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는 어디에 ?, 전기 요금 줄이는 방법은? 기후, 환경, 에너지에 대한 모든 정보와 분석이 한 곳에 경기도, ‘경기기후플랫폼’ 28일부터 서비스 시작

    ○ 항공 LiDAR·위성·AI·빅데이터 기반의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 - 데이터 허브 역할로 민·관·산·학의 기후위기 공동 대응과 협력 촉진 ○ 탄소 배출·흡수량 분석, 태양광 경제성 평가 등 통합 제공 - 모든 관련 정보 공공, 기업, 도민에게 개방. 디지털 기후거버넌스(민관협력)의 중심으로 활용

    by 최홍석 경기도 총괄본부장
    2025-07-28 17:41:27

    경기도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어디가 가장 좋을까?, 전기 요금이 너무 많이 나오는 우리 회사.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폭염경보가 내렸다. 내 주변에 가장 가까운 폭염대피소는 어디지?

    이런 질문들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환경 정보 통합 관리·분석시스템인 경기기후플랫폼’(climate.gg.go.kr) 서비스를 28일 시작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만든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으로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는 관련 정보를 공공, 기업, 도민 모두에게 개방해 디지털 기후거버넌스(민관협력)의 중심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플랫폼+캡처 (1)]

    도는 28일 도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기후플랫폼 개시 행사를 열고, 경기연구원,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후솔루션 등 기후·환경 전문가와 함께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202312월부터 개발에 착수해 올해 7월 완성됐다.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기후재난 현황 및 위험지역 예측 등의 데이터를 공공·기업·도민에게 제공한다.

    공공기관은 경기기후플랫폼의 정책 지원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정책수립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항공 LiDAR(라이다), 위성 영상 등 공간정보를 종합해 산사태 취약 지구를 지정하고 재난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탄소흡·배출 관리, 공간 기반의 태양광·탄소 정보 등을 통해 과학적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탄소중립 목표 이행 추적 관리도 할 수 있다.

    [플랫폼+캡처(2)]

    기업에서는 기후경영서비스를 이용하면 전문지식과 별도 투자 없이도 국제표준 기반의 탄소회계와 에너지경영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간단한 사업장 정보 등록만으로 데이터가 자동 입력돼 해당 기업의 탄소배출량과 에너지진단보고서를 즉각 제공한다. 특히 전력사용 패턴 분석으로 가장 저렴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 추천도 해줘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하다.

    도민들은 사용자 주변 기후위험 평가 결과를 등급화한 기후위기 정보, 탄소중립 현황 등 자발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체감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기후위험 평가 활용을 예로 들면 방문계획이 있는 지역을 찾아보면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험 등급 현황, 극한호우 위험등급 등을 볼 수 있다. 방문 지역에 산사태 이력이 있거나 집중 호우나 태풍 예보가 있다면 방문 일정을 바꾸는 식의 활용이 가능하다. 폭염경보가 내린 날에는 지도를 통해 인근 폭염대피장소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플랫폼+캡처(3)]

    이밖에도 경기기후플랫폼에서는 탄소공간지도를 제공한다. 각 지역별로 단위면적당 연간 탄소배출량을 볼 수 있는데 대중교통 이용, 에너지 절약 등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행동을 독려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건물지붕과 유휴부지 등의 태양광 도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다.

    경기기후플랫폼은 생성형 인공지능 등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모델 개발 협업 공간(LAB)이 있어 OpenAPI, AI 모델을 통해 데이터 정리 및 2차 작업도 가능하다. 플랫폼 영문 번역도 준비하고 있다. 온라인 주소(climate.gg.go.kr)로 접속하면 누구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기후문제 해결의 선결 조건이라며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경기기후플랫폼이 앞으로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기후종합진단서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238월 기후 위기 대응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경기도에 있는 각각의 건물에서 나오는 에너지양이나 탄소 배출량, 탄소 저감 수준, 또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김 지사는 이어 기후변화는 과학이고 데이터다. 말로만 공허하게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서 얘기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과학과 데이터에 기반을 둔 플랫폼을 기초로 정책을 만들어보려고 한다라고 플랫폼 구축 배경을 밝힌 바 있다.

    경기기후플랫폼과 함께 도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올 111호 발사를 앞둔 기후위성과 함께 전 도민 기후보험’, 도민 이익공유형 기후펀드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