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사랑하는 네가 있기에 / 나는 / 추울 때 / 춥다고 / 말할 수 있다’(시 ‘사랑하는 네가 있기에’ 전문)
오랜 시간 노동 현장에 몸담았던 정세훈 시인이 기교나 수사 없이 쓴 진솔하고 담백한 짧은 시다. 신작 시집 ‘사랑하는 네가 있기에’의 표제시다. 실천적 문학을 지향하는 시인이기에 그가 쓴 ‘사랑’에 대한 시 또한 세상에 대한 애틋한 시선이라 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시인의 내면에 쌓여 있던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분노와 슬픔, 공감과 연대의 시가 이번 시집에서는 다양한 사유와 진솔한 언어로 그려졌다. 시집에는 ‘내 유골 뼛가루 뿌려지듯’ ‘목구멍으로 우는 눈물’ ‘삶’ ‘새로운 혁명의 시를 쓴다’ ‘병든 꽃 늙은 꽃’ 등 신작 시들이 수록됐다.
정세훈 시인은 1989년 ‘노동해방문학’과 1990년 ‘창작과 비평’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부평4공단 여공’ ‘몸의 중심’ ‘고요한 노동’, 동시집 ‘공단마을 아이들’, 장편소설 ‘훈이 엉아’, 장편 동화 ‘세상 밖으로 나온 꼬마송사리 큰눈이’ 등 시뿐 아니라 다수의 동시, 동화, 소설, 산문을 발표했다. 현재 충남 홍성에서 노동문학관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