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립박물관, 박물관 속 작은 전시 ‘조선시대 혼례’
[금요저널] 대전시립박물관은 2025년 두 번째 박물관 속 작은 전시로‘조선시대 혼례’를 3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최근 대전시립박물관에 새롭게 기증된 유물인‘원삼’을 비롯해‘혼서지’, ‘사주단자’, ‘목기러기’등 조선시대 혼례와 관련된 다양한 물품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당시의 혼례 문화와 예절을 깊이 있게 조명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혼례는 인륜지대사로 불릴 만큼 중요한 의례로 사회적 지위와 인정을 받기 위해 누구나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였다.
이를 통해 두 사람의 결합이 사회적으로 공인됐으며 가문의 명예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주요 전시품인 ‘원삼’은 조선시대 궁중과 민간 모두에서 사용된 혼례복이다.
화려하게 수놓은 활옷보다 마련하기 쉬워 민간에서 널리 착용됐으며 한 벌을 친인척이 돌아가며 입는 풍습도 있었다.
전시하는 원삼은 옥색의 문단에 홍·청·황색 등으로 염색한 소매를 갖춘 형태로 민간에서 흔히 사용되던 전형적인 모습이다.
‘혼서지’는 대전 출신 대유학자인 송준길이 직접 작성한 문서로 그의 둘째 손자 송병하가 해주목사 나성두의 조카와 혼인할 당시 작성한 것이다.
송병하의 부친 송광식을 대신해 가문의 큰어른이었던 송준길이 혼주로 나섰으며 그의 정갈한 해서체가 잘 드러난 명필 유물이다.
이외에도 ‘사주단자’, ‘목기러기’, ‘혼수함’등 조선시대 혼례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 다양한 물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 지역에서 선조들이 혼례 때 실제 작성한 문서와 직접 사용한 물품들을 살펴보며 당시의 혼례 문화와 사회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