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 시인] 인간에겐 저마다의 표정이 있고 변증법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대화술, 문단법” 등 “플라톤은 진리를 탐구하기 위한 사유 방법”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이렇듯이 인간은 삶의 모습을 나타내며 개성과 삶의 압축된 모습을 보여주는 방법일 수도 있다. 시 또한 그런 도정(道程)을 문자로 표현하는 자기화의 방법에서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는 결과물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시는 인생을 압축하면서 해설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단면으로써 생(生)에 모두를 보여주는 압축성- 인간이 삶에 모습을 모두 보여주는 방법은 쉽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시의 재능이 있어야 하며 분출하는 욕구와 주관이 있어야만 가능한 부분이라 할 것이다. 들풀이나 꽃에서 허무 또는 기쁨을 발견할 수도 있고, 길가에 뒹구는 돌에도 굳은 신념과 의지를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가 철학이 아니라는 점에서 설명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느낌으로 전달하는 특징 이기 때문에 시적 장치를 만들고 신명을 다하여 여백을 주면서 의미의 다양성 창작의 결실을 만들어 내야 하는 책임감이 있어야 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때 시에 위의(威儀)는 비유나 상징 또는 역설 등의 적절성에서 삶의 모습을 독자가 느낄 수 있을 때 감동의 허니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시적 감동은 목적이자 결과이기에 1. 생의 체험에서 독자에게 추체험의 길을 제시하고 2. 시적인 압축성에서 산문과는 다른 의미의 다양성-Ambigeyty에서 시의 특성이 나올 수 있다면, 시는 과학이 아니고 다만 시적인 여백을 가질 때 비로소 시만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시는 시라야 한다. 그렇다면 시는 정작 무엇일까?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길을 만드는 것이 시일 뿐- 시는 정답을 갖지 않은 표정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삶의 모든 요소가 녹아들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논리 이전의 논리가 정치(情致)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시는 과학 이전에 과학 현상이지만 시는 의식과 무의식의 공간을 아우르는 삼라만상의 오묘한 우주의 하나하나를 포괄하기 때문이다. 시인이 누리는 영예는 이러한 시를 쓸 때 비로소 지고(至高)한 자리를 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는 다양하고 감각적인 표현 에스프리를 접하는 일인 듯하다. 시는 사물을 바라보는 감수성을 어떻게 포장할 수 있는가에 따라 시인의 개성은 나타나기 때문이다. 찌릿 전기 통하는 연시 나무 하늘 높이 매단 전구에 불이 들어온다. 긴 줄도 없는데..... 훤하게 비춘다. 너무 높아 끌 수가 없어 밤낮 자유로이 놓아두니 새 떼들이 하냥 놀다 간다. <연시 나무> 중 시는 응축(凝縮)에서 탄력이 생기고 그 탄력은 생동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상력의 지평은 의미의 확장을 가져오면서 시의 맛을 높은 경지로 이끌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지각의 자동화 현상이 아니라 사물을 낯설게 표현하는 기교이기 때문에 시의 위의(威儀)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나무}에서 대지의 젖줄에 입을 대고 “찌릿 전기 통하는 연시 나무” 비유의 시어가 나오는 것은 사물을 변용하여 상상의 지평을 넓히는 시적 장치를 가지고 감각적인 신선미를 자극한다면 “연시 나무”는 매우 신선한 듯하다. 60자 조금 넘게 불과한 어의 구조에서 붉은 연시의 전기가 통해서 불이 켜지는 “훤하게 비춘다.”에 생각과 훤한 불빛 아래 “새 떼들이 놀다 간다.”에 의미에서 시인의 정신 구조를 파악할 수가 있다. {2. 시 의식의 파노라마} 새 1) 비움과 채움의 허무 자기를 비웠기 때문에 기다리고, 비움에서 미래는 숨을 쉬게 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한계를 알고 난 후에 허무라는 의복에 대한 진리를 깨닫게 되었다. 는 예수의 허무나 공자의 천상(川上)과 탄식은 본질에 눈을 돌리면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불가(佛家)에서는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의 지혜- 마하반야바라밀다–진리의 이름 앞에서는 비움과 채움이나 없음이나 있음 등 현대 물리학의 문제가 쉽게 풀리는 것이다. 물론 지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감득하게 함으로써 감동과 순수 그 자체라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챙기지 마라 원래 내 것이었던 것 하나도 없다. 가져가게 두어라. 집어갈 것 있으면 잘 산 것이고 줄 수 있을 때가 행복한 법인 것을 버릴 것 있으면 버려라 덜 버린 것 찾아 새 떼들 날아들면 그것도 행복인 것을 버린 것 그리워하지 말고 빈 마음이라 채워라 <빈 들녘> 중 비워있음이나 채워있음은 다만 그대로의 현상일 뿐이다. 교실은 비워있기 때문에 채움이 있고 수레는 비웠음의 바퀴 때문에 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고 노자는 말한다. “빈 들녘”이 허무라면 채움이 지난 뒤에 나오는 의미일 것이지만, 큰 개념에서는 결국 의미와 무의미가 교차하는 우주의 본질일 뿐이다. 이 교차의 왕래에서 인간은 다만 오고 가는 길을 바라보는 혹은 추체험으로 지나가는 존재- 이런 명상적인 현상을 느끼는 인간의 모습이 아름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내 것이 없음”에서 내 것을 주장하는 것은 허무한 일이고 이기(利己)의 처연(凄然)함이라면 시인은 줄 수 있을 때, 주는 것은 행복의 정점이 될 수 있음을 체득하고 있다. 이는 삶의 달관자에 의해 발성할 수 있는 음성이다. 결국 버린것은 채우는 일이고 채우는 것을 줄 수 있을 때의 행복- 시혜(施惠)의 즐거움을 얻는 길을 주장을 하는 것이다. 비움의 가벼움이 아니라 오히려 채움이 되는 동기부여가 되는 것이 아닐까? 다 벗어 버리고 다 털어냈다 남은 볏짚으로 부끄러운 데 대충 가리고 그냥 아무 감정 없는 척 살 생각이다. -중략- <겨울 논> 중 발가벗음은 우주 삼라만상의 본질이다. 그러나 가리고 위장함으로써 단순성이 복잡으로 변했고 과학이라는 이름에서 처절한 자기 위장에 슬픔을 쌓게 되었다면 “다 벗어 버리고 다 털어냈다.” 의 가벼움은 자기와 만나는 진솔함이고 이런 진실에 다가가면 감동이 일렁이게 된다. 순수란 시의 본질이고 시가 순수의 이름일 때 감동의 누선(淚腺)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어른들이 색깔이 좋다. 혹은 무늬가 좋구나 하고 찬탄으로 위장할 때 “임금님이 벌거벗었네”의 우화는 그대로 아이의 마음이 바로 어린애의 눈과 마음을 가질 때 비로소 시인이 되는 것= 이러한 마음에는 순수의 강물이 흐르고 있음에서 “아무 감정 없는 척”- 무념무상의 모습으로 가고 싶은 생각이다. 물론 “없는 척”이 다소 걸리는 표현이지만 말이다. 2) 사는 법 길 찾기 살아있는 자는 길을 가는 방법이 선택되기 때문에 어떻게 목적지에 이를 것인가의, 대한 자기만의 방법이 적용되면서 삶의 도정을 이어가게 된다. 어떤 사람은 명료하게 혹은 애매하게 등등 선택의 여지는 개성과 환경이 복합되어 한 사람 삶의 모습이 투영된다. 시는 시인에 정서 고백을 하고 내포하는 그 방법은 시적 장치에 의해 위장하는 절차로 나타나기에 그 껍질을 벗기면 시인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말이다. 이파리는 가시를 만들고 가슴 적셔 줄 물이 없어 차라리 몸이 타들어 가도 약한 모습 보이지 않으려고 강한 척 내심 그리운 것 많아 아닌 척 자존감 그 힘으로 산다. 선인장처럼 산다. 바보처럼 말이야. <가시 선인장> 중 가시 선인장에 접근의 용이성이 아닌 이유는 “가시”를 내보이는 것과 “물”이 없지만, 갈증의 내색을 보이지 않고 강한 척하는 몸짓의 슬픔과 그리운 갈망이 많지만 그런 모습이 혹여 “자존감”을 상실한 모습으로 투영될까 조바심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가시 선인장처럼 산다.”는 평가를 “바보처럼 말이야.”와 등가를 이루는 대입은 스스로 불러들인 광장의 고독 같은 인상이다. “강한 척”의 행위는 자기변호의 논리를 갖추어야 하는 부담이 따라나서는 서글픔이 본질이기 때문이다. {3) 사랑이란 그 미지수} 사랑이라는 말에는 이성간 관계를 넘어 헌신의 아가페적인 넓이로 나아가야 하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종교는 사랑을 말하고 시는 순수의 진리를 말하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M.A moid는 말했다. 인간은 죽는다는 필연의 법칙을 지혜로 터득했기 때문에 죽음 앞에 더 넓은 사랑의 이상을 설정하고 고지를 향해 자기를 희생하는 헌신은 인간이 지고함에 이르고자 하는 사랑의 목표일 것이다. 이성 간의 사랑이나 종교적인 사랑이나 사랑은 단순하다. 진리는 복잡을 단순으로 처리하는 데서 나오는 이름이라면 사랑도 그 자체의 단순함에 벗어나서는 아니 되기에 꾸밈은 이미 순수를 일탈한 사고이기 때문이다. 돌이키기 어려울 때 사랑이 다시 든 후에 그 때 알면 안 되리라 세상일 힘들어 깊은 통증을 느끼기 전에 사랑이 모자라 슬픈 운명 되기 전에 힘껏 힘껏 사랑해야 하리라 가슴 밑바닥에 남모르게 숨긴 가는 인연의 끈 그마저 사라지기 전에 제대로 사랑해야 하리라 사랑 그 질긴 운명을 위하여 <질긴 사랑> 중 사랑은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우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비우면 비울수록 충만으로 가득해지는 이치에서 진실한 사랑은 문패를 달게 되는 것이다. 이기와 질투 혹은 자기 것을 고집하는 허위 앞에서 사랑은 이미 이름을 버리고 달아나기 때문에 인연의 소중함을 헌신의 의미를 내면으로 알게 된다. 더구나 인연이라는 줄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사랑의 헌신이 주는 행복을 아는 일이 보다 고귀한 행위의 뜻일 것이다. 사랑은 이심전심- 동양에서는 원래 말이 아니고 마음의 전달이라면 서양은 사랑을 날마다 혹은 순간마다 확인하고 증명하는 점에서 신체 접촉이나 사랑한다는 말로 끓임 없이 증명하는 방법이고, 동양은 증명이 아니고 다만 눈으로 마음으로 이심전심이 통하는 일종의 자기 암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알고 가는 의미일 것이다. 아무 말 하지 않아도 알고 무슨 말을 해도 이해가 되고 맘속의 말도 다 들을 수 있는 것 가진 것 다 주다 못해 마음속까지 주고도 아깝지 않고 받을 계산도 하지도 않고 줄 것이 더 없는 것만 아쉬운 것 그런 것이 사랑이지 <사랑> 중 스탕달의 {연에론]에 생리적인 연애가 서구적인 방법이라면 동양은 플라토닉 러브에 가까운 거리에서 사랑이 잉태되는 것이다. 왜 그런가 하니 서양은 접촉에서 시작하고 동양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은근미를 우선하기 때문이다. 이는 관념의 차이요. 생활의 축척된 방법에서 오는 것이지 어느 것이 우선한다는 발상은 무의미하다. 왜 그런가 하면 사랑은 오랜 관습과 시간이 경과 이후에 붙여진 이름이기 때문이다. 사랑은 아가페적인 헌신에서 참된 사랑이 탄생 되는 것이고 “가진 것 다 주고 주다 못해” 더 줄 것이 없어 애타는 마음은 순수요. 깨끗함이고 질박함이다. 사랑은 지위나 명예 혹은 자랑이 아닌 다만 주는 것으로 행복을 느끼는 자발성의 이름이기에 참된 사랑은 마음속에서 끝없이 나오는 투명한 애너지의 이름이다. 시는 사랑의 이름에 가장 헌신적이고 열정을 투척하고 있음은 일상에서 그런 체험의 가치를 아는 데서 나온 모습으로 보이는 느낌이 필자만이 그럴 것인지는 글쎄올시다. 이다 [3. 에필로그<나가면서>] 시는 인간의 상상력이 변용을 거칠 때, 화려한 변신을 맞게 된다. “나를 낳으신 여자”가 어머니라는 정의나, 수소와 산소의 화학적인 결합물인 액체를 물이라고 설명하는 사전적 의미에는 삭막한 느낌이지만 그러나 시적인 어머니나 물에서는 기쁨과 자애를 느끼는 것이 시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시는 삶의 윤활유요, 생의 의미를 화려하게 꾸미는 역할이 시의 효능이다. 화학적인 변화에서는 전혀 다른 현상이 도래하기 때문에 감동이 물길을 내는 이치처럼 시는 인간의 가치를 높이는 임무이며 독자를 감동케 하는 것일 것이다. 시인은 이런 임무에 헌신하는 사람인 것이며 독자는 이 같은 감동의 물길을 따라가면서 새로운 세계를 만나 더 큰 세계와 조우(遭遇)하는 것이다. 이같이 시인의 시에는 자기 표정과 허무의 의미가 자리하고 그 길을 따라가면서 순수와 투명한 손짓에 감동을 맡기면 예술혼의 행복을 맛보게 될 것이다. 비움에서 채움의 원리를 터득했고 이는 상징과 이미지의 손짓에 삽상하고 따스함을 느낄 수 있어 행복해지는 느낌이다. 삶의 문제를 천착(穿鑿)하는 시인의 노력은 항상 긴장과 신념의 불을 켜고 내일로 다리를 놓으려는 발상으로 땀을 흘리는 것이 아닐까? 이 같은 논리와 순리에 우선하면서 기다림의 눈빛은 선명한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사랑에 숙고하고 사랑에 매달리는 일상의 독자에게는 시는 헌신과 아가페적인 넓이에 자유 정신이 숨을 쉬고 있어 따스하다. 아울러 인연의 소중함을 신념으로 앞세우고 자연의 이치를 시에 수용하며 섭리를 따르는 시인의 모습에 찬사를 보내는 것은 아닐지? 이 모두를 하나로 결합하면 시는 변증법의 기법으로 안내의 길을 내는 인도자의 모습이 아름답고 고귀하다고 느끼고 답을 내면서 논지를 끝내려 한다. 2024. 12. 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시인 [이승섭 저자의 제 10집 {무의식의 평행} ] [무의기의 오로라]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웅진지식하우스 刊)] 법의학자 이호 교수가 오는 23일 그의 첫 번째 책을 출간한다. 30여년간 약 4천구의 변사 시신을 부검해 온 이 교수는 그동안 마주했던 여러 죽음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삶의 의미를 들려준다. 책의 1부 ‘죽은 자가 산 자를 가르친다’에서는 부모의 학대로 사망한 어린아이, 남편과 부부싸움 끝에 살해당한 부인, 의료 과실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여고생 등 억울한 죽음을 맞이하고도 항변할 수 없는 고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담겼다. 2부 ‘삶은 죽음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있는가’에는 죽음을 인생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일 때 비로소 우리의 삶은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메시지를 그리스 신화, 철학을 통해 깊이있게 풀어냈다. 특히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세월호 침몰 사고’ 등 대형참사를 다루며, 최대한 고인의 몸을 온전하게 유가족에게 전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법의학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3부 ‘나의 죽음, 너의 죽음, 그리고 우리의 죽음’에선 불운을 겪은 사람들에게 공감할 줄 아는 마음가짐, 같은 세상을 사는 공동체로서 연대 의식을 가질 것을 당부한다. 저자는 죽음에 대해 배우는 것은 무심코 흘려 보내는 일상이 소중한 이유를 알게 하고, 곁에 있는 사람들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게 한다고 강조한다.
[■ 너의 얼굴┃이충걸 지음. 은행나무 펴냄. 420쪽. 1만7천원] 얼굴은 단순한 신체의 일부가 아니다. 얼굴은 타인과 소통하는 매개체이며, 동시에 우리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전GQ 코리아 편집장이자 다양한 방면에서 작가로 활동하는 이충걸씨가 얼굴을 소재로 첫 장편을 펴냈다. 소설 '너의 얼굴'은 딸의 얼굴을 이식받게 되는 엄마를 다룬 이야기다. 교통사고를 당한 엄마가 비슷한 시기에 사고로 딸을 잃게 된다. 작가는 그 얼굴을 품고 다시 시작하는 새롭고 기이한 삶을 추적한다. 삶과 죽음, 젊음과 늙음, 성장과 소멸의 경계에서 작가는 사랑에 대해서, 정체성에 대해 독자에게 깊이 있는 사색을 제공한다. 기이한 부활의 혼잡함의 세계로 독자를 끌어당긴다. 작가는 깊이 있는 은유와 비유를 통해 삶의 역설을 보여준다. '너의 얼굴'은 자식을 잃은 엄마의 비통한 상처와 그 치유, 상실과 회복이 교차하는 순간을 그려내면서 인간이란 무엇인지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진다. 작가가 안내하는 은유와 비유의 문장 속에서 낯설고 생경한 풍경을 거닐게 된다. 인물의 여정을 추적하면서 독자들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 가치에 대해 성찰하는 거울을 찾게 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한경국립대학교(총장 이원희)는 4월 9일부터 5월 17일까지 “우리지역 ONE-PICK 기업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직접 안성·평택 지역의 우수한 중견·중소기업 중 산업별 우수기업을 발굴하여 경영 환경 및 채용정보 등을 분석하는 대회로, 학생들의 취업정보 분석에 큰 도움을 준다. [안성캠퍼스] □ 이번 경진대회에서는 총 23개 팀 69명의 학생들이 신청하였고 본선에 10팀이 진출하는 등 학생들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 대상을 수상한 N3S1팀은 안성에 소재한 화장품 전문기업 리더스코스메틱을 분석하며 “안성 평택 지역에 우수한 기업이 많은 걸 처음 알았는데, 앞으로 취업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 또한 대상과 최우수상 수상팀에게는 하반기 경기도 대학연합 기업분석 경진대회 참여기회도 주어진다. □ 안승홍 학생·취업처장은 “이번 대회는 관내 우수기업 정보를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여 기업 이해의 폭을 넓히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신간]{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5월 ‘가정의 달’이 어느덧 중반을 지나고 있다. 누군가에게 가족이란 피를 나눈 존재가 될 수도, 혹은 피보다 더 진한 무언가를 나눈 존재가 되기도 한다. 가깝고도 먼 존재인 가족에 대해 일년 중 가장 많이 생각하게 되는 지금, 가족에 관한 책 두 권을 소개한다. ■ 34년을 뛰어넘어 배달된 편지가 건넨 기적…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은유’에게 엄마란 존재는 태어나서부터 세상에 없던,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그래서 세상에 존재했는지조차 의심스러운 비밀에 쌓인 사람이다. 아빠의 재혼이 다가올수록 은유의 마음은 뒤숭숭하기만 하고, 이러한 은유에게 아빠는 1년 뒤 자신에게 편지를 써보라고 제안한다. 21세기 소녀 은유의 편지는 엉뚱하게도 1982년을 살아가는 또 다른 ‘은유’에게 도착한다. “우리가 편지를 주고받게 된 건 결코 우연이 아니야. 난 엄마의 비밀을 풀고, 넌 인생을 바꾸고”. 두 사람은 각자의 시간을 이용해 서로의 고민을 해결하기로 한다. 현재의 은유는 언니와 끊임없이 비교 당하는 1982년 은유에게 도움이 될 만한 미래의 일을 알리고, 과거의 은유는 2016년 현재의 은유가 평생을 궁금해 온 엄마의 존재를 대신 찾아나선다. ‘초딩’으로 시작됐던 호칭이 ‘너’, ‘언니’, ‘이모’ 등으로 바뀌는 동안 두 사람은 “넌 어때, 잘 지내?”라는 안부와 우정을 나누며 편지는 현재의 은유가 태어난 해인 2002년까지 계속된다. 2016년 은유가 1년을 살아가는 동안 1982년의 은유는 20년의 세월을 살아가고, 그 속도의 차이가 만들어낸 종착지에서 만난 두 사람 앞에는 감동스런 기적이 기다리고 있다. 제8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이기도 한 이꽃님 작가의 장편소설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는 소중한 사람들을 영원히 잃어버린 이들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가 담겨있다. 출간된 지 수년이 지났지만 교보문고 청소년 부문 베스트셀러 등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이 책을 덮고 나면 은유가 과거의 은유를 통해 치유를 받았듯 아름다운 미소를 지을 수 있을 것이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영산나루] <수필가/시인/김성대> 잃어버린 기억이 더덕더덕 붙어 있는 수십 년 수탈收奪의 암 덩어리 떼어내면 얼마나 아파할까? 소리 없이 흘러가는 시간시간을 물들이면 모락모락 향기 나는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답답하고 출출할 때 영산강변을 거닐며 영산나루에 걸터앉아 전통차 마시고 삭혀진 홍어 젓갈 한 사발 먹어볼까? 오늘을 살아가는 것은 걸어왔던 길보다 걷지 않은 여정旅程을 함께 가는 길동무가 당신이었으면 좋겠다. 깊은 밤이 이슥해지면 여명黎明에 발효醱酵되어 마음 밭에 내려 바람도 잠잠하다 황토 돛배 즐거운 고동 소리에 영산강물이 출렁출렁이면 반짝이는 등대 불빛 따라 서해로 새록새록 추억을 담고 간다. Yeongsan Naru Kim, Seong-dae How painful it must be, To take off the cancer of decades-old exploitation, Covered thick with lost memories? If you imbrue the time that goes by soundlessly, It will blossom a beautiful flower with a thick odor. Walking along the Yeongsan River when feeling stuffy and hungry, Shall I sit on the edge of the ferry point, drinking traditional tea, Trying a bowl of fermented and salted skate? I wish it were you, Who can accompany my journey still to tread, Not the road of life I have passed so far. When the night is far spent, The wind becomes still, Fermented by dawn and landing in the field of the heart. When the Yeongsan River is rolling around, With the horn sound of a happy mud-yellow sailboat, The twinkling light of a lighthouse leads The way to the West Sea with new memories.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사)무등산환경대학 제6기 졸업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2008) 역임 *대한민국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월간 한울문학,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나주예총) 문학상 수상 *제3회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사)용아 박욕철 기념사업회 홍보부이사장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5.18민주화운동 부활제 행사 제32회부터 43회까지 자작헌시 낭독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전공대 설립 나주시민 자문위원(2019. 12. 9) *강변포럼 고문 *광주시민발전연합회 상임고문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주)한국문학 회원 *(사)샘문그룹 문인협회 회원 *(사)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꽃가람 시 순수문학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7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사)4.19문화원, 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현)강변일보 호남취재본부 총괄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한경국립대학교(총장 이원희)는 지난 17일 안성캠퍼스 백호실에서 베트남 지역사회 복지향상을 위해 국제연꽃마을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 사단법인 국제연꽃마을은 2004년 故덕산당 김각현 스님이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한 NGO법인으로 2005년부터 베트남 중부지역 쾅남성 탐키시 거주 학생들에게 매년 6백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해오는 등 다양한 학생·노인복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연꽃마을MOU] ◦ 한경국립대학교는 국제연꽃마을과 함께 지난해에 학생 및 교직원 20여명이 9박 11일간 베트남 쾅남성에서 한글학당, 문화교류, 벽화그리기, 의약품 전달 등 봉사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 이번 업무협약은 한경국립대학교와 국제연꽃마을 양 기관이 상호협력관계를 보다 굳건히 하여 베트남 지역사회 발전에 지속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 안승홍 학생·취업처장은 “베트남 전쟁의 아픈 상처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복지사업을 국제연꽃마을과 진행하겠다”며 “다양한 해외 기관과 상생하여 세계로 뻗어가는 대학이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한경국립대학교(총장 이원희) 교수들이 지난 5월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인천대학교에서 개최된 제53회 전국교수테니스대회에 참가해 전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특히 조병모 교수(의료재활공학전공) 및 김한범 교수(스포츠과학전공)는 청년부 A에서 1위를 차지해 높은 기량을 선보였다. ◦ 한경국립대학교는 작년에도 본 대회에 참여해 청년부 개인전 1위를 비롯해 단체전 우승 등 좋은 성적을 거둔 바 있다. [- 5월 16일부터 3일간 인천대에서 개최, 85개 대학 1,308명 참여 -] □ 전국교수테니스대회는 1973년부터 시작된 대회로 한국대학교수테니스연맹이 주최한다. 대학의 테니스 보급과 활성화를 통해 한국 테니스 발전을 도모하고 전국 대학 교수들간의 친선을 증진하기 위함으로 매년 많은 교수들이 참여해오고 있다. □ 한경국립대학교 교수테니스회 회장인 임영일 교수(화학공학전공)는 “작년에 우리 대학이 교수테니스회가 결성된 이후 짧은 기간 동안 계속해서 좋은 성과를 거두어서 매우 기쁘다. 테니스를 통해 얻어진 긍정적인 에너지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더욱 힘쓰도록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주은영 작가] 작품에 꿈과 희망을 표현하기 위해 밝은 채색 위주로 이미지가 완성되어 캔버스 전체에서 발산되는 느낌이 온화하다. 쌓아 올린 면들의 구성으로 핵심적인 주제를 이야기하며 수많은 면들이 행복의 결합을 증명이라도 하듯 독특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그림으로 2024년 5월 15일(수) ~ 5월 21일(화)까지 서울 인사동 소재의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르프랑에서 'Voyage - 손짓(Gesture)' 타이틀로 초대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이미지의 형태는 감상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제 각각 해석되는 요소들이 다양하여 공감과 소통의 기본적 의미가 잘 전달되고 있다. [포스터] voyage 시리즈 작품으로 행복을 탐구한다. 위로와 기쁨으로 앞을 바라볼 수 있는 용기를 주는 손짓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어느 날 힘 풀려 주저앉은 자리에서 문득 고개를 들었을 때 보였던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높은 가지들에 매달려 살랑거리며 흔들리던 나뭇잎들이 마치 반갑게 나에게 손짓하는 환영 같았다. [voyage _이야기 1] 아크릴물감을 이용해 수백 수 천 개의 피스를 만들어 붙인다. 바탕을 그리고 다시 긁어내며 반복적으로 밀도를 높였다. 크렉을 표현한 것은 출발점으로 고향, 대지, 어머니의 자궁 등 존재의 근원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Voyage 시리즈展 2] 손을 들어 흔들고, 양팔을 들어 흔들고, 같이 마주해 힘껏 흔들고, 그렇게 같이 웃다보면 서로를 찌르는 욕망과 곰팡이처럼 번지는 갈등에 시들어가던 영혼들이 한순간에 정화되는 기분이다. 순수하게 반갑고 꾸밈없이 환하게 웃어주는 이런 순간들을 우리는 절실하게 기다리며 손바닥을 펼쳐 손짓한다. 이렇게 누군가 반갑게 맞이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voyage._봄날의이야기 3] voyage 시리즈는 기억과 약속 그리고 오래 간직한 꿈으로 각자의 긴 여정에서 우리 생의 반짝이는 순간들을 추출하여 상상력을 결집하고 서로의 삶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있는지를 표현하려는 시도이며, 미래로 흐르는 마음을 담아보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voyage 4] 또한 점을 찍듯 만들어진 작은 면들은 인생에서 생기는 일들의 변화들이 긍정의 결론으로 맺어지고 서로를 보듬는 따뜻한 시선이 머물기를 기원한다. 개인전을 실시 중인 주은영 작가는 "전시는 세상의 시선에 의해 읽혀지고, 세상의흐름에 의해 해석과 평가가 이루어지는 분해의 시간이 된다. [voyage_꿈 5] 서로 다른 세계관과 감성으로 작품을 바라보는 관람객을 만나는 것은 늘 긴장되지만그 시간들은 신선한 충격이고 즐거운 경험으로 작품이 매개체가 되어 같이 호흡하며 평안해지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voyage_봄날의이야기 6] 작가는 한국미술협회, 국제현대예술협회, 노원미술협회 회원으로 현재 노원문화재단 104마을 예술창작소 입주작가로 활동 중에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작은 음악회 5월 17일 금요일 아침 남수원중학교(교장 김형태)솔리언 또래상담동아리(총28명)는 학교폭력예방 친구사랑 행사로 “아침등굣길 맞이 작은음악회” 행사를 실시하였다. 관중들의 높은 관심 솔리언 또래상담동아리는 “아침등굣길 맞이 작은음악회”, “마음약방”, “사과데이”, “따남프”행사를 분기별로 진행하여학교폭력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이 행사는 아침등굣길에 즐겁고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 주기 위해, 작은음악회와 행운권 추첨 및 작은 간식 나눔, 힘이 나는 응원 문구로 전교생을 기분 좋게 등교하게하였다. 힘찬 응원 작은음악회는 참여를 희망하는 밴드동아리와 싱어들이 오디션과 리허설을 거쳐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보였고, 행운권(복권) 당첨자들에게는 뜻밖의 푸짐한 선물로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 주니 학생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았다. 파이팅으로 격려 이학교김형태 학교장은 “학생들의 즐겁고 안전한 학교 생활을 위해 동아리 학생들의 다양한 행사를 지원하는데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번 ‘아침등굣길맞이’ 행사는 전교생이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학교폭력을 예방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by 김주환 연합본부장[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천 년이 넘은 온돌방이 있다. 자연이 푸르름을 더해가는 4월 말, 그동안 복원 공사를 마친 칠불사에 있는 아자방이 원래의 모습으로 완공되어 일반에게 공개한다고 매스컴에서 들었다. 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다. 경남 하동 쌍계사에서 자동차 길인 북쪽으로 한참 올라가면 칠불사가 나온다. 칠불사에는 스님들이 수행하던 온돌방이 있다. 이 온돌방이 있는 건물이 1948년 ‘여수순천사건’ 때 전소되었다. 건물은 복원했으나 구들은 그대로 두었다. 그전에도 소실된 적이 있었다. 복원되지 않은 온돌방을 조사 발굴한 후 8년 만인 2023년 말에 복원했다. 칠불사 온돌방은 방 안에서 보면 버금 아(亞)자 모양으로 생겨서 아자방(亞字房)이라 부른다. 이는 신라 효공왕(897~912) 때 가락국에서 온 구들 도사라 불리던 담공 선사가 처음 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1,100년이 넘었다. 유구한 세월이다. 아자방은 구들의 탁월한 구조로 1975년 세계건축물협회에서 펴낸 『세계건축사전』에 수록될 정도로 유명하다. 복원 후 아자방 건물 서쪽으로 출입하도록 문을 내었다. 담장의 일부는 대나무로 울타리를 만들어 올곧게 정진하라는 의미가 담긴 듯하다. 대나무 울타리를 보는 순간 허리부터 쭉 펴게 된다. 아자방의 서쪽에서 보아 오른쪽에 있는 큰 아궁이에 오후 햇살이 부서지고 있다. 아궁이 입구는 입 구(口)자 모양으로 버금 아(亞)자와 입 구(口)자를 합쳐 동쪽에서 보면 전체는 벙어리 아(啞)자 모양이 된다. 아마도 수행 중에는 묵언하고 정진하라는 의미로도 해석이 된다. 아자방은 처음 축조했을 때 땔감을 지고 아궁이로 들어갔다니 크기를 짐작하고도 남는다. 한 번 불을 땔 때 일곱 짐 정도를 한꺼번에 땠다고 한다. 불길이 막히지 않고 서서히 타들어 갔고 골고루 따뜻했다고 한다. 한 번도 크게 고친 적이 없다고 한다. 지금도 아궁이를 들여다보니 내가 그대로 들어가도 될 정도다. 축조 당시 불을 한 번 때면 ‘석 달 열흘’은 온기가 골고루 유지되었다고 한다. 신비감이 더해진다. 지금은 이틀에 한 번씩 많은 땔감은 아니지만 불을 땐다고 한다. 『천 년의 비밀, 아자방 온돌』 의 저자 김준봉은, “아자방 아궁이는 서서히 오래 열기를 공급하고 구들과 불길이 움직이는 길과 형태가 다른 온돌과 달라 오랫동안 열기를 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라고 했다. 우리의 온돌 문화는 세계적이다. 직접 방에 들어가 보니 방의 긴 쪽이 약 8미터로 직사각형이다. 방바닥에서 약간 높은 좌선대가 네 귀퉁이마다 설치되어 있다. 스님들은 아자방에서 눕지 않고, 한 끼 먹고, 벽만 보고 앉아서 수행한다니 고행이 내 마음을 짓누른다. 방바닥은 좌선대에 올라 수행하다가 피곤함을 풀기 위해 다리를 내리면 방바닥까지 펼 수 있게 만들었다. 중앙의 낮은 방바닥은 불경을 읽는 공간으로도 활용한다고 한다. 평생토록 눕지 않고 수행한 스님은 혜암과 청화가 알려져 있다. 평생토록 눕지 않았다니 사람으로서 가능한지 의문이 가나 실제의 기록이다. 보통 사람은 며칠만 지나면 힘들어서 정신을 못 차린다고 하는데 꾸준히 수행하면 경지에 오르나 보다. 아자방 온돌은 2023년 말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칠불사 측은 내부를 일반에게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하고, 2024.2.7.부터 같은 해 부처님 오신 날까지만 일반에게 공개한다고 한다. 스님들이 수행에 들어가면 공개할 수가 없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 정조 9년에 보면, 선전관 이윤춘이 지리산 칠불암 아자방에 대해 임금께 올린 글이 있다. “취령(鷲嶺) 아래 칠불암(七佛菴)은 문양해가 살던 하천 산당(荷川山堂)과 서쪽으로 10리 떨어져 있습니다. 또 그 문 귀에 달린 현판에는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苑)이라고 썼습니다. 그 안에는 아자형(亞字型)으로 된 승방(僧房)이 있었는데, 승려들을 대사(大師)라고 부릅니다. 그들은 하루 종일 벽을 향하여 말하지 않고 앉아 있는 사람이 아홉 명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거의 다 아침에 모여 묵언 수행하다가 해가 져서 어두워질 때 흩어졌습니다.” 아자방에서 수행한 큰 스님이 여러 사람 있다. 정명, 벽송, 조능, 서산, 부휴, 초의, 월송 등이다. 유명한 고승들이 수행한 곳으로 알려져 많은 스님이 아자방에서 수행하는 것을 꿈으로 여긴다고 한다. 특히 기억에 떠 오르는 스님은 서산(휴정) 대사다. 그는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 선조의 부름을 받고 승병을 모으기 시작했다. 또한 전국의 사찰과 승려들에게 나라를 구하는 일에 앞장서야 한다는 글을 보내기도 했다. 그의 제자인 사명(유정) 대사와 처영 스님 등이 승병을 모아 왜군을 크게 물리쳤다. 그는 사명 대사와 합류하여 명나라 군대와 힘을 합쳐 한양을 되찾고 ‘팔도십육종선교도총섭(八道十六宗禪敎都摠攝)’이라는 직책도 받았다. 도총섭은 전국의 승군(僧軍)을 통솔하는 직책이다. 그 후 벼슬을 사명 대사에게 물려주고 묘향산에 들어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며 수도 생활을 계속했다. 1604년에 세상을 떠났다.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큰 스님이다. 직접 아자방에서 스님처럼 벽면을 보고 앉아 잠시 눈을 감았다. 온갖 상념들이 떠 오른다. 하나씩 버리니 잠깐이나마 마음이 편안하다. [아자방 내부]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조금만 더] <수필가/시인/김성대> 하나의 길에서 만났던 우리 오늘도 함께 가는 발걸음 내 인생에 가장 젊은 날 노심초사勞心焦思에도 큰 기지개를 켜며 잦은 바람에도 질척이다 쉽게 초라하게 넘어져 가는 게 우리의 인생이 아닌가 하루하루를 함께라는 마음으로 슬쩍 조금만 더 사랑해줄 것을 조금만 더 너그럽게해줄 것을 조금만 더 이해理解하고 감사感謝해줄 것을 조금만 더 곁에 있어줄 것을 조금만 더 배려配慮해주고 조금만 더 용서容恕하면서 이제는 후회後悔하지 않을 것을 질긴 인연因緣 때문에 뿌옇게 서러워도 마음에 머물러 추억追憶으로 가는 세월 네 탓 내 탓을 하지 말고 젊음은 재생再生이 안 되니 실수失手 없이 떳떳하게 살아가자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사)무등산환경대학 제6기 졸업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2008) 역임 *대한민국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월간 한울문학,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나주예총) 문학상 수상 *제3회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5.18민주화운동 부활제 행사 제32회부터 43회까지 자작헌시 낭독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전공대 설립 나주시민 자문위원(2019. 12. 9) *강변포럼 고문 *광주시민발전연합회 상임고문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주)한국문학 회원 *(사)샘문그룹 문인협회 회원 *(사)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현)서울일보 광주본부장 *(현)강변일보 호남취재본부 총괄본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꽃가람 시 순수문학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7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사)4.19문화원, 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