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 66% “대한민국은 이미 문화선진국”

    문체부,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 발표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2-12-19 16:00:52




    한국인 66% “대한민국은 이미 문화선진국”



    [금요저널]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 우리 국민의 약 66%는 “한국 문화는 이미 선진국 수준”이고 삶의 방식과 관련해 10명 중 4명은 “미래보다 현재의 행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는 ‘일자리’라고 답했으며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 1996년을 시작으로 2013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 조사는 8번째 조사이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우수하다”고 답한 비율은 96.6%로 2008년에 비해 43%포인트 상승했는데, 이는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아울러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 “우수하다” 95.1%,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 89.8%, “우리나라는 살기 좋은 곳이다” 90.4%, “우리나라 역사가 자랑스럽다” 85%로 답해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3년 이후 다시 한번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분야별 수준을 물어본 결과를 살펴보면 문화 분야는 “이미 선진국 수준이다” 65.9%, 경제 분야는 “선진국 수준에 다소 미흡하다” 61.1%, 정치 분야는 “선진국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56.4%가 가장 많았다.

    다만, 10년 전보다“이미 선진국 수준이다”라는 응답 비율은 모든 분야에서 상승했다.

    삶의 방식에 대해, 우리 국민의 27%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지만, 43.4%는 “막연한 미래보다 현재 행복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돼, 이른바 현재 행복에 충실하자는 ‘욜로’ 현상이 청년세대뿐만 아니라 전 세대에 걸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65%가 “행복하다”고 답해 우리 국민의 행복감은 2008년 이후로 지난 14년간 ‘중상’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63.1%가 “요즘 삶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세부 항목에 있어서는 ‘가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반면, ‘소득/재산’에 대해서는 38.9%만 “만족한다”고 답했다.

    결혼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살펴본 결과,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응답은 17.6%로 1996년부터 지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요소로는 처음 조사가 시작된 1996년 이래 올해까지 계속해서 ‘성격’이 1위로 조사됐다.

    이 밖에 결혼 관련 인식에 대해서는 “혼전순결 지켜야 하는지”와 “이혼은 해서는 안 되는지”에 대해 “그렇지 않다”가 각각 57.6%, 56.3%, “동거도 결혼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그렇다”가 67.3%로 개인의 자유나 권리를 중시하는 모습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올해 처음 질문한 “성인이 된 자녀는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한다”에는 80.9%가 “그렇다”고 답했고 ‘부모 부양 의무’에 대한 긍정 응답은 51.2%로 두 질문 모두 고연령일수록 긍정 응답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만 ‘부모 부양 의무’에 대한 긍정 응답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일과 여가생활의 균형에 대해서는 “보통” 36.9%, “여가에 비중을 둔다” 32.2%, “일에 비중을 둔다” 30.9% 순으로 나타나, 일과 여가를 조화롭게 병행하는 삶에 대한 자기 결정성이 높아지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참고로 3년 전에는 “여가보다는 일에 집중한다” 48.4%, “일보다 여가를 즐긴다” 17.1%로 일에 더욱 집중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가정경제 수준에 대해 “중산층보다 낮다”라는 응답은 지난 2019년 조사 결과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중산층보다 낮다” 57.6%, “중산층이다” 36.1%, “중산층보다 높다” 6.3% 순으로 응답했으며 주변과의 생활 수준 차이에 대해서는 68.1%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우리 사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일자리’, ‘빈부격차’, ‘부동산·주택’, ‘저출산·고령화’ 등의 순으로 조사됐으며 ‘경제적 양극화’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10명 중 8명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우리 사회의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을 10점 척도로 살펴본 결과, ‘소득분배’에 대한 인식은 “노력에 따른 소득격차를 인정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다소 우세해 평균 6.6점으로 나타났으며 ‘생계/복지 책임 주체’로는 ‘당사자 책임‘이, ‘경쟁’에 대해서는 “사회를 발전시킨다”가 각각 반대 의견보다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유와 질서’ 인식은 평균 5.5점으로 ‘사회적 질서 우선’과 ‘개인의 자유 우선’ 의견이, 평균 5.3점인 환경보호 인식은 ‘환경보호 우선’과 ‘경제성장 우선’ 의견이 서로 팽팽하게 맞섰다.

    ‘가진 것들에 대해 한국 사회로부터 받는 대우가 공정하다고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두뇌’, ‘일과 관련된 기술’, ‘노력’, ‘경력’의 4개 항목에서 각 50%, 49.1%, 35.8%, 34.6%가 “공정하다”고 답했으며 지난 조사에 비해 4가지 항목 모두 “공정하다”라는 긍정 응답이 증가했다.

    갈등이 심한 집단으로는 ‘진보와 보수’, ‘정규직과 비정규직’, ‘부유층과 서민층’ 순으로 이어졌으며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를 물은 결과 “신뢰할 수 있다”가 39.8%로 “신뢰할 수 없다” 19.9%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리 국민이 희망하는 미래 한국은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가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는지”에 대해 80.5%가, “난민을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44.1%가 “그렇다”고 답해 우리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북한에 대해서는 ‘협력 대상’, ‘적대적 대상’, ‘경계 대상’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비우호적 응답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시기에 대해서도 “통일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가 53.3%로 가장 높았으며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 36.6%,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 10.1% 순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