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수원특례시, 외국인투자자 초청해 투자유치설명회 열고 수원경제자유구역 홍보

수원특례시 외국인투자자 초청해 투자유치설명회 열고 수원경제자유구역 홍보 (수원시 제공) [금요저널] 수원특례시(시장 이재준)가 외국인 투자자를 초청해 투자유치설명회를 열고 ‘수원경제자유구역’을 홍보했다.수원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는 ‘Invest KOREA Summit 2025(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2025)’에 참가한 외국인 투자자들을 29일 수원으로 초청해 현장 IR(투자설명회) 프로그램을 운영했다.먼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투자유치설명회를 열고 수원시의 우수한 첨단산업·R&D(연구&개발) 인프라와 투자정책, 성장 잠재력 등을 소개했다.김현수 수원시 제1부시장은 환영사에서 “반세기 전 삼성전자가 첫 연구소를 세운 수원은 대한민국 산업의 뿌리이자 미래를 설계하는 도시”며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핵심 기업·연구 기관이 집적돼 있고 기업·대학·연구소·스타트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혁신 생태계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현재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수원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과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협력의 거점이 될 것”이라며 “외국계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공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투자유치설명회 후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한국나노기술원과 외국인 투자기업인 레이저발테크놀러지를 견학했다.또 화성어차를 타고 문화해설을 들으며 수원의 관광자원을 체험했다.수원시는 Invest KOREA Summit 2025가 열리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30~31일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수원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현황·계획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행정 지원 정책 ▲환상형(環狀形) 첨단과학혁신클러스터, 수원시 대학·연구 기관·정주환경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하는 Invest KOREA Summit 2025는 매년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외국인 투자유치 행사다.올해는 현장 IR, 타운홀미팅, 홍보부스 운영 등으로 진행된다.

수원 봉녕사 소장 불화 2점,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수원 봉녕사 치성광여래회도 [금요저널] 수원 봉녕사 소장 불화 ‘수원 봉녕사 석가여래회도’ 와 ‘수원 봉녕사 치성광여래회도’ 가 2점이 미술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일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조선 후기 불교회화의 지역적 교류 양상과 예술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수원 봉녕사 석가여래회도’는 석가여래의 설법 장면을 그린 불화다. 아미타여래와 가섭존자의 표현은 충청 지역 화승 약효가 초안 제작에 참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경기 지역 화승 천기가 수화승으로 참여한 최초의 작품으로 19세기 후반 불화 제작의 지역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수원 봉녕사 치성광여래회도’는 북극성을 부처로 신격화한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좌우 협시보살을 그린 작품이다. 화승 약효의 화풍과 화승 천기의 세밀한 묘사가 결합됐다. 제작승들의 초기작이지만 안정된 구도와 균형 잡힌 인물 표현으로 완성도 높은 예술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수원시 관계자는 “봉녕사 불화 2점은 조선 후기 불화의 지역적 교류와 예술적 특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지속해서 불교유산의 학술 가치를 발굴하고 보존·관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2025년 하반기 수원특례시 통합지원본부 운영 훈련

수원시와 유관기관이 한국지역난방공사 광교지사에서 2025년 하반기 통합지원본부 훈련을 하고 있다. [금요저널] 수원특례시는 29일 한국지역난방공사 광교지사에서 ‘2025년 하반기 통합지원본부 훈련’을 했다. 이번 훈련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과 ‘수원시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 설치·운영 조례’에 따라 실제 재난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현장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주요 시나리오는 △드론 추락으로 인한 발전설비·전기차 화재 △유해화학물질 누출 △열수송관 파손으로 인한 고온수 누출 등 복합 재난이다. 통합지원본부 실무반 13개 반, 11개 부서가 참여해 상황 전파, 현장 조치, 수습·복구 단계별 임무를 수행했다. 각 부서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해 상황을 신속히 공유하고 소방서·경찰서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인력과 자원을 즉시 지원했다. 수원시는 이번 훈련으로 현장 대응 절차와 정보 공유 체계를 세밀히 점검했다. 개선할 사항은 다음 훈련에 반영할 방침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복합 재난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기관 간 긴밀한 공조가 중요하다”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실전 중심의 훈련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