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욱 의원, “지반침하 주 원인 노후 하수관, 전국 30년 이상 · 연도 불명 41%…지하안전 빨간 불”
김병욱 의원“노후 하수관로 종합적 관리를 통해 국민 안전 사고 미리 예방해야”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2-09-27 08:18:57
[금요저널] 지반 침하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하수관의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30년 이상은 노후화된 시설은 물론, 아예 매설된 연도 정보가 없는 경우도 많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이 27일 한국국토정보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하수관 노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하시설물 통합DB 기준 전국 파악 가능한 하수관 총 연장 135,151km 중 설치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가 12%, 설치 연도의 정보조차 없는 경우가 무려 29%에 달한다.
30년 이상 또는 정보가 없는 하수관의 총 연장 56,275km는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는 길이이다.
김병욱 의원이 서울특별시로부터 별도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내 전체 하수관 10,798km 중 6,373km가 30년 이상 노후화 되었거나 설치 연도 정보가 없다.
서울 시내 30년 이상·연도 불명 노후 하수관의 20%에 해당하는 1,300km의 하수관이 송파구·강남구·서초구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
LX 자료에 따르면, ‘정보 없음’으로 분류된 하수관은 대전광역시가 4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광주광역시와 강원도가 45%, 전라북도가 43%로 절반에 가까운 하수관의 설치 연도가 불분명하다.
대구경기충북충남전남제주도 30%대로 상당한 비율이 설치 연도 불명으로 분류된다.
지하시설물 통합DB 자료는 각 시설물의 관리 주체인 지자체와 관련 기관, 민간 사업자 등에 의해 취합된 자료이다.
예를 들어 하수관의 경우 관리기관인 각 지자체에 의한 수기 작성 및 연도 미기재 등의 이유로 오래된 자료에 대한 정보 오류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김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지반침하 사고 현황’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전국 1,290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했다.
일반적으로 ‘싱크홀’이라고 불리는 지반침하는 지하안전법 시행에 따라 도로포장 표면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단순 포트홀 등은 제외하고 면적 1m²이상 또는 깊이 1m 이상 지반침하로 인해 사망자·실종자 또는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만 포함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238건으로 가장 많았고 충청북도 153건 광주광역시132건 강원도 128건 부산광역시 114건 등 순이다.
주요 원인으로 보면, 하수관 손상이 564건으로 전체의 46%를 차지했다.
다짐 불량이 212건, 상수관 손상이 105건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지반침하의 절반에 가까운 건수가 하수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LX는 지난 2020년 지하안전법 시행령에 따라 지하정보 구축 지원 및 정확도 개선 전담기구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가 1998년부터 지하시설물 전산화 등을 진행해 왔지만, 지자체 등이 작성한 2D 자료의 오류와 시설물별 각기 다른 관리 주체로 정보의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김병욱 의원은 “지반침하의 주 원인이 하수관 손상이고 최근 폭우에 벌어진 사고도 하수관 역류로 인한 것이 많다”며 “지자체와 기관에 맡겨둘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를 구축해 ‘도심 속 지뢰밭’인 노후 하수관에 대한 조금 더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정보 불분명인 하수관들로 인해 국민들은 하루하루 땅이 언제 꺼질지 모르고 불안에 떨어야 한다”며 “하수관로의 결함과 관로 주변 지반 공동의 주기적 점검 및 관리를 통해 소 잃기 전에 외양간을 미리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