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비의 철새 뿔제비갈매기, 이동경로 밝혀졌다

    국내 6번째 번식 성공, 이동연구용 가락지로 전남 및 중국 이동경로 확인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2-09-13 16:39:06




    신비의 철새 뿔제비갈매기, 이동경로 밝혀졌다



    [금요저널]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지구상에 생존개체수가 약 100마리인 뿔제비갈매기가 전남 영광군 육산도에서 2016년 이후 6번째 번식에 성공했으며 가락지의 재관찰을 통해 이동경로가 파악됐다고 밝혔다.

    육산도는 2016년 4월 괭이갈매기 무리 사이에서 알을 품고 있는 뿔제비갈매기가 최초로 발견되어 중국의 번식지에 이어 전 세계 5번째 번식지로 기록된 바 있다.

    국내 첫 발견 이후, 육산도에 매년 찾아오는 성조의 개체 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국제 학계에 뿔제비갈매기의 중요한 번식지로 알려졌다.

    올해 3월부터 6월 사이 육산도에는 총 7마리의 뿔제비갈매기가 찾아왔으며 그중 한 쌍이 알을 낳아 새끼 1마리를 성공적으로 키워냈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지난해 6월 1일 뿔제비갈매기 성조 1마리의 다리에 금속가락지를, 새끼 1마리의 다리에 노란색 유색가락지를 부착했다.

    올해 6월 3일 육산도에서 성조 2마리와 올해 태어난 새끼 1마리를 포획해 성조에는 흰색 유색가락지를, 새끼에는 하늘색 유색가락지를 끼우는 과정에서 성조 1마리가 지난해 금속가락지를 부착한 개체와 동일한 것이 확인됐다.

    지난해 육산도에 머물렀던 뿔제비갈매기 중 일부가 다시 이 지역으로 돌아온다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중 흰색 유색가락지가 부착된 성조 1마리와 하늘색 유색가락지가 부착된 새끼 1마리는 6월 말 육산도를 떠난 후 국립생태원 연구진에 의해 7월 말 전북 고창군 해안의 괭이갈매기 무리에서 지내는 것이 확인됐다.

    이들 2마리는 8월까지 중국 칭다오시 해안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확인됐다.

    금속가락지와 흰색 유색가락지가 부착된 성조 1마리는 앞서 두 마리와 같은 시기에 육산도를 떠나 8월 2일 전북 고창 해안에서 우리나라의 한 ‘조류 탐색 활동가’에 의해 마지막으로 목격됐다.

    4일 뒤인 8월 6일에는 전북 고창에서 서쪽으로 536km 떨어진 중국 칭다오시 자오저우만 해안에서 ‘조류 탐색 활동가’에 의해 촬영됐다.

    한편 지난해 노란색 유색가락지가 부착된 새끼 1마리의 이동경로도 파악됐다.

    이 새는 지난해 9월 말에 육산도에서 서쪽으로 610km 중국 산둥성 르자오 해안에서 중국의 조류 탐색 활동가에 의해 확인됐다.

    또한, 이 새는 올해 6월 21일에 산둥성 해안에서 남쪽으로 1,262km 떨어진 대만 이란시 난양 하구에서 그 지역 조류 탐색 활동가를 통해 발견됐다.

    2달 후인 8월에는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자오저우만에서 목격됐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뿔제비갈매기의 이동경로의 확인은 유색가락지 부착과 함께 국내외 조류 탐색 활동가들의 관찰기록이 공유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국립생태원은 앞으로도 긴밀한 국내외 조류 관찰 협력망을 구축해 뿔제비갈매기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번식생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서식지 보전에도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환경부는 내년 초 시행을 앞둔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에 뿔제비갈매기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등록하기 위해 현재 환경부 누리집에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9월 5일부터 40일간 수렴하고 있다.

    강성구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육산도가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위급종에 등재된 뿔제비갈매기의 서식처로서 특정도서 지정·관리의 효과성이 밝혀진 만큼, 서식지의 다양성을 확보해 나가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