고민하며 글을 쓰지만 아직도 어떻게 작품을 그려야만 잘 쓰는지에 대해선 오리무중이다. 그러나 글을 그리는 것은 모든 잡념을 버리고 오로지 글 쓰는 시간이 되면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베스트가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닌지도 모르겠다. 허나 글 쓰는 시간만큼은 나의 정제 되지 않은 자아를 정립하게 되고 편안을 알게 되어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니 아무튼 글은 나의 소중한 친구인 것만은 분명한 것 같다. 예술을 대부분 수용미학(受容美學)적인 견지에서 독자의 가슴을 어떻게 점령할 것인가는 계량적인 숫자로 판별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감동이 도착한 목적지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지 아닐까 싶다.
“수용미학은 독일 콘스탄츠대학교 H.R. 교수의 취임강의 도전으로서 구체화 되었다고 나와 있다. 즉 독자와의 소통강화 독자 중심의 문화연구의 예술성이라고도 한고 있다.”
예술이 감동을 주는 이유에는 심리적인 이유와 분위기에 휩싸이는 이유 중 어느 것인가는 상태에 따라 다른 길을 걸을 것이지만 궁극에는 감동은 같다는 것 일게다.
전자는 논리적 합리로 이해될 때의 경우일 것이다. 후자라면 논리라기보다는 관습 혹은 아름다운 경치에 젖을 때, 찾아오는 심리 상태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지만 풀어본다.
고혹(蠱惑)적인 이성(異性)의 모습을 만났다고 가정해보면 순식간에 점령당하는 기분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논리의 틈은 아무런 설명을 못하고 오로지 분위기라는 기분에 압도당하는 점에서 설명이 어려워진다. 또한, 얼굴 모양의 대비라거나 이쪽과 저쪽의 균형미를 이론적으로 대비할 겨를이 없지만 당도한 매혹(魅惑)에서는 아무런 설명조차 불가하다는 분위기를 맛볼 정서의 특성일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기엔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설명은 뒤쫓아 오면서 합리를 주장하는 학자들의 습관이라면 대부분 학문은 추상의 길을 헤매는 이유가 숨어 있을 것이기에 -
세상의 모든 존재는 이유가 있지만, 그 나름 자체로 설명하는 것은 없다고 한다.
이것이 존재의 설명을 더하는 분분(粉粉)함이라면 이 또한 애매한 사실이라고 하니 배움은 끝도 없는가 보다.
예술의 포착 대상은 여기서 일종의 개성을 나타내는 해석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모든 결과는 해석의 길에 당도 하려는 것이 인간 역사의 일환이라고 본다.
그러나 전자의 합리는 예술 해석에서 필요한 목록일 것이기 때문 -
대부분의 예술은 순간에 포착하는 느낌과 이성적으로 생각하여 결 논을 내리는 두 가지 방법의 하나를 택해야 하지만 대체로 논리적인 합리에서 지적인 감동이 찾아오는 것이다.
음악은 귀로 듣는 순간의 매혹이라면 詩는 눈으로 익혀 왜 그런가의 이성적인 구조에서 감동이 도출된다.
여기서 질서와 배열에 따른 구조는 필시 관습적인 가미를 제외 하더라도 항상 엄정한 이론의 길을 밟아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詩를 쓰면서 구조와 논리에 방점이 어디인가를 보아야 하 기에 논리의 옷을 입혀야 한다. 관습과 합리적인 이유가 내정될 때, 안심하고 시의 종착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가령 어린아이들의 행동은 어른의 경우와 달리 돌출적이지만 성장하여 관습의 질서를 익히다 보면
거기엔 일정한 루트가 존재함을 생각하고 행동거지를 나타내기에 시의 경우도 이런 이치에 가깝다고 느끼는 이유 때문에 현실의 문제와 표현의 거리가 너무 멀면 다시 고치고 뜯어 개작을 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논리의 구조에는 의미의 합리성이 고개를 내밀고 만족한 방점을 찍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신의 흐름은 분석 대상인지 아닌지는 확증(確證)적으로 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정답이라고 찾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로이드가 정신분석확설을 발표 했을 때 사교(邪敎) 혹은 독신(瀆神)이라는 이름으로 비난을 받았다는 것도 되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詩, 공간에 대한 견해 이론인 고전물리학의 뉴턴과 현대물리학의 아인슈타인이 공존할 수 없는 물리학적 학술은 인간의 기준에서 언제라도 뒤바뀌는 점을 여지로 남겨야겠다. 그렇다면 詩의 논리는 과학적인 더하기의 정치(精致)함을 요구 하는가 아닌가는 때에 따라 생각의 길이 다른 것이다.
詩는 과학이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지만 하나 더하기 하나를 둘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결합은 감정의 결합과 유사하기 때문에 모호성(ambiguity)의 이유를 완전히 제거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모순이지만, 관습적인 질서를 벗어 날 때는 비이성을 부추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詩의 상식은 파괴 된다고 본다. 물론 이상(李箱)의 詩를 비이성이라 딱지를 붙일 수는 없지만 애매하고 사리에서 접근하기는 어려운 것도 정확하다고 본다. 이른바 난해한 詩라 변명 해본다.
詩는 이성을 깨우는 것이 아니고 감정의 순화와 미적, 감수성을 동원하는 정서의 문제이면서 결국 이성에 접근하여 보다 밝고 깨끗한 인간의 길을 만들 수 있을 때, 정서의 전부인 詩의 임무는 확실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詩는 상식의 임무가 아닐지라도 상식의 범주에 순수와 깨끗함, 그리고 순화(淳化)의 마음을 오로지 목표로 하여 길을 정하는 목적이 옳을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을 해보며 의 그림을 끝내야겠다.
2023. 03. 16.
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금요저널 주필/이승섭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