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호경 작가] 무수히 많은 작은 점을 찍어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점묘화법은 떠오른 이미지를 철저히 계산하고 캔버스에 정성으로 옮겨 오랜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안호경 작가의 특징은 이러한 점묘화법으로 풍경, 정물을 제작하고 현재는 반추상에서 추상 작품까지 확장시켜 표현할 수 있는 화법이 다양해 감상의 폭을 넓혔다. [포스터] 이번 '그대 그리고 나' 타이틀의 개인전은 2025년 2월 19일(수) ~ 2월 24일(월)까지 서울 갤러리라메르 4전시실에서 열려 점묘화의 진수를 알리는 뜻 깊은 전시가 되었다. 점묘화로 제작된 '그대 그리고 나' 시리즈 작품들은 한결같이 온화한 사랑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멀리서 바라보는 관찰자 시점으로 그린 아름다운 풍경 속에 다정한 연인의 모습을 숨겨 놓듯 아득하게 그려 넣었다. 가까이 마주하는 다정스런 사람들의 모습 보다 보일 듯 말 듯 한 연인들의 실루엣이 애틋함과 달콤함이 더욱 극적이다. [안호경 작가, _그대 그리고 나_ 개인전1] 그림에는 지천으로 깔린 들꽃이 있고, 가장 우거진 모습의 나무들이 있다. 자연의 전성기 모습을 화면에 채워 사랑과 행복이 충만하기를 바라는 에너지가 용광로처럼 끓어오르게 만들었다. [안호경 작가, _그대 그리고 나_ 개인전2] 해바라기 작품들은 만개한 모습으로 강열한 태양을 나타나기도 하고 활짝 웃는 사람의 얼굴이기도 하다. 단순한 해바라기가 아닌 의인화하여 삶에 대한 애착과 밝고 즐겁게 살아가려는 생명력을 함축시켜 뿜어져 나오는 긍정의 에어지가 대단하다. [그대 그리고 나1] 특히 해바라기를 구상과 반구상 기법 동시에 구사하며 제작된 그림이 화법에 따라 느끼는 감동이 새로우며, 금빛으로 채색된 꽃잎에 시선을 빼앗기다 보면 마음의 기쁨이 스며들듯 찾아온다. 어둠은 찾아 볼 수 없고 부정적인 공간 또한 없다. 오직 서로를 위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사랑의 핑크빛으로 처음부터 의도되고 결과로 맺어져 희망적이다. [그대 그리고 나2] '그대 그리고 나' 시리즈 작품으로 개인전을 실시한 안호경 작가는 "점으로 시작된 형태들이 모인 찬란한 색의 향연을 통해 진실한 사랑과 평화 그리고 행복을 전달하고자 하며, 살면서 만나는 어려움과 상처를 그림으로 치유하고 즐거운 일상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대 그리고 나3] 작가는 개인전 18회, 단체전 180여회 이상 진행한 중진작가로 서울 광진미술협회 전시분과위원장, 서울아트페어 집행위원장으로 한국미술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아름다운 풍경과 꽃을 주제로 제작된 그림으로 휴식을 주는 작가 정신의 이념에 맞게 창작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다. [그대 그리고 나4]
개성이 뚜렷한 작품으로 3인 3색의 매력을 알리는 전시가 2025년 2월 19일(수) ~ 2월 25일(화)까지 서울 인사이트프라자갤러리 1층에서 "3인의 하모니展" 타이틀로 진행 중에 있다. 피노키오와 어리왕자 동화 이야기를 어른이 되어 다시 탐독하듯이 그림으로 재구성하여 동심을 일깨우는 황제성 작가, 중년들에게는 아련한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고향의 모습을 추수 끝낸 늦가을 풍경으로 감동을 전하는 정태영 작가, 붉고 탐스럽게 익은 석류 이미지로 풍요로운 행복을 담아 미소를 전달하는 국홍주 작가의 작품이 서로 어긋남 없이 조화롭다. [왼쪽부터 정태영 작가, 황제성 작가, 국홍주 작가] 황제성 작가의 'nomad-idea' 작품은 동화 속에 초대를 하고 싶은 심정으로 피노키오와 어리왕자 이야기 속 시그니처(signature) 이미지를 한 화면에 배치하여 절묘한 조화로 미술작가가 쓰는 새로운 동화로 재구성되어 잊고 살았던 순수한 동심을 불러일으킨다. [포스터] 그림 속 비현실적인 상황에서 바라보는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잊고 살았던 삶의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여 동화가 주는 교훈과 희망을 찾으려 한다. 익숙한 동화의 이미지에서 잠시 휴식을 갖고 앞을 향해 먼 곳을 응시하는 주인공 모습에서 다시 용기를 얻는다. [nomad 황제성 작가 1] 정태영 작가는 '삶-오후' 작품으로 감성을 자극한다. 과거의 시골 풍경은 누구의 고향일수도 있고, 사람의 감정을 따뜻하게 만들며 건조해진 마음을 잠시라도 부드럽게 하려는 이미지의 선택일 수도 있다. 작가 의도와는 상관없이 시선에 이끌려 보이는 모락모락 피어나는 시골집 굴뚝은 온기로 가득한 집안의 풍경이 상상되고, 익은 곡식을 거두어들인 들녘의 모습은 만추(晩秋)의 고즈넉한 매력으로 다가온다. 지금은 찾기 힘든 황토건물 담배 건조장은 농부의 노고로 가족을 지키려는 우리 아버지와 어머니의 땀과 눈물도 숨겨져 있다. [nomad-idea 황제성 작가 2] 작품명 '석류 이야기'로 풍요를 전하는 국홍주 작가의 그림은 씨앗이 드러날 정도로 잘 익은 모습으로 구성하여 다산과 다복을 상징하는 정체성을 확실하게 구현했다. [삶-오후 정태영 작가 1] 붉은색의 농도 조절로 사실감 있게 채색하고, 석류의 배경으로 전통적인 문창살을 넣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나와 우리를 연결하는 고리이자 소통과 교감의 장으로 승화시켰다. 또한 작품 속 나비는 앞으로의 밝은 미래를 의미하고, 부귀영화와 기쁨도 나타내며 가족의 화목을 강조했다. [삶-오후 정태영 작가2] "3인의 하모니展"을 실시하는 작가 3인은 한국미술계에서 오랜 시간 함께 작품 활동을 펼쳐온 동료들로 우정과 깊은 유대감으로 브로맨스(Bromance)를 자랑한다. [석류이야기 - 국홍주 작가1] 황제성 작가는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정태영 작가는 서울아카데미 상임자문위원, 국홍주 작가는 미술동인시선 고문으로 미술인 권익향상과 풍성한 한국미술로 발전하는데 기여도 하고 있다. [석류이야기 - 국홍주 작가2]
[김경윤 작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풍경과 사물들의 변화를 사람이 살면서 겪는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인간사에 비유하며 작품을 하는 서양화가 김경윤 작가는 2024년 8월 14일(수) ~ 8월 20일(화)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루벤플러스에서 "미의 변주 + 시간" 타이틀로초대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포스터] 만개한 연꽃을 묘사하는 아름다운 곡선에 시선을 빼앗기다 보면 수채화처럼 유화로 번짐 효과로 구성된 연잎의 넓고 아량 있는 모습에 심신의 안정을 가져다준다. 유화의 연꽃은 밝고 빛이 나며, 투명하기까지 하여 아름다움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다. 밝은 색상으로 이미지를 제작했다고 해서 가볍거나 들뜨지 않고 꽃의 매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머무는 눈길이 오래 걸린다. [김경윤 작가 개인전1] 멀리서 바라본 분홍빛으로 물든 들판의 복사나무 풍경은 정겹고 운치 있다. 반구상 기법으로 표현된 아련한 복사꽃의 모습으로 감상자는 다양한 감정을 떠올리게 만들고, 생명이 꿈틀대는 봄 풍경을 연둣빛과 보랏빛으로 배경을 만들어 따스함을 느끼게 한다.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온화하게 유도하고, 일상에 활력을 불어 넣는 에너지를 주는 그림의 힘을 보여 준다. [김경윤 작가 개인전2] 흘러넘치도록 담은 화병속의 꽃무리는 기쁨과 환희를 선물하듯 안긴다. 바라보면 미소가 지어지고 향기가 묻어나는 진한 향에 심취되며, 화면 전체를 꽃으로 채워서라도 일상의 행복을 염원하는 선한 영향력을 예술로 풀어냈다. [미의 변주1] 작품에는 시간의 흐름이 보이도록 했고, 보이지 않는 내면은 색과 선으로 채웠다. 사람이든 사물이든 모든 것을 함축시켜 모여진 메시지를 작품으로 관람객과 교감하고자 했다. [미의 변주2] "미의 변주 + 시간" 초대 개인전을 실시 중인 김경윤 작가는 "아름다운 꽃들도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고 인생의 화양연화를 맞이하듯 우리들의 인생도 어려움을 극복하고 견디며 자신만의 삶을 찾고 만들어가며 당당하게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말했다. [미의 변주3] 작가는 개인전 17회, 아트페어 및 국내외전시 300여회 이상 진행한 중진작가로 한국미술협회 구리지부 지회장 역임,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등으로 한국미술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미의 변주4]
by 수원본부장 손옥자[DMZ 평화콘서트 포스터.] /경기관광공사 제공 오는 9월7일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는 DMZ 평화콘서트는 ‘열린 DMZ, 더 큰 평화’를 주제로 DMZ의 생태·평화·역사적 가치를 알리는 ‘DMZ OPEN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열린다. ‘DMZ OPEN 페스티벌’은 평화의 상징적 공간인 DMZ의 역사적 가치와 평화의 메시지를 널리 알리고, 다양한 문화 행사를 통해 경기도민과 나아가 전 국민이 함께 소통하며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번 콘서트에는 자녀와 부모님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트로트 장르도 포함시켜 다양한 세대의 관객들에게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송가인, 신성, 정동원, 나영, 설화를 포함한 총 5팀의 가수가 참여할 예정이다. 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매력적인 목소리로 사랑받는 트로트 가수인 송가인은 풍부한 감성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모습으로 공연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고, 뛰어난 가창력과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매너로 주목받고 있는 신성은 강력한 발성과 무대 장악력을 선보인다. 공연 예매는 ‘티켓링크’를 통해 19일 오후 2시부터 진행될 예정으로 상세 내용은 디엠지 오픈 페스티벌 누리집에서, 페스티벌 관련 다양한 이벤트는 인스타그램(@dmzopen_official)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군포문화재단 제공] (재)군포문화재단의 올해 생활문화공동체 지원사업 선정단체인 수리플릇앙상블이 오는 18일 오후 3시 30분, 군포문화예술회관 철쭉홀에서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모두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수리플릇앙상블 단원과 (사)서울그라티아 오케스트라 플릇 앙상블 단체가 협연을 통해 클래식, 뮤지컬, 드라마 OST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아름다운 하모니로 선보인다. 공연 대표곡으로는 아이클라이네와 디베르멘토 3악장이다. 음악회는 지역 문화소외계층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무료 공연으로 열린다. 군포시민은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으며, 플루트와 오케스트라의 조화로운 협연을 통해 다채로운 음악적 매력을 경험할 수 있다. 한편 군포문화재단은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모두음악회’ 이 외에도 2024 생활문화공동체 지원사업 중 하나로 참여하는 총 11개 단체의 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원하며 시민의 문화 향유 증진과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최승애 작가] 직접 창안한 풀점묘법이라는 독특한 기법으로 청록산수의 아름다운 매력을 알리는 한국화가 최승애 작가는 2024년 8월 7일(수) ~ 8월 19일(월)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內 2층 충북갤러리에서 "몽유도원도 500년, 그 이후"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포스터] 이번에 최초 공개되는 2000호 크기의 통 캔버스 작품은 규모면에서 엄청난 크기로 놀라움을 자아내게 하고, 안평대군이 안견 화백에게 꿈 이야기를 하고 그림을 그리게 하여 제작된 몽유도원도를 작가의 풀점묘법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에서 풍기는 강력한 판타지(fantasy)가 대단하다. [몽유도원도 21세기 여명1] 풀점묘법은 가늘고 작은 나뭇잎이나 풀잎의 모양을 마치 점을 찍듯 조합하여 이미지를 만들며 전체적인 분위기를 잡는 화법으로 청록산수화를 제작하여 독창적이다. 청록산수는 고구려시대에 발현하여 고려시대에 활성화되었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직접 한국의 산하를 체험하고 느낀 감정을 작품에 이입하여 몽환적인 분위기와 실경을 마주하는 듯한 묘한 감정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몽유도원도 21세기 여명2] 최초 전시되는 2000호 크기의 "몽유도원도 21세기 - 청산 춤을 추다" 작품은 작가가 마치 안평대군에게 하명이라도 받은 듯 그림에 열정이 가득하며 청색, 녹색, 노란색, 보라색의 색상들로 채워진 풀점들의 향연이 파도치듯 물결을 이룬다. 판타지 영화 속의 한 장면처럼 신비스런 청록산수의 색감에 황홀해지고, 꿈에서나 만날 것 같은 관념산수의 매력도 극대화 했다. [몽유도원도 21세기 여명3] 산과 바다가 아름다운 남해의 거제도 출신인 작가는 유년시절 좋았던 자연속의 기억이 작품을 창작하는 중요한 감성으로 다가왔다. 언덕을 타고 들어오는 바다 바람의 시원함과 향기는 뇌리에 오래도록 남았고, 정신이 몽롱할 정도로 매일 다르게 밝아오는 여명의 물빛에 감동을 받았다. [최승애 작가 _몽유도원도 500년, 그 이후_ 개인전1] 자연에서 받은 영감과 느낌이 풀점묘법 청록산수의 작품으로 탄생하였고, 그림에는 유년시절 꿈꾸던 희망과 예술로 풀어낸 우리의 산하가 그대로 녹여져 있다. [최승애 작가 _몽유도원도 500년, 그 이후_ 개인전2] "몽유도원도 500년, 그 이후" 개인전을 실시 중인 최승애 작가는 "화가로서 큰 작품을 하고 싶은 의지가 지금의 2000호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고, 규모가 큰 만큼 감동을 받을 수 있는 크기도 엄청나다. 우리 전통 미술의 한 장르인 청록산수 작가로서 많은 관람객들에게 우수함을 알려 한국화로 힐링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가는 서라벌예술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수료 출신으로 제34회 대한민국미술대전 한국화비구상부문 대상을 수상한 청록산수화의 중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지난 6일 용인시청 문화예술원 대전시실에서 개막한 제8회 용인여성작가회전 전시 전경.] 용인 문화예술 대표 교류의 장인 용인여성작가회전이 지난 6일 개막해 오는 18일까지 계속되고 있다. 용인시청 문화예술원 대전시실에서 진행 중인 이번 전시는 75명의 작가들이 제각기 다른 시선으로 풀어낸 유화, 판화, 수채화, 공예 등 다채로운 장르의 예술을 만끽하는 자리로 기획됐다. 용인시와 용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열렸다. [지난 6일 용인시청 문화예술원 대전시실에서 개막한 제8회 용인여성작가회전 전시 전경] 지난 7일 오후 5시에는 개막 행사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이창식 용인시의회 부의장, 노승식 용인예총 회장, 김옥기 용인여성작가회 회장 등을 비롯한 용인 미술계 작가, 용인문화재단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들은 그간 이어왔던 꾸준한 작품 활동을 선보이는 데 중점을 뒀다. 추상과 구상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관심사와 영역을 엿볼 수 있는이번 전시에선 회화뿐 아니라 전통예복을 활용한 인형, 고증과 연구에 따라 재현한 전통 복식, 금속 재료 등을 배합한 오브제 등도 만나볼 수 있다. 김옥기 용인여성작가회 회장은 “제8회를 맞게 되는 이번 정기전은 좋지 않은 경기 여파 속에서도 묵묵히 창작을 이어가는 용인에 몸담은 여성 작가들의 잔칫날”이라며 “이번 전시가 회원 작가들과 함께 하는 소통의 장이자 미술계 현실과 앞날에 대한 이해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바이올리니스트 한수연1 포스터] 호소력 있는 소리와 세련된 해석의 연주로 호평받는 한수연 바이올리니스트는 오는 2024년 8월 13일(화) 19:30 서울 PRUGIO Art Hall에서 'Violin RecitalI'을 진행한다. 국내 유명 콩쿠르에서 상위 입상을 하였고, 다양한 연주 경험으로 전문 연주자로 활동하며 클래식 음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바이올린 독주회를 통해 맑고 선명한 음색의 매력을 전달하고 음정과 박자 이외의 예술적 가치를 청중들과 나누고자 한다.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연1] 이번 공연에 연주되는 Ludwig van Beethoven(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8 in G Major, Op. 30"으로 곡을 작곡할 당시 청력 소실을 겪고 있던 베토벤의 삶을 반추해 보며 가시밭길 같은 정신적 고통을 작품의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기까지그의 마음속 지난한 투쟁을 이해하는 순간을 만나게 할 예정이다.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연2] 프랑스 작곡가 Camille Saint-Saens(카미유 생상스)의 "Introduction and Rondo Capriccioso, Op. 28" 곡은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는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중심 주제가 변덕스럽게(capricious) 돌고 도는 곡(rondo)을 의미한다. 이 곡은 심플한 악보로 이루어져 있어 더하는 것보다 빼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깨닫게 한다. 단순한 선율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보다 오히려 무심한 듯한 다정함으로 연주에 임해야 매력적인 곡이다.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연3] 루마니아의 위대한 작곡가 George Enescu(조르주 에네스코)의 "Impressions D'enfance for Violin and Piano, Op. 28: Menetrier" 곡은 악풍과 화성이 매우 독특한 민속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며, 마치 우리나라의 타령처럼 구전으로 내려오는 민속 멜로디에 화성을 입힌 것 같은 느낌의 음악이다. 이 곡은 ‘어린 시절의 인상’ 이라는 실내악곡 중 1악장으로 민속풍의 바이올린 연주자를 그린 악장이다.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연4] 또한 Maurice Ravel(모리스 라벨)의 "Tzigane", Edvard Grieg(에드바르드 그리그)의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3 in e minor, Op. 45까지 다채로운 바이올린 독주로 한여름 밤의 아름다운 음악여행이 펼쳐진다. 협연으로 예원학교 수석입학 후 유학길에 올라 예일대 음대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하고 하노버 국립음대 Arie Vardi 교수에게 사사받은 박로한 피아니스트가 함께 한다. 공연을 실시하는 한수연 바이올리니스트는 "악보에 쓰여 있는 것 보다 더욱 본질적인 것은 악보 너머에 있다는 신념으로 연습은 물론 연주를 하는 순간에도 진심을 담아 청중들과 음악적 교류와 소통으로 공감 받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수연 바이올리니스트 선화예중·고를 거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 우수한 성적으로 실기우수 장학금을 수여 받았고 수석으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마쳤다. 이후 도미하여 예일대학교에서 전액장학생으로 석사학위(M.M.A)를 취득한 촉망받는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본 공연은 인터파크 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한국미술교육연구회(회장 안정희, 이하 한미연)는 전국 중등 미술교원을 대상으로 자연미술체험 「환경을 보다, ‘미래교육과 자연미술’」연수를 8월 7일(수)에 연미산자연미술공원에서 실시했다. 이번 연수에는 ‘자연미술이 뭐지’ 저자 이성원 수석교사와 고승현 자연미술가, 김가빈, 김대성 도슨트 등의 특별강사와 함께 자연미술과 미술교육, 자연미술 작품 제작, 도슨트와 함께하는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작품 감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한국미술교육연구회(KATRA) 전국 중등 미술교원 자연미술체험연수 1] 년 동안 국내 최초로 자연미술 수업을 실시해 온 자연미술 교사 이성원 수석교사는 ‘관계없는 것을 연결하는 능력’이라 일컬어지는 창의성을 기르는 데 매우 효과적인 자연미술의 세계로 안내했으며, 40년 이상 자연미술 작품을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해 온 자연미술가 고승현 작가와 함께 교사들이 직접 제작한 자연미술 작품을 함께 살펴보고 미술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해 같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 연미산 자연공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작품을 현지 도슨트와 함께 직접 관람하고 ‘숲속의 은신처’라는 주제로 제작된 세계 자연미술가들의 셀터 프로젝트 작품을 만날 수 있었다. [한국미술교육연구회(KATRA) 전국 중등 미술교원 자연미술체험연수 2]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공동체 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구 공동체 문제 중 하나인 환경의 중요성에 집중하여, 자연을 새롭게 인식하고 자연이 미술 표현 대상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자연 자체가 미술 안에서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체험형 자연미술 연수를 통해 미술 교사들이 직접 경험하고 체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한미연은 매년 전국의 중등 미술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연수를 꾸준히 진행해 왔으며 이번 연수를 통해 미술 교원의 문화적 소양 능력과 교육 역량 강화 및 창의적 수업 모델 구안 등 미술 교원의 전문 역량을 신장시키고 예술교육 활성화에 일조하였다. □ 안정희 한미연 회장은 “세계 곳곳이 예측 불가능한 이상기온으로 인간 삶이 위협받고 있는 요즘,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가 상호의존성, 순환성, 협력, 다양성을 내포하는 생태학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라고 밝히고, “미래교육을 담당할 미술교사들이 자연미술 체험 연수를 통해 인간 본연의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고, 자연과 인간을 전지구적 생명체로의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 수업안 마련의 토대를 구축하였다.”고 말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한국도자재단이 7일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개막 30일을 앞두고 국제공모전 최종 수상작 57점을 발표했다.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은 전 세계 작가들의 주요 작품 발표 및 공개경쟁의 장으로 도자예술의 미래를 제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시 교류 무대다. 올해는 73개국에서 1,097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사진자료1)+2024경기도자비엔날레_국제공모전_대상_매트+베델(Matt+Wedel)_결실結實의+풍경(Fruit+Landscape) (1) 재단은 여선구(미국) 조지아 미술대학 도예과 교수, 류핀창(중국) 경덕진도자비엔날레 총감독, 닐 브라운스워드(영국) 스텐포드셔 대학교수 등 총 10명의 심사위원을 구성하고, 1차 온라인 심사와 2차 실물 심사를 거쳐 GCB대상 1점, GCB우수상 8점, GCB전통상 1점, GCB특별상 4점 등 주요 수상작 14점을 포함한 총 57점의 수상작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국제공모전에서 1,50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GCB대상을 차지한 작품은 미국작가 매트 베델(Matt Wedel)의 ‘결실(結實)의 풍경(Fruit Landscape)’이 선정됐다. (사진자료4)+2024경기도자비엔날레_국제공모전_특별상_박소은_安+가시방석(Comfy+thorn+seat) 심사위원들은 “도자예술의 트렌드를 이끌만한 작품들과 도예작업에 대한 강한 몰입이 도드라지는 작품들에 주목했다”라며 “특히 대상 수상작은 흙과 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이로운 표현과 높은 수준의 기술적 독창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GCB우수상에는 ▲김아영(한국) ‘조룡 복원도(Restoration of Joryong)’ ▲박종진(한국) ‘예술적 지층_역설적인 것들(Artistic Stratum_Paradoxical Things)’ ▲김현영(한국) ‘의지라는 게 존재한다면(If there is such a thing as will)’ ▲임지현(한국) ‘Flickering Object’ ▲모현서(한국) ‘블라인드(Blind)’ ▲자오징 왕(중국) ‘가시적인2(Visible2)’ ▲브루스 테일러(캐나다) ‘비밥(Bebop)’ ▲키미에 이노(브라질) ‘코케다마(Kokedamas)’가 선정됐다 (사진자료2)+2024경기도자비엔날레_국제공모전_우수상_김아영_조룡+복원도(Restoration+of+Joryong) 이어 올해 새롭게 신설된 GCB전통상에는 한국작가 이종민의 ‘생사고락生死苦樂(Life and Death Pain and Pleasure)’이 선정됐으며, GCB특별상에는 ▲최나운(한국) ‘충돌(Bump)’ ▲박소은(한국) ‘安 가시방석(Comfy thorn seat)’ ▲디타 코시오(칠레) ‘오브제(Object)’ ▲캐서린 바체스키(미국) ‘전이공간(Liminal Space)’이 이름을 올렸다. 시상식은 오는 9월 5일 여주도자세상에서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개막식과 함께 진행되며, 수상작들은 비엔날레 기간 여주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에서 전시된다.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관련 자세한 내용은 한국도자재단 누리집(www.kocef.org) 또는 경기도자비엔날레 누리집(www.gmocca.org/gcb202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문환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국제공모전에 참여해 주신 전 세계 모든 도예가 분과 심사위원 분께 감사드린다”라며 “현대의 도자예술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자리를 준비하고 있으니 도민 여러분의 많은 기대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2024경기도자비엔날레’는 9월 6일부터 10월 20일까지 45일간 이천, 여주, 광주를 중심으로 경기도 곳곳에서 개최된다. 입장권 사전 예매는 오는 9월 5일까지 네이버 예약, 티켓링크 등 온라인에서 가능하며 4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by 최홍석 경기도 총괄본부장'원마운트 스노우파크'는 한여름에도 크리스마스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Summer Christmas 시즌'을 오는 9월 8일까지 개최하여 시민들의 즐거운 여가 문화를 보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1] '원마운트 스노우파크'는 1년 365일 산타가 머무는 북유럽 산타빌리지 콘셉트의 테마파크 콘셉트로 이곳에서는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환상적인 공간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쾌감을 느끼거나, 자전거처럼 움직이는 이색 썰매를 즐기며 신나는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매일같이 하얀 눈이 흩날리는 가운데 오색 조명이 반짝이는 얼음 위를 누비며 여름에도 겨울의 분위기를 온몸으로 느끼며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2] 원마운트의 1층에서는 얼음으로 덮인 아이스링크장에서 스케이트와 썰매를 즐길 수 있으며, 미니썰매와 회전목마도 운영되어 가족 단위 관람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제공한다. 2층은 방탈출 게임, 오락실, MD샵과 함께 산타마을로 꾸며져 크리스마스의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한다. 3층에는 에어바운스, 젤리샵, 카페, 컬러링존과 '어린 왕자' 상영관이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3] 또한 자전거처럼 움직이는 이색 썰매와 함께 다양한 게임과 이벤트가 펼쳐지며, 300m 길이의‘아이스로드’는 스노우파크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환상의 테마동굴 속을 달리는 활주로로 다양한 썰매 기구들이 운영되고 있다. 스노우파크의 2층에는 산타가 살고 있는 ‘트리하우스’가 나무 길을 따라 꾸며져 있어 산타마을에 온 듯한 특별한 분위기로 조성되었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4] 감동적인 스노우쇼와 오로라쇼도 관람객들을 기다린다. 스노우쇼는 매일 11시, 13시, 15시에 진행되며, 눈 내리는 겨울 풍경과 크리스마스 캐롤이 어우러진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6] 이 쇼는 관객들에게 겨울의 로맨스를 생생하게 전달하며, 환상적인 눈의 세계로 초대한다. 오로라쇼는 오후 4시에 열리며, 찬란한 오로라의 색상이 하늘을 가득 메우는 장면을 경험할 수 있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7] 시각적 효과와 감성적인 음악이 어우러져 북극의 오로라 속으로 들어온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미니썰매는 11시, 14시 30분, 17시에 운영되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여름의 크리스마스를 잊지 못할 추억으로 만들어줄 예정이다. 원마운트 스노우파크8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왼쪽부터 임미자 작가, 일본 국제예제교류협회 이시다조 총재] 매일 축제처럼 즐겁고 행복한 일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그림을 그린다. 장지에 방해말(방해석 가루), 석채, 분채를 활용하여 채색 작업이 이루어져 한국화의 재료적 특성을 살렸으며, 이미지로 등장하는 나비, 부엉이, 조각배는 우리 전통 민화에 등장하는 해학적 분위기를 접목하여 그림이 재미있고 밝다. [포스터] 나비의 자유로운 비행으로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주체적 삶을 이야기하고, 부엉이의 등장은 가족의 소중함으로 연결하여 그림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따뜻함으로 충만하다. 작품으로 사랑과 행복 메시지를 관람객과 나누는 한국화가 임미자 작가는 2024년 7월 28일(일) ~ 8월 11일(일)까지 일본 교토부립미술관에서 'festivals' 작품으로 "한,일거장 교류전"에 참여 중에 있다. [festivals - 1] "한,일거장 교류전"은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국제교류위원회와 일본 교토예제교류협회가 공동주최하는 전시 행사로 내년(2025년) 한일수교 60주년을 맞이하는 그 전초전 성격으로 미술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festivals - 2] 한국에서는 김일해 작가, 김영삼 작가, 최은철 작가, 혜화 이순자 선생, 임미자 교수, 임정수 교수 참여하였고, 일본측에서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있는 마츠타니 타케사다(松谷武判), 나카무라 코헤이(中村孝平), 나카무라 미치오(中村美知生)、혼조 켄세키(本城?石)、소우 유미코(宗由美子)등의 작가가 참가하여 명실공히 "한,일 거장교류전"이 되었다. [festivals - 3] 전시 중인 'festivals' 작품은 노란 해바라기 바탕 위에 그린 나비 무리의 형상, 초록의 자연 위에서 단란함을 보이는 부엉이 가족, 분홍빛 꽃잎 위를 나는 느낌의 나비 등의 그림은 힘들고 지친 현대인들에게 힐링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festivals - 4] 그림에서 순간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화사함이 일상에서 부딪치는 어려움과 시련을 말끔히 걷어낸다. 작가는 어렵지 않게 시각적 효과를 최대한 자극하기 위해 바탕색을 화사하게 하고, 보여 지는 이미지들조차 긍정의 아이콘으로 모두 새겨 넣었다. [festivals - 4] 현재 서울 인사동 갤러리쌈지안에서도 7월 31일(수) ~ 8월 13일(화)까지 초대 개인전을 실시하여 작품 속 행복 매개체를 감상자들과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다. [festivals - 5] 화면에서 밝은 빛이 솟아나듯 작품마다 청량감과 온화함이 조화로운 그림으로 전시를 진행 중인 임미자 작가는 "작품 속 나비는 시간과 공간에 제한 없이 쉬지 않고 사랑과 자유의 날갯짓을 하는 희망적 요소로 삼았으며, 사람들의 인생에도 자신만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대상을 찾아 평화롭기를 바라는 마음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고 말했다. [festivals - 6]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 출신으로 개인전 30회, 국내외 단체전 및 아트페어 550여회 실시한 중견 작가로 대한민국 미술인상(미술문화상), 한국을 빛낸 글로벌 100인 대상, 제5회 대한민국 창조문화 예술단체 대상 등을 수상 하였다. 현재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사)한국미술협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한국미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