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속담에 친구와 포도주는 오래될수록 좋다라는 말을 기억이 난다
속담이란 말 그대로 오래된 말의 숲을 뜻한다. 어디 친구와 포도주만이랴-
묵은 장맛을 아는 사람은 아마도 긍정에 긍정할 것이다.
이른바 씨간장이라 하여 몇십년 몇 대를 거쳐서 내려오는 전통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말이다
그 간장 속에는 하늘이 담겨있고 하늘이 푸른 만큼이나 깊은 맛깔이 담겨있음은 가히 경이로울 일이 될 것이다. 시할머니, 또는 시어머니의 손길을 느끼는 며느리-
종갓집의 며느리의 임무는 그만큼 엄숙했고 법도를 존중하는 마음이 이어지는 끈이 되어 한 집안의 전통을 이어가는 습속(習俗)이라는데서 서양의 어떤 개념도 따라올 수 없는 우리의 전통이다.
T,S.Elio의 <개인적 전통과 재능>이라는 짧은 논문에서 전통은 곧 새로움을 이어가는 줄기임을 암시했고 공자도 생이지지자에서 아비생이지자, 호고민이구자야라는 말로 전통의 묵수(墨守)는 단지 낡은 것의 명칭이 아니라 오늘을 새롭게 받아드리는 줄기의 개념으로 설파 했음은 현명한 사람이 깨닫는 개방된 사고의 소유자만이 느끼는 일일 것이다.
특히 이러한 치졸은 정치판에서 사상이 실종된 자들의 소행이라 한나라의 진로가 암담한 지경이 아닐 수 없다.
지난 좌파들이 정권을 잡자 본색을 드러내면서 이른바 적폐 청산이라는 미명으로 미운 놈 때려잡자는 행패가 자심(滋甚)했었다.
4대강 문제, 박근혜 탄핵을 하는가 하면 일종의 감옥에 보내는 일환으로 감사라는 명목을 빌려 우를 범하는 일이었으며 현재 윤 정부가 수사하고 있는 원전, 북송, 이재명 대표의 대리 변호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단임제 제도가 갖는 한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돌고 도는 정치가 지속 된다면 과연 앞서나가는 지구촌 정세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보복은 또 다른 보복의 악순환을 자초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다. 아침이 오면 저녁이 오고 밤이 지나면 다시 아침이 온다. 무슨일을 시행하면 사소한 잘못이 없으면 그는 신이지 이간이 아닌 것이다.
적폐 몰이의 주인공도 그런 길이 넓게 열린 사실을 모르는 우매한 정치 놀음을 하는 것이다. 메스컴의 위력이나 떼쓰기의 본보기가 지금도 여일한 수법인지는 믿어 보지만 아직은 글쎄올시다이다. 늘 하는 말이지만 정치란 처음도 정(正) 즉 바름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런 전통을 무시하면 곧바로 보복의 악순환이 자기로 돌아오는 부메랑의 화살이 가슴에 비극의 상징이 된다는 점이다. 국민의 마음을 헤아리고 위무하는 어른이 되어야만 성공한 정부가 되는 것이다. 과거를 부정하는 것은 곧 현실을 파묻는 어리석음이기 때문이다.
종부가 씨 간장을 소중히 여기는 것-
시집살이의 고달픔이 없었겠는가?
해도 그런 일들은 추억으로 삼고 좋은 것만을 간직하려는 가상한 마음이 전통의 줄기로 이어질 때 결국 존경의 이름이 따라오는 것이 아닐까?
과거를 부정하기보다 보존하고 존중하는 자세를 가질 때 현명한 수범(垂範)의 정치가 되는 것이지만 권력이 주구(走狗)가 될 때 이미 어긋난 길로 들어간 비극의 단초라는 말이다.
우리가 지금 또 목도하고 있지 않는가?
우리의 정치는 지금 희극을 보는 것인지 난센스의 수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가치의 실종이 너무 심하다. 패당 끼리 놀음을 하는 형국이다.
이는 전통이 부재한 데서 나오는 천박한 사고의 전형들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이는 생각의 깊이가 없는 결론이 아니면 다른 답안이 도출될 수 없는 예일 것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오는 전 정권의 비리들이 뉴스들의 전면을 덮고 있어 참으로 기가 막힐 정도이다.
이제 그런 일들이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정(正)으로 정치를 해야 한다.
오래된 유물은 오래된 시간만큼 소중하고 진중한 보물이 된다는 자각은 최근 우리 사회가 그만큼 성숙의 길로 들어가고 있다는 신호일 것이라 안도하며 정치가는 자기의 영혼을 팔아 권력을 쟁취하지만 결코 역사를 바꾸지 못하는 잠시 왔다 사라지는 하루살이 존재의 길을 선택한 우매한 자들이기 때문에 이름 석자는 이내 사라질 뿐이다.
전통이 없는 사회는 쉽게 무너진다고 했다.
왜 그런가 하면 기둥이 튼실하지 못하면 바람이나 태풍에 틀림없이 쓰러지는 운명을 재촉하기 때문이다.
모두가 자기 스스로가 만드는 것이지 누군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통은 가치의 소중함이라는 강조가 오히려 부족하다.
정의가 왜곡될 때 사회의 파장은 오래 길게 간다.
바르게 정리하고 옳게 나아가는 길은 조금 늦더라도 결국은 빠른 지름길이라 한번 어긋나면 바로잡는 시간은 결국 국민의 몫으로 고통이 된다.
학문이 사회, 정치에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면 이미 다른 곳은 더 말할 나위도 없는 처참한 상황에 해당 된다.
정치적인 암흑기는 이미 지난 일이다.
고구(考究)한 정치를 해주기를 기대할 뿐이로다.
분노는 안으로 삭여야 한다. 그래야 사물의 실상을 볼 수가 있으며 또 미래의 길이 보일 것이기 때문에 끝없는 자기 수련의 공부가 내공을 갖추지 않으면 자기 화염에 불타는 비극이 자기 것만이 아니라 타인에 전가되는 비극-
전통이 넘쳐나는 우리 사회다
현명한 지도자가 필요한 이유는 결국 국가의 미래와 연결될 것이기에 우리의 전통을 살려
더이상 이게 나라냐 하는 소리를 듣지 않았으면 좋겠다.
2022. 09. 29.
금요저널 주필/칼럼리스트/
이승섭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