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 대응 위한 4개항 합의

    - 자동차산업 상생 위한 협의체 구축, 대화채널 개설, 미시간주 진출한 한국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경기도 주최 ‘미래 모빌리티 테크쇼’에 미 완성차 기업 참여 등

    by 최홍석 경기도 총괄본부장
    2025-04-11 18:41:29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가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대응을 위한 4개항에 합의하고, 신속한 실무협상을 통해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4개항은 김동연 지사가 제안한 내용을 휘트머 주지사가 적극 동의한 결과입니다. 4개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경기도와 미시간주 자동차산업 상생을 위한 협의체구축

    -경기도는 국내 완성차(현대차, 기아차, 한국GM 6개사)에 납품하는 부품사가 전국의 23%에 달합니다. 미시간주는 완성차 3(GM·포드·스텔란티스)가 자리잡고 있는 자동차 산업의 메카입니다.

    -경기도와 미시간의 협의체 구축은 트럼프 관세에 대응하는 한미 최초의 지방정부간 전략적 연대기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양국 자동차 기업 상생을 위한 정보공유, 기업 애로사항의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집니다.

    -김동연 지사가 “(양국 기업간)정보교환이 대단히 중요하다면서 중재를 요청하자 휘트머 주지사는 정보교환의 통로를 만드는데 역할을 하고 싶다면서 적극 호응했습니다.

     

    2)한국 부품기업과 미시간주 소재 완성차 3(GM·포드·스텔란티스)간 대화채널 개설

    -평택항 간담회(지난 331)에서 국내 부품업체 관계자들이 김동연 지사에게 간곡히 도움을 청했던 내용입니다(어제 대변인 브리핑 참조).

    김동연 지사가 이 문제를 거론하면서 중재를 요청하자 휘트머 주지사는 공감의 뜻을 표했습니다.

    -성사시 우리 기업과 미국 완성차간 납품가격 협상, 납품조건 등의 민감한 이슈 해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3)미시간주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부품 기업 등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김동연 지사의 미시간주 진출기업의 투자확대나 초기투자시 금융-세제 지원 요청에 휘트머 주지사는 역시 긍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4)올해 경기도 주최의 미래 모빌리티 테크쇼’(미시간주 개최예정)에 미 완성차 기업 참여

    -유망한 한국의 부품사들이 다수 참여하기로 예정된 행사입니다. 김동연 지사의 행사소개 및 참여요청에 휘트머 주지사는 동의하고 역할을 다짐했습니다.

    현지시간 10일 김동연 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는 세계경제에 대한 자해행위라며 미국 경제에도 관세가 초래할 물가상승과 실직 등으로 인해 절대로 지속가능하지 않다면서 이처럼 4개항을 제안했습니다. 김 지사는 한국 기업의 애로 사항을 전달하면서 4개항과 별도로 경기도의 자체적인 기업지원 계획을 조만간 편성할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할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자동차산업을 지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휘트머 주지사는 관세는 (예리한 도구가 아닌) 뭉툭한 도구라며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중요한 동맹관계가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지사가) 네가지 포인트를 명확히 짚어주셨다. 정보교환과 플랫폼이 너무 중요함을 잘 알고 있다. 우리 둘의 의견이 일치한다면서 미 완성차 3사와 우리 기업과의 연결 및 유치노력에 대한 의지를 밝혔습니다.

    [김동연,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 대응 위한 4개항 합의1]

    <회담 전 우리 기업인들과의 라운드 테이블서 쏟아진 정보갈증’>

    휘트머 주지사와의 회담에 앞서 김동연 지사는 미시간주에 진출한 국내 자동차부품기업 8개사 관계자들을 만났습니다. 현대모비스, 넥센타이어, 엘에스 오토모티브, 엘에스 이모빌리티 솔루션, 한세모빌리티, 디엔 오토모티브, 비에이치이브이에스 미국법인장 등이었습니다.

    이들은 정확한 정보에 목말라 있었습니다. 이구동성으로 어제 오늘이 다르고, 자고 일어나면 상황이 또 바뀐다면서 불확실한 상황과 부족한 정보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았습니다.

    [김동연,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 대응 위한 4개항 합의2]

    한 기업인은 코로나사태, 물류대란 등을 다 겪었지만 이번은 위기감을 넘어 (아무 것도 모르니) 오히려 차분해질 정도의 충격이라고도 했습니다. 관세폭탄에 대응할 방법이 사실상 없음을 표현한 역설이었습니다.

    이에 김동연 지사는 휘트머 주지사를 만나면 최대한 기업인들의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반영시키도록 하겠다고 약속했고, 행동에 옮겼습니다.

    [김동연,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 대응 위한 4개항 합의3]

    오늘 회담을 계기로 관세대응을 위해 두 개의 채널이 확보될 것입니다.

    하나는 양국 자동차산업의 상징적 지역 경기도와 미시간주 지방정부간, 다른 하나는 한국과 미국의 기업간(경기도 부품기업과 GM·포드·스텔란티스)입니다. 대화채널이 현실화 되면 우리 기업들도 직접 참여하여 정보를 얻는 길이 열릴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