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만파파식적]

    {김성문(사)가야연구원장}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3-12-27 06:55:05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성인(聖人)들의 나라를 위한 모습은 여러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돌아가신 신라 문무대왕과 김유신 장군은 나라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동해 조그마한 섬에 대나무를 보내어 피리를 만들어 불게 했다. 피리 소리를 들으면 나라의 우환이 없어졌다. 그 내용이 삼국사기삼국유사』 「만파식적조에 전해지고 있다.

     

    신라는 왜병의 침략을 자주 받았다. 31대 문무대왕은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신라를 침범하는 왜병을 진압하기 위해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사찰을 짓기 시작했다. 사찰을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시자, 아들 신문왕이 682년 완성하여 감은사(感恩寺)라 했다. 문무대왕은 평소 지의법사(智義法師)에게 말했다.

     

    짐은 죽은 뒤에 호국하는 큰 용이 되어 불법을 높이 받들며 나라를 지키고 싶소.”

     

    또한 유언으로는 왜적을 막을 테니 동해 어구의 큰 바위 위에 장사 지내달라고 했다.

     

    장사 지낸 곳은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대왕암으로 문무대왕수중릉이라 한다. 신문왕이 용의 모습을 본 곳은 감은사와 같이 완성한 이견대(利見臺)이고 동남쪽으로 직선거리 약 700m에 문무대왕수중릉이 보인다. 신문왕은 해룡이 감은사에 들어와 돌아다니다 갈 수 있도록 대웅전의 층계 밑에 동쪽을 향해 구멍을 뚫었다. 감은사는 현재 3층 석탑 두 개가 동서로 마주 보고, 널따란 터만 남아 있다.

     

    68251일에 4등급 파진찬 박숙청(朴夙淸)이 갑자기 신문왕께 아뢰었다.

     

    동해 한복판에 작은 산 하나가 파도에 따라 감은사 쪽으로 밀려왔다 밀려 나갔다 합니다.”

     

    신문왕이 이상히 여겨 천문관측과 점성을 담당한 일관(日官) 김춘질에게 명해 점을 치도록 했다. 일관이 아뢰길,

     

    돌아가신 문무대왕께서 바다의 큰 용이 되어 삼한을 보호하고, 또 김유신이 천상계의 아들로서 우리나라에 내려와 대신이 되었으므로 두 성인의 덕을 합쳐 성()을 지킬 보배를 내리시려 하오니, 폐하께서 해변에 나가시면 반드시 값을 매길 수 없는 큰 보배를 얻을 것입니다.”

     

    신문왕은 기뻐하며, 57이견대로 나가 그 산을 보고 사신을 보내 살펴보게 했다.

     

    산의 모양새는 거북이의 머리 같은데 그 위에 대나무 한 그루가 있어, 낮에는 둘이 되고 밤이면 하나로 합쳐집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신문왕은 그날 감은사에서 밤을 지냈다. 다음 날 정오에 대나무가 합쳐 하나가 되고, 천지가 진동하고 폭풍우가 치며 어두워져 7일 만인 16일에야 바람이 멈추고 파도가 가라앉았다. 신문왕이 바다에 배를 띄워 그 산에 들어가니 용이 검은 옥대(玉帶)를 바치므로 왕은 영접하며 자리에 앉아 말했다.

     

    이 산과 대나무가 갈렸다 합쳤다 하는 것이 무슨 까닭인가?”

    비유하건대 한 손으로 치는 손뼉은 소리가 없고 두 손으로 치는 손뼉이 소리가 나듯이 이 대나무도 합쳐진 후에야 소리가 나게 됩니다. 성왕(聖王)께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릴 징조입니다. 이 대나무를 가져다가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할 것입니다. 지금 왕의 아버님께서는 바다의 큰 용이 되셨고, 김유신은 천신이 되어 두 성인이 같은 뜻으로 값을 정할 수 없는 큰 보배를 제가 바치도록 한 것입니다.”

     

    신문왕은 기뻐 놀라서 오색의 비단과 금옥(金玉)으로 보답하는 제사를 지냈다. 그 후 칙사(勅使)를 시켜 대나무를 베어서 바다를 떠나니 산과 용이 모두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신문왕은 그날 또 감은사에서 밤을 지내고 17일 기림사(祇林寺) 서쪽 시냇가에 이르러 행차를 쉬며 오찬을 들고 있었다. 이때 태자 이공(理恭)이 대궐을 지키고 있다가 소문을 듣고 말()로 달려와 하례하고서 자세히 살펴보고 아뢰었다.

     

    이 옥대의 여러 쪽의 장식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살아있는 용입니다.”

    네가 어찌 아느냐?”

    장식 하나를 떼어서 물에 넣어 보십시오.”

     

    왼편 두 번째 장식을 떼어서 시냇물에 담그니 곧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고 그곳은 못이 되었으므로 용연(龍淵)이라 했다. 신문왕은 환궁하여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월성 천존고(天尊庫)에 소중히 보관했다. 천존고는 신라 때, 나라의 보물을 간직해 두던 창고이다.

     

    이 피리를 불면, 적군도 물러가고, 병이 나으며, 가물 때 비가 오고, 장마 때는 비가 그치며, 바람이 멎고, 파도가 잔잔해졌다. 그래서 만 개의 파도가 있지만, 피리를 불면 조용해진다는 뜻으로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하고 국보로 삼았다고 한다. 만파식적은 692, 효소왕(孝昭王) 원년에 분실했다. 찾는 과정에서 692년에 국선 화랑이 된 부례랑(夫禮郞)이 국경 근처에 놀이 갔다가 말갈족에게 사로잡혔다. 부례랑은 잡혀간 곳에서 목동을 하고 있었다. 이듬해 갑자기 단정한 스님이 피리를 들고 부례랑에게 나타나 피리를 타고 기적적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만파식적도 다시 찾게 되어 격을 높여 이름을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으로 고쳤다고 삼국유사는 전하고 있다.

     

    만만파파식적은 악기이지만 단군신화에 나오는 풍백, 우사, 운사의 천부인(天符印)과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통치의 중요한 수단과 죽은 사람도 살린다는 신묘한 효능을 가진 금척(金尺) 등과 같이 건국할 때마다 나타난 신성한 물건과 비슷한 성격으로 생각한다. 만만파파식적에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한 이후, 혼란스러운 시절이 빨리 지나가고 평화가 오기를 바라는 신문왕과 신라 사람들의 염원이 들어 있기도 하다. 백제와 고구려 유민의 민심을 통합해 강력한 왕권을 상징할 수 있는 신물(神物)로도 추측할 수도 있다. 나라의 안정을 꾀하려 했던 호국 사상도 보인다.

     

    삼국통일의 완성을 본 김유신 장군과 문무대왕은 천신과 해룡으로 등장하여 신라의 번영을 위하고 있다. 작금의 한국 정치를 볼 때 김유신 장군과 문무대왕의 정신을 본받아 나라의 힘을 한곳에 모을 때가 된 것 같다.

    [검은색 신라시대 만만파파적 추정 노란색 조선시대 제작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