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대광119안전센터 소방위 박승욱] 방화문 닫기는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실천 사항이다. 방화문 닫기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방화문은 화재 시 열과 연기의 확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환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계단실 방화문의 경우 화염과 유독가스가 대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늦춰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화재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화문의 올바른 관리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첫째, 방화문 앞에 장애물, 물건 등을 방치하지 않아야 하며, 닫힘을 방해하는 요소는 즉시 치워야 한다. 둘째, 방화문 관리와 점검에 대한 관심을 갖고, 고장 및 이상 발견 시 즉시 관리사무실에 알려 조치하게 한다. 셋째, 환기 및 이동 후 항상 방화문을 닫는 행동을 매번 실천해 자연스럽게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습관화 한다. 넷째, 관리사무소나 공동체는 방화문 닫기의 중요성과 행동 효과를 주민교육 안전캠페인을 통해 반복적으로 홍보한다. 이처럼 방화문 닫기 습관은 반복행동, 긍정적 동기 부여, 공동체 실천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 화재 예방과 인명 보호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방화문 닫기“ 생활 속에서 방화문을 항상 닫고, 올바른 대피 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우리 가족과 이웃 안전을 지키는 기본이 될 것이다.
[고재봉 작가] 소나무의 구부러지고 휘어진 아름다운 형상을 한지에 생동감 넘치게 그려 나무 본연의 모습을 회화적 조형성으로 재해석시킨 작품으로 고재봉 작가는 오는 2025년 10월 29일(수) ~ 11월 3일(월)까지 서울 삼청각 취한당에서 '천년의 향기 소나무展'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한다. 우리 민족이 사랑하는 소나무는 사계절 변하지 않는 모습으로 절개의 상징이 되어 전통 한국화의 주요 소재가 되었다. [포스터] 소나무를 단순히 그리는 대상이 아닌 상징적인 존재이자 경이로운 가치로 생각하여 살아 움직이게 만들었다. 작품 속 소나무는 단순한 풍경이 아니라 작가 자신의 삶과 철학이 투영된 존재로 해석하여 소나무에 대한 애착이 느껴진다. 자유로운 형태와 먹의 농도를 통해 강렬함을 표현하며, 교차되는 길고 짧은 선들이 사실감 넘치는 솔잎의 생명력을 만들어냈다. [고재봉作1] 웅장한 구도의 소나무는 오랜 세월 바람과 비를 견뎌낸 강인한 모습을 보여주며, 역경 속에서도 끈질기게 자신의 의연함을 지켜내는 소나무의 속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소나무가 보여주는 고독하고도 강인한 모습이 인간의 삶과 닮아있음을 표현하며 시간의 흐름과 인생 여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고재봉作2] 또한 소나무 그림으로 관람객에게 깊은 사색의 시간을 선사하고, 지치고 힘든 현대인들에게 위로를 전달하는 공감의 시간을 기대하고 있다. 소나무의 섬세한 솔잎 묘사와 나무껍질의 질감이 입체감 있게 구현되어 생생한 사실감이 매력을 전달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고재봉作3] 번져오는 색채는 소나무 가지의 단단한 힘을 더하며, 풍성한 솔잎들은 소나무 특유의 청량함을 느끼게 한다. 자유롭게 뻗은 나무의 형상을 예술로 풀어내고, 한지 바탕의 흰색과 푸른 솔잎의 대비는 주제를 확대 부각시켜 친근함으로 다가온다. [고재봉作4] '천년의 향기 소나무展'을 실시하는 고재봉 작가는 "소나무의 매력을 회화적으로 구현하는 창작의 시간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순간들의 연작으로 나무의 좋은 의미들이 감상자들에게 잘 전달되어 힐링의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작가는 독특한 소나무 작품 세계를 통해 (사)한국미술협회 문인화 초대작가 및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는 작가로서 매정 민경찬 선생에게 사사하여 수묵화의 동양적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는 미술인으로 알려져 있다.
[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겨울의 길목에서] <수필가/시인김성대> 썰렁한 바람이 가슴을 후벼팔 때면 따끈따끈한 아랫목이 그리워지는 계절 물렁물렁한 고구마 먹던 그 시절이 그립니다 세월이 흘러가면 받았던 상처 하나씩 하나씩 털어내어 낡아지지만 마음만은 편함 그대로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가난한 사랑에 앞길 모르고 뛰어 가다 보니 한순간에 왔던 걸음 되돌아볼 틈도 없이 겨울이 오는 길목으로 그냥 와 버렸네 인생의 마지막 고갯길 힘겨워도 괴로워도 깔끔하게 넘어가기 위해 마지막 담금질로 남겨놓을 수만 가지 그림을 그리다 지우고 또다시 그리고 있는 지금 홀연히 골방에서 가슴이 시리도록 서러울 때도 마음이 아리도록 외로울 때도 네 곁에 내가 있다는 것을 언제나 잊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역임 *2016 대한민국 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고문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2회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사)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주)한국문학 회원 *샘문그룹 문인협회 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8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4.19문화원 자문위원 *사)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광주시민발전연합회 고문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우리는 콘텐츠 비즈니스 속에 살고 있다. 불황 속에 대부분 산업이 침체기를 겪고 있지만, 콘텐츠만은 여전히 비즈니스의 핵심이다. 얼마 전 애플은 디즈니와 협력 계획을 밝히며 OTT와 극장의 미래를 예고했고, 국내 대기업들도 마케팅을 위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여러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앞으로는 어떤 콘텐츠가 대중들의 눈을 사로잡을까. 콘텐츠 트렌트 분야 최초의 시즌제 책인 ‘콘텐츠가 전부다’가 5주년 특별판으로 출간됐다. [2024 콘텐츠가 전부다.노가영·선우의성·이현지·주혜민 / 미래의창 / 312쪽] ‘2024 콘텐츠가 전부다’는 올해 콘텐츠 흐름을 되짚어보며, 성공적인 미래를 그리기 위해서는 어떤 콘텐츠에 주목하고 투자해야 하는지 저자들의 경험을 고스란히 담았다. 콘텐츠만 사는 OTT 수난 시대부터 유튜브 성공법칙과 기업의 돈이 흐르는 유튜브 마케팅의 세계, 이제는 세계적 스타를 배출하는 K-팝, Z세대의 취향을 저격하는 틱톡까지 현 시대의 K-콘텐츠 산업을 날카롭게 분석한다. 또한, 이번 시즌에는 저자들이 선정한 ‘콘텐츠 트렌드’와 ‘카지노’, ‘피지컬: 100’, ‘피식대학’ 등 K-콘텐츠를 대표하는 전문가 7인과의 ‘스페셜 인터뷰’, 마케터들을 위한 유튜브 브랜딩 비법이 수록돼 콘텐츠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책은 K-콘텐츠가 어떻게 전개됐고, 앞으로는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한다. 콘텐츠 미디어 산업 전문가 노가영 대표 저자는 볼 것이 득실대는 세상, 1.5초 안에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아야 하는 현실을 짚어낸다. 국내기업 최초 유튜브 채널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시킨 마케터 선우의성 저자는 그동안 기업들이 주목해온 유튜브 트렌드를 소개한다. 이외에도 유진투자증권 미디어·엔터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는 이현지 저자의 심도 깊은 ‘K-팝’, ‘틱톡’ 분석, 더핑크퐁컴퍼니 사업개발총괄이사인 주혜민 저자가 전하는 ‘K-키즈’ 이야기 등을 들려준다. 이를 통해 지금의 콘텐츠 시장은 무엇에 열광하고 있으며, 대중의 마음을 움직이는 콘텐츠는 무엇이 다른지, 콘텐츠를 비즈니스 관점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고 싶은 독자들이 콘텐츠 산업을 보다 깊이 있게 살필 수 있도록 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예술의전당은 예술의전당 마티네 콘서트가 12월 1일 ‘KT와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마음을 담은 클래식(이하 마음 클래식)’을 시작으로 12월 14일 한화생명화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이하 11시 콘서트), 12월 16일 신세계와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이하 토요콘서트)를 선보인다. ‘마음 클래식’은 고전 음악에서부터 오페라, 발레, 합창까지 모든 예술의 아름다움을 모두 보여준다. 이택주 지휘자가 이끄는 KT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김용배 콘서트 가이드의 해설로 관객의 호응을 끌어낼 예정이다. [▲ 예술의전당 마티네 콘서트 포스터. (사진=예술의전당 제공]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 아돌프 아당의 발레 ‘해적’ 중 ‘그랑파드되’로 클래식의 정수를 선보인다. 2024년 서거 100주년을 맞는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의 아리아도 만날 수 있다. 크리스마스이브 파리를 배경으로 낭만을 확인할 수 있다. ‘11시 콘서트’에서는 정주형 지휘자가 지휘봉을 잡고 한경arte필하모닉이 연주한다. 겨울의 로맨스와 풍성한 감정이 어우러진 공연은 배우 강석의 재치 있는 해설로 감동을 더할 예정이다. ‘루슬란과 류드밀라’로 공연의 포문을 열고 플루티스트 박예람이 ‘플루트 협주곡 D장조 Op.283’을 연주한다. 2부에선 비올리스트 이한나가 현대 음악의 대표 작곡가 슈니트케의 ‘비올라 협주곡’을 연주해 비올라의 매력을 전한다. 이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교향곡 제1번 ‘고전’으로 마무리해, 경쾌하고 명랑한 분위기의 고전주의 시대 클래식을 보여줄 예정이다. ‘토요콘서트’는 연말에 어울리는 발레곡, 대규모 관현악 교향곡까지 품격 있는 마티네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홍석원 지휘자를 필두로 바이올린 박규민,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무대를 선보인다. 박규민은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35’과 하차투리안의 발레 ‘스파르타쿠스’ 아다지오를 연주한다. 로마시대 고마군단에 맞선 노예 검투사의 반란과 영웅적 이야기를 소재로 고요하고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2부에선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프로코피예프의 ‘스키타이 모음곡 Op.20’을 연주한다. 프로코피예프가 러시아 전통적인 음악과 민속무용에 영감을 받아 작곡한 작품으로,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과 창의성이 묻어나는 명곡이다. 예술의전당 마티네 콘서트는 예술의전당 누리집과 콜센터, 인터파크에서 예매 할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노작홍사용문학관 노작시민극단 산유화가 2023년 정기공연 ‘뼈의 기행’을 다음달 1일부터 3일까지 노작홍사용문학관 산유화극장에서 선보인다. 백하룡 작가가 집필한 ‘뼈의 기행’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 중국에서 생을 마감한 부모의 유골을 찾아 선산에 묻으려는 아들 ‘백준길’과 그와 동행한 준길의 아들 ‘학종’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이번 공연에서는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로 각색했다. 연출을 맡은 황이선 감독은 “3대에 걸친 아들 이야기를 어머니와 딸의 이야기로 새롭게 수정했다.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모성이 시사하는 바가 어느 시대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연출의도를 설명했다. [노작시민극단 산유화 정기공연 ‘뼈의 기행’ 포스터. /노작홍사용문학과 제공] 아픈 자녀를 만주 땅에 데리고 갈 수 없다던 어머니의 외침, 혈혈단신 한국으로 와 남자도 서러웠을 시절을 보내고 이제야 이장(移葬)을 준비하는 길옥의 집착, 경제적 풍파에 도움 청할 곳은 엄마밖에 없는데도 여과되지 않은 감정을 쏟아내고야 마는 딸 영숙의 절박함 등이 대를 걸쳐 무대 위에 새롭게 태어날 예정이다. ‘뼈의 기행’에는 송인규·김영숙·김영주·김민채·이지연·민봉준·조은주·남궁현·박희우·이서아·이용숙·이남우·이영미·김성례·오순복 등 ‘산유화’ 회원 15명이 무대에 오른다. 이 가운데 민봉준은 2003년 제2회 대한민국 시민연극제에서 ‘우수연기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최우수연기상’ 수상자인 장선경은 조연출로 참여했다. 한편, 노작시민극단 ‘산유화’는 2011년 창립 후 매년 상반기 이론수업을 거쳐 하반기 정기공연을 꾸준히 이어왔다. 올해는 ‘나는 오늘 그사람을 죽인다’로 제2회 대한민국시민연극제에 경기도 대표로 선발돼 제주도 본선 경연에서 최우수연기상 및 우수연기상을 수상한 바 있다. 사전예약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은 전석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24일 오후 3시부터노작홍사용문학과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언론학자와행정학자가 조선시대 왕들의 대민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탐구한 책이 나왔다. 박종민 경희대 교수(미디어학과, 한국언론학회장), 남태우 성균관대 교수(행정학과), 김상연 광운대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가 <조선500년 대민커뮤니케이션 윤음(綸音) 연구>를 출간했다. [윤음 연구로 만나는 조선 왕들의 '대민커뮤니케이션' [신간소개]]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의 윤음을 분석해 조선시대 왕들의 대민커뮤니케이션 본질을 깊이있게 담아냈다. 사회과학방법론에 충실한 윤음의 기초와 역사적 배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며, 다양한 분석 변수를 활용해 윤음의 시기적, 유형적 특징을 조명했다. 또한 LDA 토픽 모델링과 Word2Vec을 활용해 ‘머신이 바라본’ 조선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조선의 왕과 국민 간의 소통 패턴에 대한 혁신적인 시각을 제공한 이 책을 통해 역사속 대화의 진실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한경국립대학교(총장 이원희)는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2023 시민과 함께하는 기록문화대학”을 개최했다. ◦ 기록문화대학은 교육부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한경국립대학교·안성시·평택시가 시민들에게 기록문화강좌 및 전시 활동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경국립대·안성시·평택시, “시민과 함께하는 기록문화대학”개최] □ 이번 프로그램은 “보다, 발견하다, 기록하다”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최중명(국제생명 카메라 프로젝트) 대표는 일상생활 속 우리 마을 사진을 남길 수 있는 방법을, 이도순(마을아카이빙 전문가) 연구원은 사진기록을 기술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강의하였다. □ 한경국립대학교 이원희 총장은 “국립대학이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길 바라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한편, 기록문화대학에서 촬영한 사진은 도록으로 출간될 예정이며, 본교 안성캠퍼스 중앙도서관 및 평택 배다리도서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박기형 경산소방서장] 이제 11월 중순이 지나 겨울철 초입이 들어서면서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집안 곳곳에 난방용품의 사용이 늘어남과 동시에 실내 생활이 늘어나 화재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겨울철은 4계절 중 화재 발생 건수가 가장 많고,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 비율도 가장 높다. 최근 5년간(2018~2022년)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화재통계에 따르면 겨울철(11월~2월) 경산에서는 평균 76건의 화재가 발생하였다. 그 원인으로는 부주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전기적 요인이 뒤를 이었다. 또한 겨울철 화재 발생률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건 해마다 전기 난방기구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많은 만큼 월동 준비에 앞서 3대 난방기구(전기장판·전기히터·전기열선)를 안전 수칙을 알아두면 화재 발생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난방 기구 사용 시에는 첫째 전선의 파열 여부를 확인하고, 온도조절장치가 정상 작동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둘째 월동기를 위해 오래 보관되어 있던 기구 콘센트에 낀 먼지를 제거하고 제품의 파손 여부를 파악한다. 또한 전기장판을 사용할 때는 열에 취약한 라텍스 매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반드시 끄고 플러그 뽑는 것을 습관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전기히터를 사용할 때는 주위에 불이 붙을만한 물건을 없애고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추가로 화재 예방의 가장 기본인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의거 신축 주택은 2012년부터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가 의무화됐고 기존 주택은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를 2017년까지 유예해 5년간 계도기간을 거쳤지만, 시민들의 관심 부족으로 해당 법령이 알려지지 않아 각 가정에 주택용 소방시설의 설치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더불어 올겨울 화재로부터 안전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소화기 구비와 화재경보기 설치해 초기화재에 대비해 보자. 이에 해마다 경산소방서는 11월 ‘불조심 강조의 달’을 운영하여 시민에게 화재 예방 분위기를 조성하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어린이 불조심 포스터 그리기 공모전 ▲우리 집 안전맵 그리기 ▲겨울철 화재 예방 대책 추진 ▲화재 안전 취약계층 소방안전교육 등 다양한 공모전과 예방 캠페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죽은 뒤에 약을 처방한다는 뜻으로 이미 화마가 지나가고 후회하면 이미 늦다. 우리가 모두 안전의식을 가지고 한 번 더 화재 예방에 관심을 가진다면 2023년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 경산소방서장 박기형 -
by 노상균 대구.경북 취재본부장□ 한경국립대학교(총장 이원희)는 23일 안성캠퍼스 컨벤션 센터에서 고용노사관계 전문가과정 수료식을 개최하였다. 총 27명 입교 중 25명이 수료하였으며 우수한 성적을 거둔 수료생 5인은 고용노동부장관상, 한국고용노동교육원장상, 대학총장상, 한국노총경기지역 본부의장상, 경기경영자총협의회회장상을 수여받았다. [한경국립대 고용노사관계 전문가과정 수료식 개최] □ 고용노사관계 전문가과정은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의 수탁을 받아 운영한 사업으로 건전한 노사관계 정립과 노사 상생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 교육과정은 총 105시간으로 노사관계 분야, 리더십 및 조직관리 분야 등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의 위주가 아닌 참여와 실습, 토론 등 교육생들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고자 국내 관련 분야 전문가를 강사진으로 위촉하여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 이원희 총장은“국내 산업현장의 노사문제를 합리적,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과정을 우리 대학에서 운영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 노사관계가 갈등 관계가 아닌 상호 협력적 파트너십이 될 수 있는 조직문화 확산에 대학이 먼저 모범을 보이겠다”라고 행사의 의의를 더했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비우는 것은] <What it being empty> <수필가/시인/김성대 Kim seong dae> 자주 비우는 것은 자주 채우는 연습을 하는 것 가난하다는 것은 부자가 되기 위한 실습을 하는 것 비어있는 항아리에는 비어있는 만큼 채울 수가 있지만 가득 채워져 있는 항아리에는 채울 수가 없다네 Often being empty is to practice of making full often Being poor is to practice of being rich In an empty jar to be as full as empty but in a full jar we cann't make a full of it. 살아간다는 것은 불행하다고 느끼는 어제보다 행복하다고 느끼는 오늘의 각오가 불행을 이기는 긍정의 힘입니다 노력 없이 불행을 버릴 수 없고 노력 없이 행복을 찾을 수 없으며 노력 없이 인생의 역전은 없습니다 what to live is the power of an affirmation to overcome the misfortune; rather today's resolution to be felt being happy than yesterday to be felt being miserable. without an effort, unable to throw the misfortune away without an effort, unable to find the happibess out without an effort, there is no turn-around of life. 뻥 넘어지는 것은 아무런 준비 없이 넘어지는 것보다 철저한 준비에도 넘어지는 것은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꿈같은 희망을 품는 것입니다 아픔 없이 성공의 기적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To fall down such as pung is to hug a hope as a dream to get up again as if a roly poly; even though a thorough preperation rather to fall down than without preperation to fall down Without a pain the miracle of success can not absolutely come true. 힘들고 어려움을 비웠어야 한다는 것과 채웠어야 한다는 것 모두를 섭렵하면 실패를 거울삼아 징검다리 건너는 것처럼 벽돌 한 장씩 쌓아가듯 탄탄한 경험에 두 번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지혜를 얻는다. To be empty and to fill with the hardness and difficulty If you search all far and wide regarding a failure as a mirror as if crossing over the bridge as if piling a brick one by one on the experienced firm you can get the wisdome of not being afraid of twice failure. *2013년 4월 5일*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역임 *2016 대한민국 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고문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2회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사)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주)한국문학 회원 *샘문그룹 문인협회 회원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8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4.19문화원 자문위원 *사)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광주시민발전연합회 고문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노형욱 전 국토부 장관은 광주토박이로 광천초, 무진중, 제일고교,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졸업, 파리정치대학(ScPo) 시앙스포 국제경제학 석사 과정을 마치고 대한민국 해군 해병 중위로 만기 전역을 했다. 제30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기획예산처, 보건복지부, 국무조정실장,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반걸음 앞에 노형욱이 있겠습니다] 이번에 "광주와 대한민국 미래 반걸음 앞에 노형욱이 있겠습니다"을 출간했다. 노형욱 전 장관은 광주시민들에게 대한민국은 식민 지배의 전쟁을 겪었고 5.18민주화운동 촛불혁명과 탄핵정국의 역사적인 현실을 몸으로 느끼면서 36년의 공직 생활을 마감하고 고향 광주에서 더 큰 뜻을 펼치고자 경제연구소를 내고 많은 시민들을 만나며 삶의 가치를 실천하고자 몰입하고 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 장병완 전 국회의원의 추천사를 써 주었다. 광주와 대한민국 미래 반걸음 앞에 노형욱이 있겠습니다 ▲제1장 '가족과 성장과정' ▲제2장 '공직 생활을 시작하다' ▲제3장 '복지와 정치의 미학을 배운 프랑스 유학' ▲제4장 '예산실 재정관료로서 30년 생활' ▲제5장 '대한민국 갈등해결사, 국무조정실장 시절' ▲제6장 '국토교통부장관이 되다' ▲제7장 인생의 변곡점 ▲제8장 소통은 노형욱처럼 ▲제9장 윤석열 정부 평가와 현안들 ▲제10장 '광주의 노형욱, 노형욱의 광주'로 구성되었다. 공직생활중에서도 혁신과 상생, 소통이었듯이 광주만의 현안들을 신중하게 앞장서서 걷겠다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출간했다고 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