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수구, ‘위험도 설문’ 활용 1인 가구 고독사 막는다.

    지역 내 저소득층 중·장년 홀몸 가구 1천938명 생활실태 전수조사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3-11-28 11:43:52




    인천광역시_연수구청사전경(사진=연수구)



    [금요저널] 구는 내년 청·장년 1인 가구 추가 실태조사와 함께 모든 연령층별로 맞춤형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 수립과 함께 상황별 지원 등 새로운 개념의 고독사 예방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에 거주 중인 저소득 1인 가구의 경제·근로활동, 건강, 사회적 고립도 등 위험도 실태 파악을 통해 고위험군을 발굴, 집중관리하고 개인별 생활 실태에 맞는 지원과 돌봄을 병행하는 사업이다.

    실제로 연수구는 지역 내 1인 가구 비율이 2019년 23.1%에서 2023년 31.3%로 급증하면서 올해 50세에서 64세 저소득 복지대상자 1인 가구 1천938명에 대한 실태파악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항목은 1인가구 실태 고독사 위험수준 정책 욕구 복지서비스 지원 매체 등 모두 20개 문항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조사응답자 1천359명 중 고위험군이 59명, 중위험군이 106명, 저위험군이 109명 등 모두 274명 응답자 20.1%가 집중관리를 받아야 하는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형태 변화와 실직, 사별 등으로 인한 홀몸 가구의 증가와 사회적 연대 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구는 이번 결과가 복지위기 가구의 고독사 위험도가 반영된 수치라는 판단이다.

    조사 결과 저소득 중·장년 1인 가구의 주거 유형은 다세대 연립이 45%로 가장 많았고 임대아파트, 일반아파트 7.9%, 다세대연립 , 오피스텔 순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사유를 묻는 질문에 미혼은 가족관계 단절 등 기타, 자유로운 독립생활 희망, 동거인 사·이별, 직장 순으로 답했고 기혼의 경우에는 동거인과의 사·이별이 9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복수 답변이 가능하도록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을 묻는 질문에 경제적 지원이 896명으로 가장 많았고 주거지원, 건강관리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도움 요청 대상으로는 가족·친구가 6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구청·동 행정복지센터, 기타, 이웃·통반장, 사회복지시설 순으로 답했다.

    1인 가구 저소득 중·장년의 복지정보 습득 매체로는 구청·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이 381명으로 가장 많이 선택했고 TV, SNS, 기타 순으로 꼽았다.

    연수구는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확인된 고독사 위험군 274명을 1인 가구 안부살핌서비스 등 예방사업 대상자로 우선 연계하고 통합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 지원하는 등 집중관리 한다는 입장이다.

    또 주거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따라 내년 시행 예정인 연수형 저소득가구 월세 임대료 보조사업과 현재 시행 중인 재가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을 통해 수요에 부응한다는 계획이다.

    보건의료 심리상담 등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도 각 동 간호인력의 찾아가는 방문건강 관리와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유관기관 의료 자원과 연계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특히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하는 장소와 정보습득 주요 매체로 관공서를 차순위로 꼽고 있어 동 통합상담창구 운영과 예약시스템 구축 등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번 중장년 1인 가구 생활실태 전수조사는 사회적 고립가구 조기 발견과 고독사 예방을 위해 지난 9월까지 연수구 15개 동 맞춤형복지팀 관계자 등 51명이 참여해 2개월여간 진행했다.

    연수구는 내년에도 만 19세에서 49세 청·장년 1인 가구 실태조사를 통해 발굴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2024년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을 수립해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재호 연수구청장은 “홀몸 가구는 현실적 문제와 함께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까지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다”며 “내년부터는 모든 동에 간호인력을 확대 배치해 상실감, 부담감 등을 해소토록 지원하고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더 촘촘하게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