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2025 월드오케스트라페스티벌

오사카 더 심포니홀 슈퍼 브라스 (대구광역시 제공) [금요저널] 2025 월드오케스트라페스티벌 ‘더 심포니홀 슈퍼 브라스 WITH 오사카 시온 윈드 오케스트라’가 2025년 11월 8일 (토) 오후 5시PM에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열립니다.출연진은 지휘자 히로요시 키타, 더 심포니홀 슈퍼 브라스 WITH 오사카 시온 윈드 오케스트라이다.티켓 가격은 R석 2만원, S석 1만원이며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한다.프로그램은 Leonard Bernstein - Overture to Candide (번스타인 - 캔디드 서곡), Yuzo Toyama - L'Arlésienne Suite No.2: Farandole (유조 토야마 - 아를르의 여인 2번 모음곡: 파랑돌), Hiroshi Hoshina - Fu-Mon (히로시 호시나 - 후-몬 (風紋)), Korean Folk Song & Kosaku Yamada - Arirang and Akatonbo (한국민요 - 아리랑 & 코사쿠 야마다 - 아카톤보), Alexander Borodin - Prince Igor: Polovtsian Dances (보로딘 - 이포 왕자: 폴로브츠인의 춤) 등으로 구성된다.Intermission 후에는 Shiro Sagisu - E01 (from Neon Genesis EVANGELION) (사기스 시로 - E01 (신세기 에반게리온)), H. Sato - A Cruel Angel’s Thesis (사토 히데토시 - 잔혹한 천사의 테제 (신세기 에반게리온)), H. Miura - ‘Demon Slayer’ Medley (미우라 - ‘귀멸의 칼날’메들리), Ayase - Idol (아야세 - 아이돌), Joe Hisaishi - Laputa : Castle in the Sky (히사이시 조 - 천공의 성 라퓨타), Yumi Kimura & Joe Hisaishi - Spirited Away (기무라 유미 & 히사이시 조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이 연주될 예정이다.본 공연의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따라 사전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제5차 첨복단지 종합계획 수립 대구첨복단지,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도약 시동

제5차 첨복단지 종합계획 수립 대구첨복단지,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도약 시동 [금요저널] 대구광역시는 보건복지부가 10월 22일 확정·발표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에 ‘BIT융합허브 조성’ 등 대구시 핵심 추진 사업과 미래 발전 비전이 대폭 반영됐다고 밝혔다. 첨복단지 종합계획은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2009년 지정·고시된 첨복단지 육성을 통해 의료 연구개발 활성화 및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5차 종합계획은 산업계·학계·연구계·의료계 전문가 및 관련 부처, 지방자치단체의 심도 있는 논의와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이번 계획은 ‘혁신과 연계로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을 비전으로 △산업생태계 강화를 위한 혁신 지원 △공공적 역할 중심의 기반 R&D 강화 △첨단의료복합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 기반 안정화 등 5대 전략과 13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대구시는 그동안 대구첨복단지 발전을 위해 △BIT융합허브·BIT융합캠퍼스 조성 △초광역 뇌건강 K-AX CARE 벨트 구축 △의료기술시험연수원 등 전문인력 양성 △KOADMEX 개최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 창업기업 인큐베이팅 사업 등을 종합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이번 종합계획 반영으로 대구첨복단지를 산·학·연·병이 집적된 자생적 선순환 혁신생태계로 조성하고 정부의 지역공약 과제인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구시는 2026년까지 제약 스마트팩토리,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 등 신규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이를 활용한 인력 양성, 창업, 연구개발, 사업화 등 성장 단계별 전주기 지원체계를 완비해 의료기업 성장을 촉진할 계획이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제5차 종합계획을 통해 대구첨복단지가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앞으로 관계 부처 및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등과 협력해 반영 사업의 추진을 위한 후속 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대구시, 대학과 함께하는 평생교육 강좌로 ‘제2의 인생’ 설계 지원

대구시, 대학과 함께하는 평생교육 강좌로 ‘제2의 인생’ 설계 지원 [금요저널] 대구광역시는 지역의 7개 대학과 함께하는 ‘2025 대학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강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역대학의 우수한 교육인프라를 활용해 중·장년층의 직업능력 향상과 취·창업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지난 4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대구과학대학교 등 7개 대학은 5월부터 10월까지 각 대학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대구시는 저출산, 고령화, 지식사회 도래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9년부터 지역대학과 협력해 직·창업 친화형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올해는 △생성형 AI 활용 능력 △시니어 조형지도사 양성 △통합동행매니저&생활지도사 양성 △우드볼 지도자 자격 취득 △생성형 AI 숏폼 콘텐츠 활용 취·창업 △실용 목공 전문가 양성 △방문간호+재활운동 전문인력 양성 등 7개 강좌가 진행됐으며 총 151명이 수료했다. 영남대학교에서 진행한 ‘생성형 AI 숏폼 콘텐츠 활용 취·창업 과정’을 수강한 A 씨는 “이번 강좌에서 배운 AI 작곡 기능을 활용해 직접 작사한 곡을 완성하고 이를 매주 참여 중인 독도수호 캠페인에서 사용했다”며 “배운 기술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에 활용돼 큰 보람을 느낀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은아 대구광역시 대학정책국장은 “대학의 우수한 교육 역량을 통해 중·장년층이 AI, 디지털 기술 등 시대적 흐름에 맞춰 직업능력을 키우고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역 대학을 평생교육기관으로 적극 활용해 시민들의 역량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대구의료원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개소식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전경 사진 (대구광역시 제공) [금요저널] 대구의료원은 지역 최초로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을 운영해 장애인의 건강검진 권리를 보장하고 누구나 차별 없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2025년 10월 1일 대구의료원 서관 건강증진센터에서 개소하며 2023년 7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준비 기간을 거쳐 총 180,261천원의 사업비(국비 83,750 / 시비 83,750 / 자부담 12,761)를 투입했다.주요 내용으로는 외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층별 핸드레일 실별 명 점자 표기, 장애인 및 일반 화장실, 장애인 탈의실 등이 있다.또한 휠체어 체중계 등 필수장비 9종 14대와 X-ray 등 검진 관련 촬영장비 4종 5대를 갖췄습니다.기존 인력 업무분장을 통한 상시 보조인력 배치와 수어통역 업무를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개소식은 2025년 10월 28일(화) 11:00 대구의료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대구광역시 보건복지국장, 건강증진과 관계자, 대구광역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 및 위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장애인, 수어통역 관련 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을 보장하고 지역 특화 보건의료사업으로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