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농림축산식품부는 공공급식 분야에서 지역 농산물의 온라인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급식 통합플랫폼’을 9월 20일부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농수산식품거래소에서 개설·운영한다.
공공급식 통합플랫폼은 공공급식 수요기관과 공급처가 온라인상에서 식단 편성, 식재료 거래, 지역 농산물 생산·유통관리, 식재료 안전성 관리 등 공공급식 업무를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이전에는 학교급식 중심으로 지역농산물 공급이 이루어져 공공급식 분야 전반으로의 소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과 함께 식재료의 안정적 수급과 안전성 확보 등에 대한 방안으로 온라인 통합거래 서비스의 제공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21년 기준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 사용 약 1만 개소 중 9천 개소가 학교에 해당 이에 따라 플랫폼은 지난해 5월부터 학교급식 중심의 기존 시스템을 확대·개편해 올해 6월 구축을 완료하고 학교·어린이집·공공급식지원센터 등과 시범거래를 거쳐 이번에 공식 운영에 들어간다.
지역에서 생산한 먹거리가 공공급식에 널리 공급될 수 있도록 지역 농산물의 생산, 물류 기능을 수행하는 지원조직 주요 개선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사용 가능 공공기관이 확대되고 공공급식 수요기관과 공급자 간 수발주·계약 등 거래 편의성이 향상됐다.
학교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유치원·사회복지시설·군·의료기관 등 공공기관에서도 플랫폼을 통해 지역 농산물 구매, 식단 편성, 계약, 정산, 보조금 관리 등을 일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공공급식 기관의 경우에도 식재료 구매 특성을 반영해 입찰이나 계약 절차 없이 소량 거래가 가능하도록 간편 거래 기능을 제공한다.
둘째, 공공급식지원센터에서는 공공급식 수요에 맞는 지역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관리가 가능해져 안정적 식재료 수급 관리가 가능하게 됐다.
공공급식지원센터는 플랫폼을 이용해 급식 기관의 수요에 맞는 지역 농산물을 생산·유통하고 지역 내 농산물의 생산이나 공급이 부족할 경우에는 지원센터 간 현황정보 확인 및 거래를 통해 원활한 수급 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그동안 공공급식 기관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식품 안전 정보를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도 새롭게 도입됐다.
플랫폼은 식약처·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 식품안전 관계기관과 연계되어 있어 공공급식 수요기관에서는 원산지, 친환경 인증, 해썹 인증 등의 정보를 쉽게 확인함으로써 식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플랫폼 사용을 희망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사회복지시설, 정부 또는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급식 기관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 문의하면 자세한 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앞으로 플랫폼 사용을 더 많은 공공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홍보·교육 등에 힘쓸 것이며 플랫폼 사용기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기능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농식품부 이상만 농촌정책국장은 “공공급식 통합플랫폼 운영을 통해서 안전하고 품질 좋은 지역 농산물이 해당 지역에서 우선 소비되는 먹거리 선순환 체계 확산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