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수원시가 ‘공직자 인권교육 제도화’로 공직사회에 존중 문화를 확산하고 인권행정을 실현하고 있다.
수원시는 공직 내 인권 의식을 높이고 인권 존중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직급별로 인권교육을 체계화했다.
10월까지 5급, 6급, 7급 이하 공무원, 공무직 등 수원시 공직자 5113명을 대상으로 18회에 걸쳐 인권교육을 한다.
먼저 지난 3월 26~28일 7급 이하 공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공직자 인권 문해력 과정-상호존중편’을 열었다.
5급 공무원 ‘고위관리자 인권리더십 과정’은 ‘까칠사회, 포용과 존엄이 함께하는 인권리더십’을 주제로 한 이창준 ㈜아그막 대표의 강의, 6급 공무원 대상 ‘중간 관리자 인권리더십 과정’은 김성학 에듀웨이 대표 값하지 않는 인권’), 박진 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의 강의로 진행된다.
7급 이하 ‘공직자 인권문해력 과정’은 △세대 갈등과 인권: 생 존 십의 시대, 협력하는 힘 △디지털 능력주의 시대, 외로움과 불평등 △영화로 보는 젠더와 차별 △국가 폭력: 사과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 △독립운동가와 민주화운동의 흔적을 찾아 떠나는 인권기행 △직장 내 괴롭힘 방지와 일터 민주주의 △민주주의와 인권 △수원의 독립운동가 발자취를 찾아 등을 주제로 8기수에 걸쳐 진행된다.
또 사회적 인권 이슈인 ‘재난과 돌봄’ 주제로 공무원 인권직무역량과정 ‘재난, 인간의 존엄을 묻는 시간’ ‘영화 플랜75로 만나는 돌봄과 인권’를 운영한다.
공무직 인권감수성 과정은 5월 23일 ‘공무직을 위한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주제로 한 강의로 진행된다.
‘사이버 인권감수성 과정’은 11월까지 경기도인재개발원 E-HRD, 국가인권위원회 나라배움터에서 언제든지 수강할 수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는 ‘모든 공무원 연 4시간 인권교육 의무이수제 참여’ 등 공직자 인권교육 제도화로 인권행정을 실현하고 있다”며 “체계적으로 인권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전 직원 인권교육 이수 현황을 관리하는 등 인권교육을 제도화해 전국 지자체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