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김복동 작가] 인간의 기원, 우주의 기원, 생명의 기원 등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탄생의 질문을 회화적으로 풀어냈다. 심오한 철학적 주제를 예술로 전환하여 우주만물의 원초적 기원과 존재를 화두로 던지면서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작품으로 김복동 작가는 2025년 10월 29일(수) ~ 11월 3일(월)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內 3층 G&J갤러리에서 "기원-존재"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포스터] ‘내 존재의 뿌리는 누구로부터 언제 어디에서 기원하는가?’ 이 질문에서 출발하여 이번 "기원-존재" 연작을 제작하게 되었다. 작품 속 동물들의 등장은 생명체들의 시작에 대한 의문과 존재 가치를 탐색하려는 의지의 표현물로 인류역사와 함께한 존귀한 이미지로 구축했다. [기원-존재展1] 다채로운 채색으로 구성되는 미술작품들의 시각적 요소가 사상과 철학의 깊이를 가늠하게 하고 대화의 주제가 될 수 있도록 편안하게 만들었다. 기후 위기로 발생되는 멸종 동물들에 대한 관심이 창작의 출발점이 되었다. [기원-존재展2] 동물 연작들은 생명탄생의 시작을 찾아가려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인간과 공존하는 생물들에 대한 단순한 사실적 기록을 넘어서 존재론적 질문도 던진다. 또한 현실을 재현하는 동시에 소멸의 순간을 정지시켜 영원한 사유를 꿈꾸며 생명 존중과 사랑을 드러냈다. [기원-존재展3] 사라져가는 존재들을 지켜내려는 의지를 넘어 보존에 대한 절박함이 묻어나고, 산업화와 무분별한 개발로 멸종된 생물들의 기억을 잊지 않으려는 뜻도 담겨있다. 생동감 있게 사실적으로 묘사된 동물들의 등장은 지켜달라는 간절한 호소로 연결하여 관심을 증폭시키려 했다. 기원과 존재를 알아가려는 사유의 탐구가 상생의 키워드로 발전하여 나와 별개가 아닌 밀접한 관계성을 이야기한다. [기원-존재1] "기원-존재" 개인전을 실시하는 김복동 작가는 "동물, 돌, 유토피아를 한 캔버스에 담아 기원과 존재에 관한 물음을 던졌으며, 개인적인 존재론부터 함께 살아내는 환경과 기후에 대한 고민을 그림으로 창작하여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다."고 말했다. [기원-존재2]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졸업 출신으로 개인전 20회, 단체전 500회 이상 개최한 중견 작가로 활동 중이며, 오는 11월 8일(토) ~ 11월 29일(토)까지 나주미술관에서도 전시를 진행할 예정에 있다. [기원-존재3]
[대광119안전센터 소방위 박승욱] 방화문 닫기는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실천 사항이다. 방화문 닫기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방화문은 화재 시 열과 연기의 확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환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계단실 방화문의 경우 화염과 유독가스가 대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늦춰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화재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화문의 올바른 관리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첫째, 방화문 앞에 장애물, 물건 등을 방치하지 않아야 하며, 닫힘을 방해하는 요소는 즉시 치워야 한다. 둘째, 방화문 관리와 점검에 대한 관심을 갖고, 고장 및 이상 발견 시 즉시 관리사무실에 알려 조치하게 한다. 셋째, 환기 및 이동 후 항상 방화문을 닫는 행동을 매번 실천해 자연스럽게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습관화 한다. 넷째, 관리사무소나 공동체는 방화문 닫기의 중요성과 행동 효과를 주민교육 안전캠페인을 통해 반복적으로 홍보한다. 이처럼 방화문 닫기 습관은 반복행동, 긍정적 동기 부여, 공동체 실천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 화재 예방과 인명 보호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방화문 닫기“ 생활 속에서 방화문을 항상 닫고, 올바른 대피 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우리 가족과 이웃 안전을 지키는 기본이 될 것이다.
[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인생의 끄트머리] <수필가/시인/김성대> 점점 닳아가는 인생의 끄트머리 마지막 앞산 뒷산까지 굽이굽이 넘어가는 숨길 수 없었던 인생길人生路 잠들기 전에 울어버린 가쁜 숨소리에 지쳐서 시들어가도 그래 그래도 꿈속에서라도 너를 보고파진다 고요한 침묵沈默에 보이지 않던 임 지그시 감은 두 눈 속에 그냥 그냥 좋은 당신을 꼭 넣고 싶다 내 마음에 서성이다 살포시 떠나가는 뜨거운 아침 햇살에 애간장 녹이는 이슬 같은 사람아 바람 잘 날 없었던 수많은 시련試鍊과 고통苦痛 인고忍苦의 연단鍊鍛을 통通해서 틈새 없는 작은 부끄러움도 지치지도 않고 공덕公德을 쌓아 베푸는 삶이 되었으면 좋겠다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사)무등산환경대학 제6기 졸업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2008) 역임 *대한민국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월간 한울문학,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제3회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전공대 설립 나주시민 자문위원(2019. 12. 9) *강변포럼 고문 *광주시민발전연합회 상임고문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꽃가람 시 순수문학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7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사)4.19문화원, 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인천에는 서울, 부산보다도 강한 음악씬(scene)이 있었다. 1980년대 헤비메탈의 시대가 도래하자 ‘아웃사이더스’ ‘제3세대의꿈’, 1986년 결성된 인천의 맹주 ‘사하라’, 강변가요제 수상의 ‘티삼스’ 등 굵직한 밴드들이 활동하며 인천 씬을 형성하고 키웠다. 이들의 주무대는 주안동 인천시민회관, 수봉공원 문예회관, 신포아트홀, 인하대학교 강당, 동인천 대명라이브파크 등이었다. 공연마다 구름 관중을 모았다고 한다. 또 음악(영상)감상실이면서 공연장이던 동인천 심지, 유진음악감상실, 성림음악감상실은 물론 밴드의 산실 역할을 한 휠음악학원, 대명음악학원(대명라이브파크 전신), 현대음악학원 등도 인천 씬의 한 축이었다. 1980~1990년대 록, 헤비메탈 음악의 대표적 씬이 인천이었다는 건 전설처럼 떠돌던 이야기다. (사)인천음악콘텐츠협회가 최근 발행한 ‘비욘드 레코드(Beyond Record) : 1985 - 1995 인천 록메탈 연대기’는 그 전설을 수년에 걸쳐 역사로 복원하려 노력한 결과물이다. [‘비욘드 레코드(Beyond Record) : 1985 - 1995 인천 록메탈 연대기’ 표지.] /인천음악콘텐츠협회 제공 비욘드 레코드는 큐레이터 고경표가 2016년부터 기획한 인천 지역 대중음악 아카이브 프로젝트다. 4차례(2016~2017년 임시공간, 2017년 인천여관, 2017~2019년 인천생활사전시관, 2022~2023년 인천음악창작소 포트록) 전시 내용을 엮은 게 이번 책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시가 거듭될수록 당시 활동한 뮤지션들의 인터뷰, 그들의 장소, 공연 포스터 등 각종 자료 등이 쌓였고, 이를 통해 1980~1990년대 인천 대중음악사가 점점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기획자 고경표와 함께 책 저자로 참여한 음악평론가 김학선이 2장 ‘인천 록헤비메탈 연대기’에서 전문적으로 인천 대중음악사를 서술했다. 저자들은 3장에서 ‘관교동, 인천 LA’ ‘인천 메탈 시티’란 글로 관교동과 동인천 등지의 인천 록·메탈의 흔적을 쫓았다. 그 시절 인천 음악씬에서 동인천만큼 흥미로운 공간은 관교동(현 미추홀구)이다. 관교동에 밀집한 소규모 건물과 다세대 주택의 지하실은 1990년대 인천은 물론 서울에서 온 수많은 프로·아마추어·스쿨 밴드의 연습실이었다. 당시 다운타운 소속이었던 기타리스트 김세황, 노이즈가든·로다운30 윤병주, 크래쉬, 블랙 신드롬 등이 한때 관교동에서 지내며 인천 뮤지션들과도 교류했다. 1993년 5월1일부터 8월11일까지 대명라이브파크에서 열린 103일 동안의 ‘103 마라톤 콘서트’는 인천 록, 메탈 씬의 대미를 장식한 상징적 장면이었다. 103일 동안이나 공연할 밴드도 청중도 있었다는 증거다. 인천 메탈 씬은 1990년대 중반 서울 홍대를 중심으로 얼터너티브, 펑크 밴드들이 ‘인디 씬’을 형성하면서 서서히 내리막길을 걸었다. 책 인터뷰에서 사하라의 보컬 우정주(전 인천음악콘텐츠협회장)는 왜 서울에 가서 활동하지 않았는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왜냐하면 씬이 있으니까.” 잊힐 뻔한 씬의 흔적을 수년 동안 복원하려는 기획자의 열정이 눈에 띄는 책이다. 인천 메탈 씬을 재조명하는 작업은 최근 들어 확장하고 있다. OBS는 지난 연말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헤비메탈의 시대’를 1·2부에 걸쳐 방영하기도 했다. 인천이 중심이 되는 이 다큐는 OBS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이번 책을 발행한 인천음악콘텐츠협회는 인천 대중음악산업의 저변 확대와 발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법인이다. 뮤지션 지원, 레이블, 공연·문화행사 개최, 교육·전시·아카이브 등 다양한 공익적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체이다. 2022년부터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 내에 조성된 인천음악창작소를 인천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수원시청소년뮤지컬단이 3·1절을 소재로 역사의식의 중요성을 담아낸 창작 뮤지컬 ‘타임슬립 1919:무명의 소녀들’을 선보인다. 수원시청소년뮤지컬단은 오는 2일부터 이틀간 수원청소년문화센터 온누리아트홀에서 정기공연 ‘타임슬립 1919:무명의 소녀들’을 진행한다. 1919년을 배경으로 한 이번 창작 뮤지컬은 주인공 ‘나나’가 타임슬립을 통해 과거의 인물 개똥이를 비롯한 백화학당 친구들을 만나게 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뮤지컬은 나나와 친구들이 함께 일제강점기 속 독립만세 현장을 생생하게 경험하게 되면서 겪는 모험들을 다채롭게 담고 있다. [수원시청소년뮤지컬단의 정기공연 ‘타임슬립 1919:무명의 소녀들’.]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 제공 특히 뮤지컬단이 그동안 선보였던 공연들엔 아이들의 감성이 배어 있었다면, 이번엔 어른 세대도 진지하게 공감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마련했다. 수원청소년문화센터 관계자는 “뮤지컬단 단원들이 학업을 병행하며 바쁜 와중에서도 열심히 공연을 준비해왔다”며 “뮤지컬단이 준비한 감동의 무대에 많은 격려와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015년 10월 창단한 수원시청소년뮤지컬단(예술감독 정유진, 연출 고서형)은 청소년들에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및 공연 무대를 지원하고 있다. 정기공연 외에도 찾아가는 공연을 통해 지역사회 문화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정기 공연은 공연 시작 30분 전부터 입장이 가능하며, 전석 무료다. 수원시청소년뮤지컬단 및 정기 공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수원청소년문화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용인시(갑) 처인구 국회의원 선거] {2 윤재복예비후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문로 148. 3층 / 담당자 010-3943-9078 윤재복 국민의힘 용인시(갑) 처인구 총선 예비후보가 7호 공약으로 ‘출생아 1인당 5000만원 국가가 즉시 지급’을 내놨다. 윤 예비후보는 그간 ‘처인구 수변 구역 전면 해제’, ‘권역별 노인복지회관 확충’, ‘처인구에 국가 반도체 인력 양성센터 설립’, ‘용인 컨벤션센터’, ‘국회의원 특권포기’, ‘지역 응급의료 체계 개선’ 등의 공약을 발표하며 정책선거를 해오고 있다. 윤 예비후보는 “국가 출생률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현장에서 체감하기 어려운 간접지원 위주”라며 “신생아 1인당 국가가 5000만원을 즉시 지급해 체감할 수 있는 저출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명이고 국가 출생률은 0.78를 기록했다”며 “같은 기간 북한의 출생아 수는 35만명인데 이런 추세로 출생률이 계속 낮아진다면 전쟁보다 불행한 국가 위기가 초래된다”고 설명했다. 윤 예비후보는 “현재 돌봄 예산 위주로 편성돼 있는 저출산 예산 17조원과 학생수가 줄어 쓰지 못하는 교육재정교부금 7조5000억원을 합하면 24조5000억원의 가용 예산이 있다”며 “이중 12조를 신생아 가정에 5000만원씩 국가가 즉시 지급해도 재정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재)용인시청소년미래재단 수지청소년문화의집에서는 지역 학교와 연계하여 청소년들의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학교연계스쿨樂’ 사업 참여 학교를 오는 2월 6일 10시부터 13일 18시까지 모집한다. 모집 분야는 체육 활동, 예술 활동, 성문화교육, 기타 활동 등 4가지 분야이며, 세부적으로는 ▲ 체육 활동 (탁구, 댄스스포츠, 방송댄스 등 신체 문화 활동) ▲ 예술 활동 (난타, 미술 등 예술 문화 활동) ▲ 성문화교육 (성문화 교육 등 성 관련 문화교육) ▲ 기타 활동 (기타 다양한 청소년 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모집하고 있다. [수지청소년문화의집 2024년 ‘학교연계스쿨樂’참여 학교 모집 1] 모집 대상은 용인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이며, 모집 및 선정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수지청소년문화의집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지청소년문화의집 사업 담당자는“학교연계스쿨樂 사업은 관내 학교와 연계하여 문화 활동 강사를 매칭/지원하고 활동 장소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참여 청소년들이 소질과 특기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며 기대감을 밝혔다. [수지청소년문화의집 2024년 ‘학교연계스쿨樂’참여 학교 모집 2] 한편, 용인시 청소년미래재단은 용인시가 출연한 청소년 전문기관으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유림·신갈·수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미래교육센터 등 8개 시설에서 청소년 활동·상담·보호·복지 프로그램을 통해 용인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진달래꽃(Azalea)] [수필가/시인/김성대(Kim seong dae)] 진한 연분홍 꽃잎에 지친 하루를 지내다 보면 스스로 먼 훗날 어느 누군가가 바람 따라 고운 향기만 사랑하고 이별이 없는 사람이 어디에 있느냐고 묻더라 Tired of the light pink Azalea floal patel while a day past of itself Ask where anyone has no departure Some other day a certain man loves only an elegant flavor following the wind 진달래꽃 피었다 사라지면 너울너울 춤추며 무지개다리 종종걸음으로 달려오겠지 우수수 하나 둘 떨어지는 외로움 감출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If Azalea blooms and passes away Dancing wavingly the rainbow bridge runs with a short step a solitude falls one after another How well I can hide it ! 가슴으로 그릴 수 없는 당신 유리알 같이 발가벗은 마음에 웃는 햇살은 잠든 임을 흔들어 깨워 수줍어 짧아진 삶이 꽃처럼 아름다웠다면 불꽃 같은 설렘은 평생 추억이 되겠지 It is you that my heart cann't draw . In my nude mind like a mirror ball if the smile sun ray wakes the sleeping darling; then a shy shortening life becomes a beautiful like a flower ; A flutter like a flame will be a memory for a life. 아파할 여유가 없었던 나약懦弱함이 찬바람에 실리어 사뿐사뿐 오면 잊을 수 없는 생각이 나를 울린다 한 번만 떠나가겠다고 하던 나에게 원망怨望과 용서容恕 사이에서 미움만 남겠는가? A feebleness without a spare time for my hearting with a chilly wind blowing lightly ; an unforgettable thought makes me cry. Being away from her once to me; Is there left a hatred between grievance and pardon ?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사)무등산환경대학 제6기 졸업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등단 및 호남지회장 (2008) 역임 *대한민국가요대상 시상식 작사상 수상(2016년 11월 11일) *제50회 전라남도민 체육대회 성화봉송주자(2011년 4월 22일)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좋은문학회,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월간 한울문학, 문학시선 문학회 명예회장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사)한국민속문학종합예술인협회 자연사랑 시화전 대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제3회 한용문 문학상 공모전 중견부문 특별창작상 수상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 사묵국장, 감사 역임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전공대 설립 나주시민 자문위원(2019. 12. 9) *강변포럼 고문 *광주시민발전연합회 상임고문 *한국해변예술전시회 자문위원 *세계아티스트평화운동연맹회원 *문학타임 광주지부장 *금요저널 자문위원 *꽃가람 시 순수문학 자문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제27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사)4.19문화원, 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현)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새해가 되면 저마다 목표를 세우고 이루겠다는 다짐을 한다. 그래서인지 연초가 되면 삶의 방식과 신념, 철학을 풀어낸 인생 조언서들이 서점가를 달군다. 불확실한 미래에 삶의 지혜와 위로를 얻고, 인간관계·습관·성공 등에 관해 조언을 건네는 자기계발서들을 모아봤다. [세이노의 가르침 (데이원 刊)] ■ 세이노의 가르침 (데이원 刊) 자신을 ‘1천억원대 자산가’라고 소개한 저자 ‘세이노(Say No·필명)’의 자기계발서 ‘세이노의 가르침’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책은 지난해 교보문고와 예스24에서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고, 2023년 가장 많이 팔린 책으로도 알려졌다. 저자의 필명 ‘세이노’는 “당신이 믿고 있는 것들에 ‘NO!’를 외치고 제대로 살아가라”는 뜻으로, 1955년생 자수성가 자산가라는 것 외에 저자에 대해 알려진 정보는 없다. 저자는 고교 시절부터 생활고에 시달렸지만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극단적 선택까지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조차 마음대로 되지 않자 결국 “피보다 진하게 살자”라는 생각으로 일과 공부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얻은 부와 성공에 대한 지혜, 체험적 지식을 책에 담았다. 책은 저자가 20여년 전에 발표한 신문 칼럼과 에세이를 엮은 것이다. 힘든 시기를 벗어날 수 있는 가르침부터 ‘사기꾼 판별법’ 등 부자가 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까지 저자의 경험을 간접체험 할 수 있다.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포레스트북스 刊)] ■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포레스트북스 刊) 수십 년간 의사로 일하고 있는 저자 한스 할터는 생과 사의 갈림길에 선 환자들을 돌보며 수많은 이들의 ‘죽어감’을 통해 ‘살아감’을 배우게 됐다고 말한다. 먼저 떠난 이들처럼 언젠가는 죽음이 반드시 나의 몫이 되는 순간이 오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을 후회 없이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쇼펜하우어, 오스카 와일드, 빈센트 반 고흐 등 철학자, 작가, 예술가, 정치가 등 세계적인 현자들의 생애와 유언을 엮었다. 찰스 다윈은 “나는 죽음 앞에서 일말의 두려움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고, 아인슈타인은 “이 세상에서 내가 할 일은 다 한 것 같구나”라는 담담한 인사를 마지막으로 가족에게 전했다. 84가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로 ‘지금, 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깊은 울림을 남긴다. 저자는 생의 유한함을 깨닫게 될 때 삶에서 군더더기와 욕심을 비우고 본질적인 것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 파우스트는 죽음 전 마술사이지만 중세 시대에 마술은 종교와 더불어 인간의 영혼에 접목하는 것이었으나, 종교는 신에 대한 숭배와 경배를 다루었고 마술은 신의 법칙과 작용의 비밀을 위해 원리를 파악하고 신의 영역까지 침범하고 도전하려는 것이었다. 보통 민중본이나 통속극에서 결국 파우스트의 영혼을 악마가 지옥으로 앗아가는 것과는 달리 마지막에 천사가 나타나 신에 대한 인간의 진정한 뜻을 말하고 인간의 허상과 욕심을 훈계하는 것으로서- 한낱 일장춘몽으로 마무리 지으며 계몽사상을 담고 있다. 그러나 괴테의 파우스트는 끝없는 탐욕과 지식욕만이 아닌 인간의 자아 완성을 위한 끝없는 도전과 신의 경지에 이르려는 욕망을 현실 속에서 좀 더 인간들과 접목하고 구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모색했다는 점 그것은 죽은 뒤 1년에 완성된다. 세상의 모든 지식을 모두 섭렵하고도 허망을 견디지 못한 파우스트에게 메피스토펠레스와 계약을 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되는 것인데 사실 필자도 인문학에 대한 지식이 너무 짧아 설명은 못하겠지만 그렇게 인생의 전체를 파고들어도 늙어버려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고 한탄을 할 정도였으니 모든 것에는 이성의 합리성이 기준이 될 것이라 하겠다. 이성이란 객관적 주관적 이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한다고들 한다. 이러한 이성을 나열은 할 수 없지만 요즘 들어 정치, 사회, 가 모두 갈래갈래 나누다 보니 이념성인지, 도대체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 정말 우리나라가 한쪽으로만 편중되어 가는 것은 아닌지- 너무나 우려스럽다. 모두가 냉철한 이성과 주관적이 아닌 객관성 합리성으로 이 사회를 이끌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지만 어디 요즘 그런 것인지는 오리무중이 전부인 것 같다. 인간은 저마다의 인품의 냄새 가식의 냄새, 거짓의 냄새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이를 지성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저마다의 인간의 특성이 있음을 오래 교류하다 보면 자연스레 향기를 발산하고 향기가 나는 사람이 있다.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고 다시는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기적인 사람이 있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도 있을 뿐만 아니라 헌신적으로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좋은 사람의 향내가 나는 경우가 많지만 더러는 이기의 함정에서 자기만을 앞세우는 사람을 보면 외면하는 일이 적당한 타협이 되는 것이다. 어느 모임이나 어떤 단체엔 꼭 그런 부류의 사람이 있다. 선량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을 앞세우지 않기 때문에 의사 결정의 문제에 당면하면 침묵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다반사일 것이다. 반면에 자기를 앞세우는 사람은 항상 끈질긴 자기 욕망의 길을 확보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사욕을 완성하는 모사의 치부가 진행형이 된다. 그러나 늦지만 언젠가는 불합리의 그물막이 벗겨지고 마침내는 외면당하는 일이 정도(正道)로 자리를 잡는다는 것이다. 이때의 시간은 매우 더디고 완만하지만 결국 기다리다 보면 제풀에 넘어지는 일이 당연하게 된다. 세상사는 이처럼 항상 2개의 구분 속에서 진행된다. 이를 굳이 악이나 선이라는 단어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자기를 모르기 때문에 빚어지는 욕심의 함정에 빠진 사람의 경우는 누구나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상 자기를 수련하고 깨닫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일이 앞장을 서는 일이. "너 자신을 알라" 의 소크라데스의 거울 논은 자기를 반추하면서 자기를 건져 올리는 작업일 것이다. 인간은 이성의 성을 굳게 지키려 해도 항상 반대로 길을 만드는 일에 유혹을 견디는 일은 많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죽는 날까지 자기를 돌아보아야 할 사명은 항상 깨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사람이 있다. 이를 사상적인 측면으로 살핀다 해도 그 사람의 특성으로 굳어지면 고치거나 수정하는 행동에는 한계가 노 증 된다. 아마도 이성보다 더 굳은 것이 환경적인 영향이 된다면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자라난 환경이나 교육에서 형성된 성품은 화석화된 이념을 이룰 수 없는 여지가 많을 것이다. 양보하고 겸손하고, 남을 세울 줄 알고, 자기의 높이를 가늠하지 않고, 낮추는 일이야말로 사람 냄새 중에 가장 향기로운 일이 아닐까. 그러나 이런 요망은 항상 어려운 벽에 함몰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나는 정치가나 교수들에게 가장 많은 이기의 욕망을 많이 보아왔다. 정치적인 이기, 학문적인 오만, 등 당연한 일이고 그렇다고 합리화시키는 일 등은 그렇다손 치더라도 학문이 아닌 인간적인 오만은 결코 바람직스럽게 학문하는 사람의 태도가 아닐 것이다. 물론 남을 업신여기는 교수가 대부분은 아닐지라도 아마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날 것이다. 특히 자기가 우선시 되어야 하고 보직이나 앞세우고 정도와 학문과는 상관이 없는 사람들일 수록 이런 치기(稚氣)는 더욱 많은 편이 아닐까. 정치와 학문은 정도와 탑이라야 한다. 이는 도의적인 정치와 학문 속에 인격조차 들어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열성으로 국민을 섬기고 열성으로 연구하고 찾고 노력하는 자세에서 비로소 국민이 이해하고 성과 있는 학문은 이룰 수 있다고 본다. 자리나 염탐하고 시기하고 질투하면서는 정치의 길과 학문의 길은 결코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진리이기 때문이다. 시정에 물건을 팔고 사는 사람들의 철학은 최선의 열심이고 지성(至誠)이라는 예는 허다하다. 그깟 정치가가 되었다고 교수가 되었다고 해서 국민을 무시하고 당략에만 앞장서는 일, 연구는 하지 않고 허세를 부리는 사람들을 보면 목불인견(目不忍見)이다. 그 냄새는 가장 추악하고 더러운 것이다. 왜 그런가 하면 빈껍데기 때문에 허세의 방향은 항상 거짓이나 이권, 청탁, 등 남을 밟아 만족을 세우는 일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람의 판단을 허명으로 바라보는 일이 얼마나 많았던가. 세상의 흐름을 보면 진리는 항상 옳고 바른 것으로 치부되지 않는 현실을 늘 직시하게 된다. 천박하고, 무게 없이 경박한 사람이 높은 자리에 오르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를 가르쳐준 인간들은 주위에서 얼마든지 볼 수가 있다. 아울러 이성의 판단보다 감정이 앞선 그 사람들의 자리는 아니었기에 소화불량으로 국민을 호도하는 광기가 요즘 현실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고 거짓과 선동으로 정치를 하고 있으니 정말 내로남불이 따로 없다. 이런 광경을 날마다 보고 있는 백성의 한사람으로서 자괴감만 들어 귀 막고 입을 막아야 하지만 명색이 글쟁이라 보고만 있을 수 없어 이렇게라도 글과 씨름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또 시간이 지나면 이성으로 돌아오는 국민의 위대성은 파우스트를 읽어보면 되지 않을까 한다.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는 파우스트의 이성은 항상 뒤에서 천천히 생각하면서 다가오기 때문이다. 사람의 내음은 향기로워야 한다. 그러나 나는 지금 작가라는 욕심의 그물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미물의 악취인지 모르고 살아가는 미물이기에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 하겠다. 사실 이상주의는 매우 중요하다고들 한다. 그러나 이성의 논증들은 사람들이 구하고 싶은 아니 만들고 싶은 것들을 궁극적으로 내놓지 못하면 이 사회가 어떤 모습일까? 하는 데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다만 모두가 합리적 공유로서 사회를 이끌어 가는 그런 사회가 되기를 소망하며 다 같이 함께하는 사회, 즉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를 기대하는 것이다 네게 앞으로 주어진 임무라면 되도록 말을 줄이고 줄여 간단하게 말하는 것으로서 일상의 길을 가는 것이 정답이라 믿기에 글에 초라함의 변명은 어찌할 수 없으나 그래도 아직은 필자가 숨을 쉬고 있다는 의미 부여를 하면서 피할 수 현실이라면 감내와 인내 그리고 배려와 존중 해야 한다는 논지를 말하면서 나가려 한다. 2024. 01. 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시인 [이승섭 칼럼집 [제 6집 공정, 정의, 사색의 길] [이승섭 시평집 [제6집 문학의 혼을 말하다.] [이승섭시평집]
by 수원본부장 손옥자[군포문화재단 제공]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악 명인들과 세종국악관현악단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새해 희망찬 출발을 기원하는 공연이 열린다. 군포문화재단이 오는 2월 24일 오후 7시 정월대보름 ‘달달한 콘서트’를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에서 선보인다. ‘달달한 오케스트라’는 섬세한 곡 해석과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지닌 박상우 지휘자와 창단 32년을 맞이한 세종국악관현악단이 함께한다. 특히 올해로 데뷔 30년을 맞은 혼으로 노래하는 시대의 가인 장사익이 ‘찔레꽃’, ‘봄날은 간다’, ‘꽃구경’ 등의 노래를 선보인다. ‘장사익류(流)’로 불리는 독보적 장르를 만들어 낸 그는 국내외에서 ‘장사익의 소리판’ 공연을 쉼 없이 선보였다. 또 대한민국 대표 전통타악 그룹 뿌리패 예술단의 판놀음과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명인 이문희가 협주한다. 소리꾼 이은비의 ‘액맥이 타령’, ‘흥보가 중 박타령’ 등과 함께 창작국악관현악 신나는 민요곡들로 한바탕 어울리는 무대가 열린다. 군포문화재단 관계자는 “2024년 갑진년과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시민들과 나누며 국악 공연을 통해 서로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재단 누리집 등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성남문화재단를 대표하는 브랜드 공연인 ‘마티네 콘서트’가 올해는 체코 클래식을 주제로 관객을 찾아간다. 또 ‘연극만원(滿員)’ 시리즈는 명품 연극 5편이 무대에 올려진다. 성남문화재단은 30일 “‘마티네 콘서트’와 ‘연극만원(滿員)’ 시리즈에 대한 2024년 연간 공연 일정을 확정하고 티켓을 오픈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클래식 입문자부터 마니아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는 ‘마티네 콘서트’는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셋째 주 목요일 오전 11시에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성남문화재단,체코 클래식을 주제로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셋째 주 목요일 오전 11시에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마티네 콘서트’ 포스터. ]/성남문화재단 제공 올해는 순수한 자연과 다채로운 민속 문화를 가진 보헤미안의 나라 ‘체코’로 클래식 여행을 떠나는 일정으로 꾸며진다. 3월에는 체코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메타나의 대표작 ‘나의 조국’ 등으로 시즌의 문을 열고 4월에는 동양인 최초로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 관악 수석으로 활동 중인 클라리네티스트 조인혁이 무대에 오른다. 5월에는 한국종합예술종합학교 초빙교수를 맡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만프레도 크레머가 ‘카메라타 안티콰 서울’과 함께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보헤미아 음악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8월에는 3년 연속 마티네 콘서트 진행자인 피아니스트 김태형이 소프라노 황수미와 함께 글룩의 오페라 ‘파리드 엘레나‘’중 ‘오! 감미로운 나의 사랑’과 드로브자크의 오페라 ‘루살카’중 ‘달에게 바치는 노래’ 등을 들려준다. 9월에는 ‘마티네 콘서트’에서 처음 시도하는 특별한 발레 갈라 무대가 펼쳐진다. 발레 음악의 거장 루드비히 밍쿠스의 음악에 마리우스 프티파가 안무한 희극발레 ‘돈키호테’를 유니버설발레단의 무대와 문훈숙 단장의 해설로 만나볼 수 있다. 또 11월에는 ‘핀란드 방송교향악단’ 종신 제1수석 오보이스트 함경울, 12월에는 ‘2018년 윤이상 국제음악콩쿠르’ 우승에 빛나는 첼리스트 이상은 공연이 예정돼 있다. 연간 10회 공연을 모두 관람할 수 있는 ‘2024 마티네 콘서트’ 시즌권은 2월1일 오후 2시부터, 일반권은 2월15일부터 성남아트센터 홈페이지(www.snart.or.kr)나 인터파크티켓(ticket.interpark.com)에서 예매 가능하다. 티켓은 각 회당 전석 2만 5천원이며, 시즌권 구매 시 2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011년 시작해 누적 관객 10만 명 이상을 기록하며 그 인기를 증명한 ‘연극만원(滿員)’ 시리즈는 올해도 변함없는 ‘1만원의 착한 가격’으로 다양한 예술가들의 평범하고도 특별한 삶의 모습과 따뜻한 감성을 그린 명품 연극 5편을 소개한다. 시리즈의 첫 문은 오는 3월8일부터 10일까지 무대에 올려지는 ‘행복을 찾아서’가 장식한다. 미술관 도슨트 큐레이터인 은수와 사진작가를 꿈꾸는 우진의 사랑이야기를 통해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라 깨닫는 것’임을 전하는 작품이다. 4월19일부터 21일까지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관계와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2인극의 매력을 극대화한 ‘컬렉티드 스토리즈’를 만날 수 있다. 5월10일부터 12일까지는 독일 클래식 음악의 거장 로베르트 슈만과 클라라 슈만 부부에게 요하네스 브람스란 젊은 천재 음악가가 나타나며 벌어지는 일들과 음악에 대한 그들의 열정, 사랑이야기를 담은 ‘Schumann(슈만)’이 무대에 올려진다. 고급스러운 무대와 피아노 소품과 더불어 오리지널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연주로 인물의 감정선을 뮤지컬처럼 섬세하게 표현해 ‘연극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란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7월 5일부터 7일까지는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희극 따위는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검열관과 웃음에 사활을 건 극단 웃음의 대학 작가가 벌이는 7일간의 여정을 다룬 일본 최고의 극작가 미타니 코키의 작품 ‘웃음의 대학’이 선보인다. 마지막 작품은 8월30일부터 9월1일까지 30년 동안 동네 할머니들의 머리에 예술을 입히고 있는 오래된 시골 미용실이 등장하는 ‘별이네 헤어살롱’이 장식한다. ‘2024 연극만원’ 시리즈 티켓은 2월8일(목)부터 성남아트센터 홈페이지(www.snart.or.kr)나 인터파크티켓(ticket.interpark.com)에서 예매할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